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민감국가는 오직 핵 관련된 이슈"…美정부가 韓에 보낸 문건 ...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신문]
당시 민감국가 삭제 요청 관련
지정 땐 기술협력 방해도 시사
위 “보안 사고로 축소하면 안 돼”
한국이 30여년 전 민감국가 리스트에 포함됐다가 제외됐을 당시 한미 양국 사이에 ‘민감국가 문제는 핵 관련 이슈’라는 언급이 오간 것으로 23일 파악됐다.
위성락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확보한 1993년 외교 문건에는 “민감국가 문제는 핵과 관련된 이슈이므로 과학기술공동위원회가 아닌 핵과 원자력 등의 관련 논의를 진행하는 원자력 및 기타 에너지 공동 상설위원회에서 다루는 게 더 적절하고 유용하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 문건은 1993년 12월 8~10일 제1차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 개최 전날인 7일 미국 측이 우리 정부에 보낸 ‘비공식 문건’non-paper이다.
이에 앞서 우리 측은 그 전날인 12월 6일 미국 측에 보낸 비공식 문건에서 ‘미국의 1981년 민감국가 규정 시행 후 여전히 한국을 리스트에 남겨 두고 있는 점’을 언급하며 ‘1991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구축을 위한 선언 등을 했다는 점’ 등을 들어 핵 정책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려 했다.
또 이 문건에는 민감국가 지정이 과학기술협력에 방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내용도 담겼다. 외교부가 이번 민감국가 지정과 관련해 “민감국가 리스트에 등재가 되더라도 한미 간 공동 연구 등 기술협력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한 것과 배치되는 대목이다.
당시 우리 정부 측의 민감국가 삭제 요청을 미국이 수용하면서 이듬해인 1994년 7월 한국은 명단에서 제외됐다. 이번 민감국가 지정을 두고 보안 관련 문제가 직접적 원인이란 주장이 나오지만 일각에선 미국 측이 한국의 핵무장을 우려해 오다가 보안 사고를 계기로 민감국가로 지정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이에 다음달 15일 민감국가 지정 효력 발효를 앞두고 조속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가 핵무장론 등 외교정책과의 연관성도 따져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위 의원은 “과거에도 미국이 민감국가 지정 사유를 핵개발이라고 명시하진 않았다”며 “이번 민감국가 지정 함의를 단순 보안 사고로 좁혀 해석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쳐다도 보기 싫어 마음 정리”…남편에 ‘이혼 선언’한 김빈우, 무슨 일
☞ ‘41세’ 최여진, 7세 연상 ‘돌싱’과 결혼…방송 출연했던 ‘그 사람’
☞ ‘현빈♥’ 손예진, 안성재 식당서 팔짱 낀 모습 포착 “눈웃음 폭발”
☞ 세탁기에 비친 ‘37분간의 성폭행’…범행 부인하던 20대, 증거 앞에 무릎
☞ “피로 회복·피부에 정말 좋다”…장나라가 평소 챙겨 먹는 ‘이 음료’는
☞ ‘18세 영앤리치’ 정동원 “○○ 때문에 번 돈 다 썼다…파산할 수도”
☞ “성관계에서 ‘이 행동’ 하면 치매 위험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아빠가 너무 미안”…정은표 아들 ‘이것’으로 30㎏ 뺐다
☞ 김대호, 퇴사 후 핑크빛 만남…4살 연하 서울대 출신 배우
☞ 100억 한남더힐 빚 없이 샀다…‘홈쇼핑계 전지현’ 동지현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지정 땐 기술협력 방해도 시사
위 “보안 사고로 축소하면 안 돼”
한국이 30여년 전 민감국가 리스트에 포함됐다가 제외됐을 당시 한미 양국 사이에 ‘민감국가 문제는 핵 관련 이슈’라는 언급이 오간 것으로 23일 파악됐다.
위성락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확보한 1993년 외교 문건에는 “민감국가 문제는 핵과 관련된 이슈이므로 과학기술공동위원회가 아닌 핵과 원자력 등의 관련 논의를 진행하는 원자력 및 기타 에너지 공동 상설위원회에서 다루는 게 더 적절하고 유용하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 문건은 1993년 12월 8~10일 제1차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 개최 전날인 7일 미국 측이 우리 정부에 보낸 ‘비공식 문건’non-paper이다.
이에 앞서 우리 측은 그 전날인 12월 6일 미국 측에 보낸 비공식 문건에서 ‘미국의 1981년 민감국가 규정 시행 후 여전히 한국을 리스트에 남겨 두고 있는 점’을 언급하며 ‘1991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구축을 위한 선언 등을 했다는 점’ 등을 들어 핵 정책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려 했다.
또 이 문건에는 민감국가 지정이 과학기술협력에 방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내용도 담겼다. 외교부가 이번 민감국가 지정과 관련해 “민감국가 리스트에 등재가 되더라도 한미 간 공동 연구 등 기술협력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한 것과 배치되는 대목이다.
당시 우리 정부 측의 민감국가 삭제 요청을 미국이 수용하면서 이듬해인 1994년 7월 한국은 명단에서 제외됐다. 이번 민감국가 지정을 두고 보안 관련 문제가 직접적 원인이란 주장이 나오지만 일각에선 미국 측이 한국의 핵무장을 우려해 오다가 보안 사고를 계기로 민감국가로 지정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이에 다음달 15일 민감국가 지정 효력 발효를 앞두고 조속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가 핵무장론 등 외교정책과의 연관성도 따져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위 의원은 “과거에도 미국이 민감국가 지정 사유를 핵개발이라고 명시하진 않았다”며 “이번 민감국가 지정 함의를 단순 보안 사고로 좁혀 해석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쳐다도 보기 싫어 마음 정리”…남편에 ‘이혼 선언’한 김빈우, 무슨 일
☞ ‘41세’ 최여진, 7세 연상 ‘돌싱’과 결혼…방송 출연했던 ‘그 사람’
☞ ‘현빈♥’ 손예진, 안성재 식당서 팔짱 낀 모습 포착 “눈웃음 폭발”
☞ 세탁기에 비친 ‘37분간의 성폭행’…범행 부인하던 20대, 증거 앞에 무릎
☞ “피로 회복·피부에 정말 좋다”…장나라가 평소 챙겨 먹는 ‘이 음료’는
☞ ‘18세 영앤리치’ 정동원 “○○ 때문에 번 돈 다 썼다…파산할 수도”
☞ “성관계에서 ‘이 행동’ 하면 치매 위험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아빠가 너무 미안”…정은표 아들 ‘이것’으로 30㎏ 뺐다
☞ 김대호, 퇴사 후 핑크빛 만남…4살 연하 서울대 출신 배우
☞ 100억 한남더힐 빚 없이 샀다…‘홈쇼핑계 전지현’ 동지현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관련링크
- 이전글[이런말저런글] ○○만이 ○○ 만에로 한눈에 읽힐까 25.03.24
- 다음글이재명 망언집 아니라 명언집 반응에…대략 난감해진 국민의힘 25.03.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