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그룹 해외투자 아직 배고프다…日 글로벌 수익 40%대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국내 금융그룹 해외투자 아직 배고프다…日 글로벌 수익 40%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8회 작성일 24-05-19 16:27

본문

뉴스 기사
한국 금융그룹 글로벌 수익 비중은 20% 넘지 못하고 있어 분발해야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들의 ATM기. jieunlee@yna.co.kr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들의 ATM기. jieunlee@yna.co.kr

[파이낸셜뉴스]일본 3대 금융그룹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MUFG·미쓰이스미토모 파이낸셜그룹SMFG·미즈호파이낸셜그룹의 글로벌 수익 비중이 4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 3대 금융그룹은 지난 1990년대부터 미국, 유럽 등 선진 금융시장과 동남아시아의 이머징 금융시장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한 것이 핵심이다.

국내 금융그룹도 글로벌 수익 창출을 위해 사무소 및 지점 설립부터 현지 금융사 지분투자까지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아직 주요 금융그룹의 글로벌 수익 비중은 20%를 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금융그룹들이 글로벌 전략 고도화를 추진하는 한편 글로벌 투자는 퓨처 밸류미래 가치와 중장기적인 의사결정이 좌우하는 만큼 단기손익에 치우지지 않도록 KPI에 미래가치를 반영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日 2008년부터 동남아 지분투자 본격화
19일 삼정KPMG과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등에 따르면 일본 3대 금융그룹의 지난해 해외에서 낸 글로벌 수익 비중이 40%대로 집계됐다. 특히 일본 3대 금융그룹은 동남아40%, 미국35%, 유럽 및 기타25%에서 고른 수익을 올리면서 글로벌 수익 포트폴리오도 다변화하는데 성공했다.

일본 3대은행은 버블이 붕괴한 지난 1990년대부터 선진국에 지점이나 사무소 형태로 진출했다. 이들이 동남아 금융사와 전략적 제휴는 물론 현지 금융사 지분 투자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강타한 지난 2008년부터다. 이들의 글로벌 투자 전략은 4~5년 전부터 비은행과 디지털, 핀테크 투자 인수에 나서는 한편 비효율적인 사업을 재편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실제 MUFG는 지난 2011년 베트남 2위 은행베트남은행에 지분 20%를 투자했고 2013년 태국 5위 은행Krungsri의 지분 72%, 2014년에는 인도네시아 10위권 은행Danamon의 지분 94%를 확보했다. 2017년에는 필리핀 중대형 은행Security Bank의 지분 50%에 투자했다.

SMFG도 지난 2007년부터 베트남 리테일은행Eximbank의 지분 15% 투자를 시작으로 지난 2010년 동남아 1위 은행자산운용사 DBS를 인수, 2014년 캄보디아 3위권 은행 지분 18%, 2018년 인도네시아 톱10 은행BTPN의 지분 97%를 투자해 사실상 인수했다.

국내 금융그룹도 미국, 유럽 등 선진 금융시장과 이머징 금융시장의 투트랙 전략을 세워 공략에 나서고 있다. 선진 금융시장에서는 투자금융, 자본시장에서 수익을 내고 동남아 시장에서는 리테일 영업 경쟁력을 키워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다만 일본 3대 금융그룹이 일찍부터 현지 은행에 대한 적극적인 지분 투자에 나선 반면 국내 은행들은 지점 설립 후 현지 리테일 영업을 강화한 차이점이 있다.

실제 최근 이머징 금융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인도나 폴란드 등에도 사무소나 지점을 설립해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도 "금융은 경제의 핏줄로 우량은행을 해외자본이 소유, 운영하도록 해외자본에 금융시장을 쉽게 개방할 나라는 없다"면서 "부실한 은행을 정상화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은행 지분투자 등 글로벌 전략 고도화해야
하지만 지분 투자의 성공 사례가 나오면서 국내 금융그룹도 전통적인 금융사를 넘어 비은행권까지 포함해 시너지 창출을 위한 전략적 투자 등 지분 투자에 나서고 있다.

KB금융그룹은 지난 2009년부터 캄보디아 크메르 유니온 은행Khmer Union Bank 지분 51%를 인수해 KB캄보디아은행을 설립했다. KB캄보디아은행과 지난 2021년 지분을 100% 인수한 프라삭 마이크로파이낸스를 통합한 상업은행 KB프라삭은행이 지난해 올린 수익은 2000억원을 넘는다. 하나은행도 지난 2019년 1조원을 베팅한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의 2대 주주로 올라서면서 해외법인 수익이 급증했다. 하나은행의 BIDV지분법이익은 지난해 1228억원으로 하나은행 전체 글로벌 실적의 약 22.2%을 차지할 정도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단순히 지분투자로 수익을 얻는 것을 넘어 시너지추진단을 만들어서 매년 중점 추진과제를 선정해 협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한은행도 지난달 인도 학자금 대출 1위 기업인 크레딜라사에 지분 10%약2440억원을 투자하면서 전통적인 금융사를 넘어 비은행권의 전략적 지분 투자를 시작했다. 신한금융은 직접 진출이 아닌 지분 투자 방식으로 효율적인 글로벌 시장 개척을 지속하겠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국내 금융그룹도 비은행, 등 역량 강화를 추진하는 글로벌 전략 고도화에 나서 수익구조를 다변화하는 한편 글로벌 투자는 중장기적인 의사결정이 좌우하는 만큼 KPI에 장기적인 퓨처 밸류를 반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재박 삼정KPMG 부대표는 "글로벌 신사업은 롱텀으로 봐야하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끌고 갈 수 있는 오너십과 지배구조 체계가 중요하다"면서 "KPI에 퓨처밸류를 반영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고 말했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박하선 " ♥류수영, 이혼숙려캠프 후 다정하게 대했더니.."
"사업 망해 의사 아버지께 손 벌리자.." 김원준 오열
미투 오달수 "6년 만에 이혼한 아내, 나보다 유명…연락은"
주차장 노숙하는 이혼 女배우 이유 묻자 "집도 없고…"
수의 대신 그 한복 입고 떠난 故 김자옥…"얼마 드릴까" 묻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01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0,62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