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시민 피해 없었다"더니…케이블타이로 포박 시도
페이지 정보

본문
- 계엄군 취재기자 포박 시도, 국회 CCTV에 포착
- "단 한 명의 시민 피해도 없었다"던 尹주장 뒤집혀
- "단 한 명의 시민 피해도 없었다"던 尹주장 뒤집혀
[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부상당한 군인들은 있었지만, 일반 시민들은 단 한 명의 피해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처음부터 저는 국방부장관에게 이번 비상계엄의 목적이 ‘대국민 호소용’임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월 26일 헌법재판소에서 발언한 최후 변론과 달리 민간인 신분의 취재기자가 계엄군에게 폭행을 당한 영상이 공개됐다. 당시 윤 대통령은 “군의 임무를 경비와 질서 유지로 확실하게 제한”했다고 주장했지만, 계엄군은 정당한 취재 활동을 하는 기자를 케이블타이로 포박을 시도하고 폭행한 것이다.
특히 김현태 전 707특임단장의 “케이블타이는 포박용이 아니라 국회 문을 잠그려고 준비한 것”이라는 주장도 거짓말인 것으로 드러났다.
1일 뉴스토마토는 유튜브를 통해 지난해 12월 3일 밤 11시 54분쯤 계엄군이 취재 중이던 자사 기자 유지웅 기자를 폭행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은 국회 폐쇄회로CCTV에서 촬영된 것으로, 당시 유 기자는 계엄군을 촬영하고 있었다고 한다.
영상 속에서는 계엄군이 유 기자를 국회 본청 벽으로 밀어붙여 제압하고 손목을 케이블타이로 묶으려 시도하는 모습이 담겼다. 당시 상급자로 보이는 대원이 “케이블타이를 가져오라”고 직접적으로 지시했고, 다른 대원이 케이블타이를 가져와 자신을 포박하려 했다고 유 기자는 전했다.
그러나 유 기자가 강하게 저항하자 포박 시도는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계엄군은 유 기자의 다리를 걷어차는 등 폭행했다. 결국 계엄군은 유 기자의 휴대폰을 빼앗아 그가 촬영한 영상을 삭제하고 풀어줬다.
유 기자는 해당 영상을 확보하려 했지만 개인정보보호법상 이유로 영상 확보가 지연됐다. 이에 유 기자는 직권남용체포·독직폭행 등 7개 혐의로 김현태 전 단장과 성명불상의 707특임단원들을 고소했고, 고소인 신분으로 국회 측 영상을 제공받았다고 한다.
김 전 단장은 지난해 12월 9일 첫 기자회견에서 “부대원들에게 인원을 포박할 수 있으니 케이블타이 이런 것들을, 잘 챙기라고 강조했다”고 언급했다가 돌연 입장을 바꿔 케이블타이가 ‘포박용’이 아닌 ‘문 봉쇄용’이라고 주장했다. 또 김 전 단장은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윤 대통령의 지시를 최초로 폭로한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을 두고 ‘사령관이 민주당에 회유됐다’는 취지로 주장해왔다.
김 전 단장은 내란중요임무종사 및 직권남용 혐의로 불구속기소된 상태다.
▶ 관련기사 ◀
☞ [헌법학자 긴급설문]尹탄핵 선고 결과…인용 Vs 기각 엇갈려
☞ 대박난 성심당 ‘딸기시루, 알고보니 ‘이것으로 만들었네
☞ 뺑소니 사망 사고 내고도 풀려난 10대들, 2년 뒤... [그해 오늘]
☞ 홍준표, 장제원 추모 "죽을 용기로 살 수도 있었으련만"
☞ 현직 변호사도 “김수현, 명확한 반박 없이 논점 흐려…재기 불가능”
|
특히 김현태 전 707특임단장의 “케이블타이는 포박용이 아니라 국회 문을 잠그려고 준비한 것”이라는 주장도 거짓말인 것으로 드러났다.
1일 뉴스토마토는 유튜브를 통해 지난해 12월 3일 밤 11시 54분쯤 계엄군이 취재 중이던 자사 기자 유지웅 기자를 폭행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은 국회 폐쇄회로CCTV에서 촬영된 것으로, 당시 유 기자는 계엄군을 촬영하고 있었다고 한다.
영상 속에서는 계엄군이 유 기자를 국회 본청 벽으로 밀어붙여 제압하고 손목을 케이블타이로 묶으려 시도하는 모습이 담겼다. 당시 상급자로 보이는 대원이 “케이블타이를 가져오라”고 직접적으로 지시했고, 다른 대원이 케이블타이를 가져와 자신을 포박하려 했다고 유 기자는 전했다.
그러나 유 기자가 강하게 저항하자 포박 시도는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계엄군은 유 기자의 다리를 걷어차는 등 폭행했다. 결국 계엄군은 유 기자의 휴대폰을 빼앗아 그가 촬영한 영상을 삭제하고 풀어줬다.
유 기자는 해당 영상을 확보하려 했지만 개인정보보호법상 이유로 영상 확보가 지연됐다. 이에 유 기자는 직권남용체포·독직폭행 등 7개 혐의로 김현태 전 단장과 성명불상의 707특임단원들을 고소했고, 고소인 신분으로 국회 측 영상을 제공받았다고 한다.
김 전 단장은 지난해 12월 9일 첫 기자회견에서 “부대원들에게 인원을 포박할 수 있으니 케이블타이 이런 것들을, 잘 챙기라고 강조했다”고 언급했다가 돌연 입장을 바꿔 케이블타이가 ‘포박용’이 아닌 ‘문 봉쇄용’이라고 주장했다. 또 김 전 단장은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윤 대통령의 지시를 최초로 폭로한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을 두고 ‘사령관이 민주당에 회유됐다’는 취지로 주장해왔다.
김 전 단장은 내란중요임무종사 및 직권남용 혐의로 불구속기소된 상태다.
▶ 관련기사 ◀
☞ [헌법학자 긴급설문]尹탄핵 선고 결과…인용 Vs 기각 엇갈려
☞ 대박난 성심당 ‘딸기시루, 알고보니 ‘이것으로 만들었네
☞ 뺑소니 사망 사고 내고도 풀려난 10대들, 2년 뒤... [그해 오늘]
☞ 홍준표, 장제원 추모 "죽을 용기로 살 수도 있었으련만"
☞ 현직 변호사도 “김수현, 명확한 반박 없이 논점 흐려…재기 불가능”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홍준표, 장제원 추모 "죽을 용기로 살 수도 있었으련만" 25.04.02
- 다음글4·2 재보선 오전 7시 투표율 0.5%…지난해 재보선보다 0.09%p↑ 25.04.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