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비뉴스] "홧김에 서방질…한동훈 깐족대" 홍준표, 불법계엄 희화화 계속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lt;
"홧김에 서방질" gt;
[기자]
홍준표 대구시장이 어제19일 대학생들을 만나서 강연을 했는데,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이 왜 불법계엄을 했는지 아느냐고 묻자 야당 탓, 한동훈 전 대표 탓을 하면서 "홧김에 했을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들어보시죠.
[홍준표/대구시장 어제 : 계엄 선포 이유에 대해 홧김에 서방질이라고 그랬어. 홧김에 서방질했다. 야당은 저리 힘들게 하고 한동훈이는 밑에서 자꾸 깐족대고 그러니까 대통령 입장으로서는 얼마나 속이 타겠어요.]
그런데 군인들이 총을 들고 국회에 진입한 사건을 서방질, 깐족 이런 표현으로 가볍게 접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고요.
무엇보다도 아무리 화가 나도 할 일이 있고 안 할 일이 있다, 이런 비판이 있는 겁니다.
[앵커]
그렇습니다. 사실 평소 홍준표 시장이 말을 신중하게 하는 타입이라고는 볼 수 없지만, 그것을 감안 하더라도 불법계엄으로 몇 달째 나라가 혼란에 빠져 있는데, 부적절한 발언 아닙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홍준표 시장은 물론 계엄이 시대착오적이고 잘못했다, 이런 지적을 분명히 한 적은 있습니다.
하지만 별것이 아니다, 가볍다는 식의 표현들을 여러 번 해 왔거든요.
대표적으로 몇 개 좀 보겠습니다.
직후에도 "경솔한 한밤중에 해프닝"이라고 표현한 적 있고요.
그 이후에 "철부지들의 난동"이라고 얘기한 적도 있습니다.
1월 말에는 "계엄이 해제 안 됐으면 유시민 작가는 큰일 날 뻔 했다"고 웃으면서 얘기해서 면박을 받은 적도 있었죠.
한 번도 아니고 이런 식으로 여러 차례 계엄이 별 거 아닌 것처럼 가볍게 이야기하는 그 근저에는 계엄을 심각한 게 아닌 걸로 축소하려는 어떤 프레임이 있는 게 아니냐, 이런 지적도 있는데 무엇보다도 계엄은 장난이 아니죠.
[앵커]
그렇습니다. 사실 그날 밤 이거 별 거 아니라고 하는 정치인, 여권에서조차 없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점점 더 시간이 지날수록 계엄이 별 거 아니라는 식으로 치부하려는 움직임이 더 커지는 것 같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특히 계엄의 목적은 지금 탄핵심판의 핵심 쟁점 중 하나이죠.
그런데 국민의힘에서 계속 희화화하는 답변들, 이런 접근법들이 나오는 배경에는 윤 대통령 스스로가 계엄의 목적에 대해서 왔다 갔다 하는 입장을 보인 게 원인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윤 대통령 얘기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4차 대국민 담화 2024년 12월 12일 : 그 목적은 국민들에게 거대 야당의 반국가적 패악을 알려 이를 멈추도록 경고하는 것…]
[탄핵심판 4차 변론 지난 1월 23일 : 계엄 선포의 이유는 야당에 대한 경고가 아니고요. 주권자인 국민에게 호소해서 엄정한 감시와 비판을 해 달라는 것이지…]
경고용 계엄이나 대국민 호소용 계엄은 우리 헌법이나 법규에는 없는 겁니다.
이성대 기자 sdj12@jtbc.co.kr
[핫클릭]
▶ 헌재 앞 기자회견 중 날아든 계란…백혜련 얼굴에 퍽
▶ 차에 붙어 뭐하지?...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체액 테러
▶ 21일 금요일 선고도 어려워졌다…헌재, 왜 늦어지나
▶ 일본 내 커지는 반중 정서, "매너가 참.." 말 나오는 이유
▶ 계몽된 자 김계리, 미묘한 표정…정청래 지나치며 피식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자]
홍준표 대구시장이 어제19일 대학생들을 만나서 강연을 했는데,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이 왜 불법계엄을 했는지 아느냐고 묻자 야당 탓, 한동훈 전 대표 탓을 하면서 "홧김에 했을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들어보시죠.
