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얀마 강진 교민 인명피해 아직 접수된 바 없어"…30억 인도적 지원
페이지 정보

본문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한 남성이 29일현지시간 지진으로 무너져 내린 건물의 잔해를 파헤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외교부는 미얀마·태국 현지 공관이 강진에 따른 한국인 피해 상황 및 실종 내역을 접수한 결과, 지난 29일 오후 현재까지 보고된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미얀마 및 태국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 피해도 파악된 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카카오톡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인 사회 및 대부분 교민과 소통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미얀마에서 교민이 운영하는 식당·공장 등과 태국 한인회관·교민 자택 등에서 일부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외교부는 현재 정확한 피해 추산은 어렵다고 전했다.
미얀마에는 양곤 1700명, 만달레이 70명 등 약 2000여명의 교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태국에는 방콕 1만2000명, 치앙마이 4000명, 치앙라이 260명 등 모두 2만여명의 교민이 살고 있다. 미얀마 교민들은 피해가 큰 만달레이 등을 떠나 상대적으로 안전한 양곤으로 피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 피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우선 국제기구를 통해 200만달러약 30억원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피해지역 내 생명을 살리기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되기를 기원한다”며 “피해 상황을 긴밀히 모니터링해 필요시 추가적인 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강진으로 사상자가 속출하는 와중에도 미얀마 군사 정권이 반군 근거지를 향한 공습을 멈추지 않고 있어 국제사회의 구호 활동이 제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얀마에서는 2021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군부와 민주진영 반군 사이의 내전이 4년 넘게 이어져 오고 있다.
톰 앤드루스 유엔 특별조사위원은 “사람들을 구하려 애쓰는 와중에 폭탄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것을 믿기 어렵다”며 “누구라도 군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은 이런 일이 용납될 수 없다고 압박해달라”고 호소했다.
현재 미얀마의 지진 피해 사망자는 1640여명을 넘어섰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사망자가 1만명 이상으로 불어날 가능성을 71%로 추산했다. 구조대원들은 기계와 들 것이 부족한 상황에서 무너진 건물 아래 갇힌 사람들을 구해내기 위해 맨손으로 잔해를 파헤치는 등 사투를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태국 방콕에서도 10명의 사망자가 확인됐으며, 78명이 실종 상태다.
정유진 기자 sogun77@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영남 산불 사망 30명·부상 43명, 피해 면적 482㎢…의성 재발화 진화 중
· “파면될 때까진 나와야죠”…꽃샘추위에도 광장 메운 ‘탄핵 촉구’ 시민들
· 헌재 “피청구인 윤석열 파면” 선언할 때다 [김민아의 훅hook]
· 최상목, ‘환율 오르면 이익’ 미 국채 투자 논란…민주당 “언제 샀는지 밝혀라”
· 민주당 “권성동, 목적어 헷갈렸나…내란죄 묻겠다면 윤석열 고발하라”
· 검찰, 천하람 소환조사…명태균 ‘칠불사 홍매화 회동’ 캐나
·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 종료…투표율 가장 높은 지역은 어디?
· 석유 부국인데도 연료 없어서…‘주 13.5시간 노동’ 고육책 짜낸 이 나라
· 기계도 들것도 없다…미얀마 강진 구조현장, 맨손으로 잔해 파내며 사투
· 외교정책 비판도 ‘테러 옹호’ 규정…SNS 뒤져 비자 문턱 높이겠다는 미국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마오쩌둥과 루즈벨트 앞에 선 이재용과 정의선 25.03.30
- 다음글이재명 골프사진 조작 비판한 국힘 겨냥, SNS 올린 사진 한 장 25.03.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