삼성에 무슨 서운함 있길래…"젠슨 황, 대체 왜 이러나" 술렁 [황정수의 반...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 반도체 위기 요인 진단
4 대만과 엔비디아
TSMC 앞세워 AI칩 생태계 강화
엔비디아도 대만과 끈끈한 AI 협업
젠슨 황, 현지 협력사 점퍼 입고 스킨십
AI 하드웨어 중심 국가로 떠오른 대만
외국 기업 대만에 몰리며 한국 소외
4 대만과 엔비디아
TSMC 앞세워 AI칩 생태계 강화
엔비디아도 대만과 끈끈한 AI 협업
젠슨 황, 현지 협력사 점퍼 입고 스킨십
AI 하드웨어 중심 국가로 떠오른 대만
외국 기업 대만에 몰리며 한국 소외
CES 2025에서 발표 중인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연합뉴스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등 반도체DS부문 경영진이 지난해 9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난 이후 국내 반도체 업계에 이상한 소문이 돌았다. 황 CEO가 삼성 경영진 앞에서 "엔비디아는 삼성전자의 고객이지 직원이 아니다. 자꾸 전화로 물어보고 요청하지 말라"고 말했고, 또 "삼성전자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과 엔지니어들이 기대에 못 미친다"는 발언까지 했다는 것이다.
젠슨 황, 앞에선 삼성 칭찬하고 뒤에선 타박
엔비디아가 삼성전자에 면박을 준 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2월께엔 엔비디아 직원이 삼성전자에 이메일을 보내 "삼성의 프로 정신 실종과 거짓말에 굉장히 실망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11월께엔 삼성전자 천안 HBM 패키징 라인을 실사한 엔비디아 직원이 혹평을 남기고 돌아갔다. 반도체 업계의 한 고위 경영자는 "젠슨 황이 삼성전자 경영진에게 고위 임원이 자주 바뀌어서 믿고 사업할 수 없다는 얘기를 했다"고 전했다.
최근 황 CEO가 공개된 자리에서 말한 삼성전자에 대한 응원과 격려와는 180도 다른 분위기다. 지난해 3월 삼성전자의 HBM3E 12단 제품에 남긴 젠슨 승인JENSEN APPROVED 서명부터 "삼성전자 HBM 성공엔 의심의 여지가 없다"2025년 1월 CES 2025는 발언까지.
삼성전자 임직원과 투자자는 지난 1년간 황 CEO의 말에 희망 고문을 당했다. 이런 영향인지 삼성전자 최고 경영진과 이사회에도 2024년 2분기 엔비디아 퀄 통과 가능성, 3분기 중엔 통과 유력 등의 보고가 올라갔지만, 정작 현장에선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삼성전자는 지금도 HBM3E 12단 재설계와 퀄 테스트를 준비 중이다.
황 CEO의 행보는 엔비디아와 삼성전자가 비즈니스 세계의 갑을 관계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일반적이진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내 반도체 업계에선 "삼성전자에 좋지 않은 감정을 가졌던 젠슨 황이 의도된 행보가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온다.
대만 노골적으로 밀어주는 엔비디아
황 CEO가 고국인 대만을 대하는 걸 보면 한국과의 온도 차가 굉장하다. 올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도 가지 않고 대만 일정을 소화했다. 지난 16일 대만으로 건너간 황 CEO는 엔비디아 협력사이자 세계적 패키징 업체 ASE 자회사 SPIL의 신규공장 개막식에 엔비디아와 SPIL 로고가 나란히 찍힌 점퍼를 입고 참석했다. 지난 17일엔 AI 서버 부품업체 위스트론의 임직원 송년회장에 등장해 파이팅을 외쳤다. 폭스콘, 홍하이, 콴타 등 협력사 미팅도 젠슨 황의 일정에 포함됐다. 지난 11월, 핵심 협력사인 SK하이닉스의 AI 관련 행사에 영상으로 등장해 사업적인 이야기만 전한 것과 상반된 모습이다.
지난 16일 대만의 패키징 업체 SPIL의 행사에 방문해 엔비디아, SPIL 로고가 박힌 점퍼를 입고 파이팅을 외치는 젠슨 황. SPIL 홈페이지
대만계 미국인인 황 CEO의 친親 대만 행보에 대해 일견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도체업계에선 젠슨 황의 한국 패싱이 과거 삼성전자 등으로부터 받은 서운함 때문이란 얘기도 나온다.
이는 공식 행사장에서도 간접적으로 드러난다는 분석이 있다. 지난 6일 CES 2025 발표에서 자사 그래픽카드 최신 제품에 삼성전자의 최신 그래픽 D램GDDR7을 납품 받았으면서도, "미국 마이크론 제품을 썼다"고 한 것, 하루 뒤 기자간담회에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GDDR7을 안 만드는 것으로 안다"고 말한 게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젠슨 황은 이 발언을 9일 정정했다.
우려스러운 점은 젠슨 황과 엔비디아의 대만 키워주기 때문에 대만 기업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만은 이미 세계 1위 파운드리 업체 TSMC가 구축한 시스템반도체비메모리 생태계를 발판으로 글로벌 AI 반도체 중심 국가로 떠올랐다. 2022년 기준 대만 국민소득이 한국을 역전하기도 했다. 2023년 한국 재역전, 2024년 한국 우위 전망
이런 상황에서 대만이 TSMC에 이어 엔비디아의 지원까지 받게 되면서 대만 기업들은 AI 반도체를 넘어 AI 하드웨어 전반의 핵심 공급망에 들어가고 있다. 미국 애플의 하청업체에서 엔비디아의 AI 서버 부품 파트너로 변신 중인 폭스콘이 대표적이다. 대만의 TV, 스마트폰용 칩 전문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미디어텍은 엔비디아와 손잡고 PC용 중앙처리장치CPU 시장에까지 진출했다. 엔비디아가 올 초 CES 2025에서 공개한 내 책상 위의 AI PC인 디지트의 핵심 칩도 미디어텍과 공동 개발했다. 이밖에 AI 시대 핵심 장비로 부각되고 있는 AI 데이터센터용 액침 냉각 장치 등의 분야에서도 대만 기업이 앞서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외국기업 투자도 대만에 몰려...韓 기술 경쟁력 강화해야
글로벌 기업의 투자도 대만으로 몰리는 모양새다. 미국 마이크론은 대만 디스플레이 기업 AUO의 공장 부지를 인수, 추가 투자에 나섰다. 엔비디아의 아시아·태평양 본사가 대만에 자리 잡을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황 CEO는 지난 16일 대만 입국 때 "엔비디아의 아시아태평양 본사도 대만에 설립할 수 있냐"는 질문에 "대만에 있는 엔비디아가 많이 성장했기 때문에 더 큰 기반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즉답은 피했지만 높은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다. 이에 앞서 ASML 같은 글로벌 반도체 장비 기업과 미국 팹리스 AMD도 대만 투자 계획을 밝혔다.
반도체 업계 고위 관계자는 "대만의 부상으로 한국 반도체 산업에 아쉬운 점이 많아지고 있다"며 "메모리반도체에 파운드리 등 시스템반도체를 더해 AI 하드웨어 중심 국가가 되려고 했던 한국의 전략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주목할 점은 대만에서 AI 산업 생태계가 확장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한국 기업들이 독보적인 AI 기술 경쟁력을 갖춰 고객사를 유치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다"고 지적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수건 케이크 없어서 못판다"…편디족 열풍 언제까지? 25.01.30
- 다음글[한국형 3축 체계]③ 전쟁 시 지하 100m 벙커 파괴하는 폭탄 20여발로 초... 25.01.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