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말저런글] ○○만이 ○○ 만에로 한눈에 읽힐까
페이지 정보

본문
현행 헌법은 임기 5년 대통령 단임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이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유권자들은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5년 만에] 한 번씩 돌아오는 대통령선거를 치르게 됩니다. 또 역시나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대통령은 최장 [5년만]어법상 5년간만이 맞습니다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있겠고요.
![[이런말저런글] ○○만이 ○○ 만에로 한눈에 읽힐까](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yt/2025/03/24/PCM20220731000002370_P2.jpg)
[촬영 안 철 수]
앞에 쓴 [5년 만에]의 만은 시간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서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의존명사입니다. 또 횟수를 나타내는 말 뒤에 쓰이면 앞말이 가리키는 횟수를 끝으로의 뜻을 나타냅니다. 만에, 만이다 꼴로 쓰입니다. 의존명사가 뭐냐고요? 의미가 형식적이어서 다른 말 아래에 기대어 쓰이는 명사입니다. 것 따름 뿐 데 따위가 있습니다.
반면, 뒤에 쓴 [5년만]의 만은 년에 붙여 씀으로써 의도와 관계없이 보조사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체언, 부사, 활용 어미 따위에 붙어서 어떤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 말입니다. 웃기만 한다, 잠만 잔다, 그 사람만 온다, 그를 만나야만 모든 문제가 풀린다, 당국에 승인을 얻어야만 한다, 하나만 당첨되어도 바랄 것이 없다, 집채만 한 파도가 몰려온다, 청군이 백군만 못하다, 눈만 감아도 잠이 온다, 나만 보면 못마땅한 듯 얼굴을 찌푸린다. 사전은 보조사 만의 다양한 용례를 올려뒀습니다.
국민연금 개혁에 관한 여야 합의 소식이 지난주에 전해졌습니다. 기사 제목 가운데 18년만 연금개혁이라는 게 눈에 들어왔습니다. 연금 개혁이 2007년 이후 18년 만에 이뤄졌다는 뜻으로 쓴 것 같습니다. 경제적으로 써야 하므로 뭐든 줄이는 경향이 있음을 압니다. 그러나 이 경우는, 띄어쓰기는 차치하더라도 18년만에라고까지는 써줘야 한눈에 읽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을 남깁니다. 연금 개혁은 끝까지 잘 돼야만 합니다. 참말로, 오래간만에 하는 것이니까요.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
2. 네이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세탁기에 비친 37분의 성폭행…변명 일관한 악질 성범죄자
- ☞ "얼마나 뜨거웠을까"…산청 산불 진화 중 사망자들 유족 오열
- ☞ 삼립, 크보빵 사흘 만에 100만개 팔려…역대 최단 기록
- ☞ 탄핵심판 정국 혼란 속 정치 유튜버들 때아닌 호황
- ☞ "부모·교사 대규모로 본인 모르게 아동학대 블랙리스트에 올라"
- ☞ "도망치다 넘어져"…도심 속 들개 무리 위협 현실로
- ☞ 여수 도심 주행하던 람보르기니 화재로 전소
- ☞ UFC·슈퍼볼 이어 레슬링…트럼프, 격렬한 종목 직관 이유는
- ☞ 스키장서 충돌사고로 전치 4주 부상 입혔는데 과실치상 무죄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중국인들이 북한여행 가고 싶어하는 이유 "옛날 北 영화 향수"[북한은 지금... 25.03.24
- 다음글[단독] "민감국가는 오직 핵 관련된 이슈"…美정부가 韓에 보낸 문건 ... 25.03.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