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두 곳 콕 집어 설명해도…우왕좌왕 외교부 "모르는 게 당연"
페이지 정보

본문
미 대사 대리 "민감정보 부주의 취급 있었다"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미국이 우리나라를 민감 국가로 지정한 것은 보안 문제 때문이라고 주한 미국대사 대리가 공개적으로 언급했지만, 정부는 그게 구체적으로 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민감국가 지정 사실을 너무 늦게 알았다는 지적에도 "모르는 게 당연했다"는 게 외교장관의 반응입니다.
조보경 기자입니다.
[기자]
조셉 윤 주한 미국 대사 대리는 어제 좌담회에서 민감 국가 지정은 "큰 일이 아니"라면서도 에너지부 산하의 로스 앨러모스, 알곤 국립 연구소 두 곳을 언급하며 지정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작년 한해만 한국인 학생, 연구원 등 2000명 이상이 수출 민감 자료가 있는 이런 연구소들에 방문했고, 일부 민감한 정보에 대해 부주의하게 취급한 일이 있었다"고 한 겁니다.
일부 연구자들이 보안 규정을 어겼다는 취지로 해석됩니다.
두 연구소 모두 미국의 핵과 원자력 기술 개발에 핵심 역할을 하는 곳인 만큼 핵 관련 민감 정보를 반출한 게 문제가 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옵니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자세한 내용은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태열/외교부 장관 : 저희만 모르는 게 아니라 미 에너지부 내부 직원들도 모르고 관련된 담당자 소수만 아는 사안입니다. 내부 관리, 비밀 문서이기 때문에 모르는 게 당연합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또 일각에서 제기하는 윤석열 대통령의 핵무장론 또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친중 성향이 민감국가 지정 배경이 됐다는 주장에 대해선 "둘 다 관계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전 미국 고위 정부 관계자는 JTBC에 "에너지부가 다른 기관과 협의 없이 단독으로 지정한 것인데,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식재산권 분쟁 문제로 한국과 일하기 힘들어했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현재로선 에너지부가 다음 달 15일 최종 발표전까지 한국을 리스트에서 뺄 가능성이 낮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민감국가 지정 문제 등 대응을 위해 방미 길에 올랐습니다.
[화면출처 유튜브 LosAlamosNationalLab ArgonneLab]
[영상편집 김동준 / 영상디자인 김현주]
조보경 기자 cho.bokyung@jtbc.co.kr
[핫클릭]
▶ 안철수 "목 긁힌 뒤 죽은 듯 누운 이재명"...야 "인간 맞나"
▶ 극우 유튜버 위협 지켜만 보던 경찰, "잘하고 계신다" 응원
▶ 눈 떠보니 옷 벗은 대리기사..."성폭행·불법 촬영 당했다"
▶ 김여사 황제관람 의혹 위증 공무원 근황이…국악계 반발
▶ "돌아갈 곳 없어졌다"는 전한길, 강사 대신 언론인 된다?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미국이 우리나라를 민감 국가로 지정한 것은 보안 문제 때문이라고 주한 미국대사 대리가 공개적으로 언급했지만, 정부는 그게 구체적으로 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민감국가 지정 사실을 너무 늦게 알았다는 지적에도 "모르는 게 당연했다"는 게 외교장관의 반응입니다.
조보경 기자입니다.
[기자]
조셉 윤 주한 미국 대사 대리는 어제 좌담회에서 민감 국가 지정은 "큰 일이 아니"라면서도 에너지부 산하의 로스 앨러모스, 알곤 국립 연구소 두 곳을 언급하며 지정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작년 한해만 한국인 학생, 연구원 등 2000명 이상이 수출 민감 자료가 있는 이런 연구소들에 방문했고, 일부 민감한 정보에 대해 부주의하게 취급한 일이 있었다"고 한 겁니다.
일부 연구자들이 보안 규정을 어겼다는 취지로 해석됩니다.
두 연구소 모두 미국의 핵과 원자력 기술 개발에 핵심 역할을 하는 곳인 만큼 핵 관련 민감 정보를 반출한 게 문제가 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옵니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자세한 내용은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태열/외교부 장관 : 저희만 모르는 게 아니라 미 에너지부 내부 직원들도 모르고 관련된 담당자 소수만 아는 사안입니다. 내부 관리, 비밀 문서이기 때문에 모르는 게 당연합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또 일각에서 제기하는 윤석열 대통령의 핵무장론 또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친중 성향이 민감국가 지정 배경이 됐다는 주장에 대해선 "둘 다 관계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전 미국 고위 정부 관계자는 JTBC에 "에너지부가 다른 기관과 협의 없이 단독으로 지정한 것인데,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식재산권 분쟁 문제로 한국과 일하기 힘들어했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현재로선 에너지부가 다음 달 15일 최종 발표전까지 한국을 리스트에서 뺄 가능성이 낮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민감국가 지정 문제 등 대응을 위해 방미 길에 올랐습니다.
[화면출처 유튜브 LosAlamosNationalLab ArgonneLab]
[영상편집 김동준 / 영상디자인 김현주]
조보경 기자 cho.bokyung@jtbc.co.kr
[핫클릭]
▶ 안철수 "목 긁힌 뒤 죽은 듯 누운 이재명"...야 "인간 맞나"
▶ 극우 유튜버 위협 지켜만 보던 경찰, "잘하고 계신다" 응원
▶ 눈 떠보니 옷 벗은 대리기사..."성폭행·불법 촬영 당했다"
▶ 김여사 황제관람 의혹 위증 공무원 근황이…국악계 반발
▶ "돌아갈 곳 없어졌다"는 전한길, 강사 대신 언론인 된다?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관련링크
- 이전글[단독] 비상대권 언급 직후 띄운 무인기…드론사는 로그 삭제 지침 준... 25.03.19
- 다음글"6명 의견일치 안 됐다는 것"…기대감 내비치는 국민의힘 25.03.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