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원익IPS와 반도체 장비 성능개선 합심
페이지 정보

본문
|
아시아투데이 이지선 기자 = 두산에너빌리티는 반도체 장비 전문회사 원익IPS와 금속 적층제조Additive Manufacturing, 이하 AM 기술 교류 및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반도체 시장 요구사항에 맞게 장비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30일 두산에너빌리티에 따르면 지난 28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두산타워에서 원익IPS와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양사는 금속 적층제조 관련 협력을 추진한다. 적층제조란 금속 분말을 층층이 쌓아 금속 소재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양사는 차세대 화학증착설비CVD에 적용할 AM 제작 부품의 성능 평가를 실시하고, 나아가 검증용 시제품을 설계하고 제작할 계획이다. 또한 금속 AM 품질 관리 기준에 적합한 품질문서 개정에 협력하는 등 반도체 시장의 요구사항을 계속적으로 충족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실제 글로벌 반도체 분야 AM 시장 규모는 확대되고 있다. AM 시장조사 전문 업체인 AM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기준 반도체 분야 AM 시장은 2024년 약 2300억원에서 2032년 약 2조원 규모로 연평균 26%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송용진 두산에너빌리티 전략/혁신 부문장은 "반도체 장비 성능 개선을 위한 기술 개발 목적으로 이번 MOU를 체결했다"며 " AM 적용 분야가 기존 가스터빈, 방산 외에 반도체로 확대되는 가운데 적극적으로 시장 개척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명범 원익IPS 선행개발본부 총괄은 "양사는 금속 AM 분야 기술 교류와 연구 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라며 "각 분야에서 축적한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앞서 2014년 발전용 가스터빈 납품 과정에서 AM 기술을 도입한 이래 사업 영역과 파트너십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선박·해양 분야 부품 발주 플랫폼 운영사인 펠라구스Pelagus 3D社와 MOU를 체결했고, 2022년엔 세계 1위 금속 3D 프린터 기업인 독일 EOS와 기술개발 및 마케팅 협력 MOU를 체결한 바 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
▶
▶ 꽃샘추위에도 "尹 탄핵 기각"…광화문 수백만 반탄 물결
▶ 與 "野, 행정부 전복하려 줄탄핵 예고…명백한 내란 자백"
▶ 최상목 "산불로 역대 최대 피해…10조 필수추경 추진"
이지선 sjl2@asiatoday.co.kr
관련링크
- 이전글1기 신도시 정비사업에 전자동의 도입…동의절차 5개월→2주 25.03.30
- 다음글"86일 만에"…올해 산불로 발생한 이산화탄소, 작년 2배 육박 25.03.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