[홍준표/대구시장 어제 : 계엄 선포 이유에 대해 홧김에 서방질이라고 그랬어. 홧김에 서방질했다. 야당은 저리 힘들게 하고 한동훈이는 밑에서 자꾸 깐족대고 그러니까 대통령 입장으로서는 얼마나 속이 타겠어요.]
그런데 군인들이 총을 들고 국회에 진입한 사건을 서방질, 깐족 이런 표현으로 가볍게 접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고요.
무엇보다도 아무리 화가 나도 할 일이 있고 안 할 일이 있다, 이런 비판이 있는 겁니다.
[앵커]
그렇습니다. 사실 평소 홍준표 시장이 말을 신중하게 하는 타입이라고는 볼 수 없지만, 그것을 감안 하더라도 불법계엄으로 몇 달째 나라가 혼란에 빠져 있는데, 부적절한 발언 아닙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홍준표 시장은 물론 계엄이 시대착오적이고 잘못했다, 이런 지적을 분명히 한 적은 있습니다.
하지만 별것이 아니다, 가볍다는 식의 표현들을 여러 번 해 왔거든요.
대표적으로 몇 개 좀 보겠습니다.
직후에도 "경솔한 한밤중에 해프닝"이라고 표현한 적 있고요.
그 이후에 "철부지들의 난동"이라고 얘기한 적도 있습니다.
1월 말에는 "계엄이 해제 안 됐으면 유시민 작가는 큰일 날 뻔 했다"고 웃으면서 얘기해서 면박을 받은 적도 있었죠.
한 번도 아니고 이런 식으로 여러 차례 계엄이 별 거 아닌 것처럼 가볍게 이야기하는 그 근저에는 계엄을 심각한 게 아닌 걸로 축소하려는 어떤 프레임이 있는 게 아니냐, 이런 지적도 있는데 무엇보다도 계엄은 장난이 아니죠.
[앵커]
그렇습니다. 사실 그날 밤 이거 별 거 아니라고 하는 정치인, 여권에서조차 없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점점 더 시간이 지날수록 계엄이 별 거 아니라는 식으로 치부하려는 움직임이 더 커지는 것 같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특히 계엄의 목적은 지금 탄핵심판의 핵심 쟁점 중 하나이죠.
그런데 국민의힘에서 계속 희화화하는 답변들, 이런 접근법들이 나오는 배경에는 윤 대통령 스스로가 계엄의 목적에 대해서 왔다 갔다 하는 입장을 보인 게 원인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윤 대통령 얘기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4차 대국민 담화 2024년 12월 12일 : 그 목적은 국민들에게 거대 야당의 반국가적 패악을 알려 이를 멈추도록 경고하는 것…]
[탄핵심판 4차 변론 지난 1월 23일 : 계엄 선포의 이유는 야당에 대한 경고가 아니고요. 주권자인 국민에게 호소해서 엄정한 감시와 비판을 해 달라는 것이지…]
경고용 계엄이나 대국민 호소용 계엄은 우리 헌법이나 법규에는 없는 겁니다.
이성대 기자 sdj12@jtbc.co.kr
[핫클릭]
▶ 헌재 앞 기자회견 중 날아든 계란…백혜련 얼굴에 퍽
▶ 차에 붙어 뭐하지?...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체액 테러
▶ 21일 금요일 선고도 어려워졌다…헌재, 왜 늦어지나
▶ 일본 내 커지는 반중 정서, "매너가 참.." 말 나오는 이유
▶ 계몽된 자 김계리, 미묘한 표정…정청래 지나치며 피식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관련링크
- 이전글김혜경 "법인카드 유용 기소유예 취소해달라" 헌법소원 25.03.20
- 다음글[단독] 명태균, 서울시장 보궐 단일화 개입 의혹…"오세훈 쪽과 3월 만남" 25.03.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