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에 수상한 中구조물…한국 조사선 막아 한중 해경 대치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서울·인천=연합뉴스 강종구 이상현 전재훈 기자 = 중국이 이어도 인근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 설치한 철골 구조물에 대해 우리 정부가 조사에 나섰다가 중국이 막아서면서 양측 해경이 대치하는 일이 발생했다.
18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26일 오후 2시30분께 해양수산부 산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조사선인 온누리호1천422t급를 잠정조치 수역으로 보내 중국이 무단 설치한 구조물에 대한 점검을 시도했다.
정부는 미리 해경 등에도 협조를 요청했다.
온누리호가 구조물에 약 1㎞ 거리까지 접근하자, 중국 해경과 고무보트 3대에 나눠 탄 민간인들이 온누리호에 접근해 조사 장비 투입을 막았다. 이에 대기하던 한국 해경도 함정을 급파해 현장에서 중국 해경과 2시간여 대치했다.
중국 측은 대치 당시 시설이 양식장이니 돌아가달라라는 취지로 말했고, 우리는 정당한 조사를 하고 있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중국 측 민간인들이 작업용 칼을 소지한 상태였지만, 대치 과정에서 흉기를 휘두르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은 서해 중간에 한국과 중국의 200해리 배타적 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수역의 일부로, 양국 어선이 함께 조업하고 양국 정부가 수산자원을 공동 관리한다. 항행과 어업을 제외한 다른 행위는 금지된다.
하지만 근래 중국 측이 이 수역에 직경·높이 각 수십미터 규모의 이동식 철골 구조물을 잇따라 설치하면서, 영유권 주장의 근거를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4∼5월께 구조물 2기를 설치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구조물 1개를 추가 설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측은 구조물들이 양식을 위한 어업용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의 설치 의도와 구조물의 구체적인 쓰임 등을 주시해오던 정부 당국이 현장 조사를 실시했으나 중국 측 반발로 결국 제지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번 사안을 포함해 중국의 구조물 설치 전반에 대해 중국 측과 소통하며 적극 대응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hapyry@yna.co.kr, kez@yna.co.kr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전기톱 주문했는데 노트가 왔다…무섭다"
- ☞ 서울대→ 의치한…치맛바람 100년에 멍들어가는 한국
- ☞ "피지 이구아나, 3천400만년 전 북미서 8천㎞ 표류해 도착"
- ☞ 음모꾼 닉슨, 도덕적 독선에 빠진 카터…미국 최악의 대통령은
- ☞ "결혼 축하에 감사" 신혼부부가 쌀 400㎏ 기부
- ☞ 회삿돈 3억 가족 계좌로 빼돌려 쓴 간 큰 경리 실형
- ☞ 동남아 항공사들, 기내서 독도를 리앙쿠르 암초로 왜곡 표기
- ☞ 美 법원, 마약 논란 영국 해리왕자 입국기록 공개 판결
- ☞ 두 달 만에 또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추가 기소…사건 병합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崔대행, 개의 정족수 3인 방통위법 거부권…"위헌성 상당" 25.03.18
- 다음글전세 10년 보장법 논란 커지자…이재명 "당 공식 입장 아니다" 진화 25.03.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