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자극 물가 관리 낙제점…뉴노멀 고물가에 대응 전환 필요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수요자극 물가 관리 낙제점…뉴노멀 고물가에 대응 전환 필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4-05-08 18:41

본문

뉴스 기사
보조금·할당관세 등 가격 인하 효과 일시적
물가 흐름 전환 위해 ‘공급’ 늘려야

수요자극 물가 관리 낙제점…뉴노멀 고물가에 대응 전환 필요

정부는 일시적 가격 할인 효과를 낼 수 있는 보조금, 할당 관세 등으로 고물가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재정 투입은 오히려 수요를 자극해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 특히 기후 위기, 중동 정세 불안 등 외부 요인으로 공급이 줄어든 상황에서 수요 자극은 더욱 위험하다. 전문가들은 물가 관리는 결국 생산성 향상을 통한 공급량 증대로 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농산물 긴급가격안정자금은 대표적인 물가 안정책이다. 정부는 지난달 15일 긴급 가격안정자금 1500억원 추가 투입을 예고했다. 이 중 납품단가 지원755억원, 할인지원450억원, 축산물할인195억원 등 대부분의 자금이 당장 가격을 낮추는 할인책에 집중됐다. 공급량을 늘리는데 투입된 안정자금은 과일 직수입에 쓰이는 100억원에 불과했다.

할당 관세 품목 확대와 유류세 인하도 세금을 활용한 가격 할인책이다. 정부는 지난달 24일 배추, 양배추, 당근, 포도, 마른김 등을 신규 할당 관세 품목으로 지정했다. 수입 가격을 낮춰 물가 상승을 방어하기 위함이다. 석유제품 가격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류세 인하는 9번 연장돼 다음 달까지 적용된다.


이같은 가격 인하 조치는 착시효과를 일으킨다. 일시적 할인 정책이 적용된 가격은 순간적으로 물가가 하락한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그러나 공급량이 늘지 않은 상황에서의 할인책은 물가의 근본 흐름을 바꾸기 어렵다. 오히려 할인 정책이 수요를 자극할 수 있다. 소비자는 향후 물가가 안정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할인정책이 시행 중인 시기에 구매를 늘릴 수 있다.


할인 정책에도 불구하고 치솟는 소비자 가격이 이같은 흐름을 보여준다. 지난달 배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2.9% 상승했다. 사과80.8% 귤64.7% 복숭아61.2% 감56.0% 등의 가격도 크게 올랐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한국의 먹거리 물가 상승세는 가파른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은 6.9%로 OECD 평균5.3%을 웃돌았다. 한국의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OECD 평균을 넘어선 것은 2021년 11월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

이상기후와 중동 정세 악화 등 최근의 물가 상승 요인은 전 세계가 영향권이다. 그럼에도 한국의 물가가 유독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은 생산성의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고물가 대책의 핵심은 공급량 확대인데 검역 등 절차 문제로 해외 농산물 수입량을 갑자기 늘리기 어려운 데다가 농가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국내 자급량을 늘리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결국 먹거리 물가 안정을 위해서는 재정을 투입한 일시적 할인보다 생산성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충고가 나온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8일 “공급량을 늘릴 대책이 현실적으로 없는 건 한국의 분명한 한계”라며 “중동 정세 불안, 기상이변 등 외생적 요인을 통제할 수 없다면 농가의 생산성을 이끌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

[국민일보 관련뉴스]


▶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 ‘치우침 없는 뉴스’ 국민일보 신문 구독하기클릭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69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0,78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