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尹탄핵 각하 기대감에…입장 난처 여권 잠룡들
페이지 정보

본문
여권 1위 김문수조차 한 자릿수 지지율
행보 제약 걸린 주자들…강성 지지층 눈치 때문
![]() |
여권 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각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강성 지지층과 중도층 사이 거리 조절로 골머리를 앓던 여권 대선주자들의 고민이 더욱 깊어졌다. 사진은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국민의힘아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윤 대통령의 탄핵 각하와 인용을 촉구하며 각각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이새롬 기자 |
[더팩트ㅣ국회=김수민 기자] 여권 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기각·각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강성 지지층과 중도층 사이 거리 조절로 골머리를 앓던 여권 대선주자들의 고민이 더욱 깊어졌다. 윤 대통령의 탄핵에 공개적으로 찬성해 중도확장성에 집중하던 주자들조차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눈치를 보며 어정쩡한 입장을 취하는 게 이들의 딜레마를 방증한다.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여권 잠룡들의 존재감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이들 모두 한 자릿수 지지율에 머물렀다.
여론조사 회사 한국갤럽이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장래 지도자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9%, 오세훈 서울시장 4%,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4%, 홍준표 대구시장 3%으로 집계됐다.
36%로 1위를 기록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달리 여권 주자 1위인 김 장관조차도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또 여권 주자들의 지지율을 모두 합해도 이 대표와의 격차는 여전히 20% 가까이 난다.
윤 대통령의 탄핵인용을 가정했을 때, 하루빨리 중도층 확장에 나서야 하는 이 시점에 탄핵 찬성파 여권 주자들의 발걸음은 중도층이 아닌 강성 지지층을 향해 있다.
윤 대통령의 석방과 미뤄지는 탄핵 선고 기일이 맞물리면서 강성 지지층의 결집세가 더 강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당 지지율을 이끌고 있는 이들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는 게 먼저라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전 대표는 지난 18일 대표적 보수 텃밭 TK대구·경북을 찾아 지역 언론과 간담회를 한 뒤 경북대학교에서 개헌, 시대를 바꾸자 청년 토크쇼를 진행했다.
한 전 대표는 탄핵을 반대하는 지지자들의 애국심을 존경한다고 하는가 하면 자신이 탄핵을 찬성하는 과정에서 상처받았을 이들에게 거듭 사과했다.
![]() |
윤 대통령의 탄핵에 공개적으로 찬성해 중도확장성에 집중하던 주자들조차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눈치를 보며 어정쩡한 입장을 취하는 게 이들의 딜레마를 방증한다. 사진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가 임박한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나무와 전봇대에 피켓이 붙어 있는 모습. /서예원 기자 |
유승민 전 의원도 같은날 경북 경산시 영남대학교를 찾아 특강을 진행했다. 유 전 의원은 자신에게 씌워진 배신자 프레임 탈피를 위해 박근혜 전 대통령과 오해를 풀고 싶은 마음을 재차 전했다.
이제 와서 탄핵 찬반 자체를 두고 애매모호한 입장을 취하는 주자도 있다. 오 시장은 지난 17일 TV조선에 출연해 탄핵 찬성파가 맞느냐는 질의에 "오해가 있다"고 했다.
탄핵 반대파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국무위원으로서 국회를 찾아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밝혀오던 김 장관은 최근 공개 일정을 거의 줄였다.
홍 시장도 19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와 관련해 "탄핵이 되기 어려울 것 같다"며 조기대선 가능성을 일축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국면에서 안 그래도 불리한 지형에서 시작하는 여권 주자들이 윤 대통령의 영향력에 발이 묶였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최악의 경우 애매모호한 입장으로 인해 집토끼보수 지지층과 산토끼중도층 모두를 놓칠 수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탄핵 선고가 나오면 여권 내 드리운 윤 대통령의 그림자는 자연스럽게 정리될 사안이라고 보는 입장도 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lt;더팩트gt;에 "보수 강성 지지층 중에는 온전히 대통령을 옹호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이재명 대표가 차기 대통령이 될까 봐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며 "이들은 결국 이 대표를 막기 위한 선택, 중도확장성이 가능한 인물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기사에 포함된 여론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3.1%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
sum@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인기기사]
· [비즈토크lt;하gt;] "한화 수주 소량 불과" 곽동신 한미반도체 회장 경쟁사 독설, 왜?
· [비즈토크lt;상gt;] "풀겠습니다. 다시 묶겠습니다." 토허제 혼란 가중
· 이재명이 최상목 체포 카톡도 중국산…탄핵 선고 지연에 가짜뉴스 창궐
· [TF초점] 폭싹 속았수다 박보검, 필모에 추가한 새 얼굴 아빠
· 이재명·한덕수 선고에 윤석열도 가능성…슈퍼위크 폭풍전야
· [오늘의 날씨] 낮 최고 25도 포근한 날 지속... 미세먼지는 나쁨
· 3달새 3번째 국가수장 교체 눈앞…정치권은 아전인수만
· [외교비사#x325d;] 北 외교관 접촉 완화...KAL기 사건으로 철회
- 특종과 이슈에 강하다! 1등 매체 [더팩트]- 새로운 주소 TF.co.kr를 기억해주세요! [http://www.TF.co.kr]
- 걸어 다니는 뉴스 [모바일웹] [안드로이드] [아이폰]
- [단독/특종] [기사제보] [페이스북] [트위터]
관련링크
- 이전글[단독] "민감국가는 오직 핵 관련된 이슈"…美정부가 韓에 보낸 문건 나왔... 25.03.24
- 다음글[속보] 박찬대 "내일부터 광화문 천막당사…尹 파면까지 광장서 싸울것" 25.03.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