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유승민·이준석, 연금개혁안 반대…"거부권 행사해야"
페이지 정보

본문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 개혁안을 놓고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유승민 전 의원,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등 범보수권 잠룡들이 잇달아 반대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
지난 2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민연금법 개정안은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3% 및 국가 지급 보장 명문화, 군 복무·출산 크레디트국민연금 가입기간 인정 확대 등 모수개혁안을 담고 있다. 하지만 표결 당시 소속 의원 절반이 넘는 의원 56명이 기권·반대표를 던진 바 있다.
한 전 대표는 22일 페이스북에서 "청년세대에 독박을 씌워서는 안 된다"며 정부가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보험료율에 대해 "언뜻 공평해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며 "머지않아 연금을 받는 86세대를 비롯한 기성세대보다 앞으로 돈을 낼 기간이 훨씬 긴 청년세대의 부담이 훨씬 크기 때문"이라고 했다. 소득대체율에 대해서도 "내년부터 곧장 인상하는 것도 문제"라며 "내야 할 돈은 천천히 올리고, 받을 돈만 즉시 올리면 내야 할 기간이 짧은 기성세대의 이득만 커지고 그만큼 청년세대의 부담은 무거워진다"고 주장했다.
유 전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국회를 통과한 13%·43%의 개혁안은 여야가 땜질하기로 담합한 것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더 내고 덜 받는 연금개혁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으나, 더 내고 더 받는 방식으로 고갈 시점을 기껏 몇 년 늘린 것을 이대로 받을 수는 없다"며 "근본적 연금개혁을 다시 해야 한다"고 했다.
이 의원은 "국회는 미래 세대를 학대하고 착취하는 결정을 내린 것"이라며 "선거를 앞두고 18년 만에 연금개혁을 이뤘다고 자화자찬, 자랑거리를 만들어내려는 졸속 합의, 답정너식 연금 야합에 개혁신당은 결코 동참할 수 없었다"고 했다. 또 "평균 연령 60세에 가까운 이들이 지금 태어나는 아이들의 미래를 난폭하게 갈라치는 행태는 여기서 멈춰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연금 자동조정장치 도입, 신·구 연금 분리안, 세대별 형평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등이 도입될 수 있도록 구조개혁에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관련기사]
☞ "할머니, 지금 자면 안 돼요" 치매 걸릴 위험 2배 쑥…충격 연구 결과
☞ "뚝뚝 흘려주면 야하죠"…LG엔솔 홍보영상 기막혀
☞ 넷플릭스에서 받은 160억…코인·명품에 다 써버린 감독
☞ "보고 싶다" 이별 통보에 분노…전 여친에 1원씩 200번 송금한 男
☞ "한국산 굴 절대 먹지마" 판매 중단에 회수 조치까지 무슨 일?
▶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 높아진 취업 문턱에 멈춰 선 50만 청년의 현실은?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민주, 경호처 김성훈 등 영장 기각에 "검찰, 윤 대통령 로펌 전락" 25.03.22
- 다음글헌재 선고 앞둔 주말, 탄핵반대 집회 25.03.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