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김여사 문자 이틀째 충돌…"전대 개입" vs "해당 행위"
페이지 정보

본문
한동훈 "대표되는 걸 막겠다는 노골적 의도"
원희룡 "문자 뭉개고 선거 참패" 나경원 "구차한 변명"…윤상현 "사과해야" 국민의힘 당권 주자들이 6일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의 김건희 여사 문자 무시 논란을 놓고 이틀째 충돌했다. ![]() 국민의힘 윤상현왼쪽부터, 나경원, 원희룡, 한동훈 당대표 후보가 지난 2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체인지 5분 비전발표회’에서 정견 발표에 앞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한 후보는 총선 기간 김 여사로부터 명품 가방 의혹과 관련해 대국민 사과 의향이 담긴 문자를 받고도 답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일자, 알려진문자 내용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하면서 의혹 제기 자체가 전당대회 개입이라고 반발했다. 한 후보는 이날 SBS 정치컨설팅 스토브리그에 출연해 "이 시점에 이 문제를 제기하는 분들이 자제해야 한다"며 "비정상적인 전당대회 개입이나 당무 개입으로 보일 수 있는 위험한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문자 이후 6개월이 지났는데 그 내용이 나오는 것은 노골적으로 내가 대표되는 것을 막겠다는 의도"라며 "문자 내용도 상당 부분 사실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한 후보는 또 국회 의원회관에서 자신이 김 여사 문자에 답을 하지 않아 결국 김 여사의 사과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 "내가 사과 요구 등으로 대통령실로부터 비대위원장 사퇴 요구를 받았다"며 "사과가 필요하다는 내 입장은 충분히 전달한 것 아닌가"라고 되물었다. 이어 "원 후보를 포함해 당시 김 여사의 사과가 필요하다는 발언을 전혀 안 했다. 당시 대통령실은 사과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이었다"며 "사과가 필요하다고 공개적으로 이야기했던 나에게 김 여사가 사과하지 않은 책임을 뒤집어씌운다면 사람들이 동의하겠는가"라고 지적했다. 반면 경쟁 주자인 원희룡·나경원 후보는 한 후보의 총선 패배 책임론을 연계해 한 후보가 김 여사 문자를 묵살한 것은 해당 행위라며 날을 세웠다. 원 후보는 "총선의 민감한 악재였던 영부인 가방 문제에 대해 대통령실과 당내에서 논의하지 않고 대답도 안 한 채 뭉갰다"며 "선거 참패로 출마자, 낙선자, 지지자, 대통령에게 얼마나 큰 부담을 줬는가"라고 비판했다. 원 후보는 또 김 여사의 문자가 사과하겠다는 취지가 아니라는 한 후보의 주장에 대해 "자꾸 해독의 문제로 끌고 가는데, 처분에 따르겠다는 김 여사의 문자 어디에 사과하지 않겠다는 뜻이 있는가"라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김 여사의 문자는 한 후보가 잘 조율해서 지휘해달라는 것이고, 사과를 허락해달라는 이야기가 아니었다"며 "선거 전략 차원에서, 당정 협의 차원에서 숙의해야 했다. 정치를 기본부터 다시 배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나 후보는 "한 후보가 구차한 변명을 계속하는 것 같다"며 "명백한 한 후보의 잘못이고, 사실상 해당 행위"라고 비판했다. 나 후보는 원외당협위원장협의회 타운홀미팅에서 "사적이든 공적이든 의견을 같이 만들어가는 것이 정치"라며 "국민들이 원하는 결론을 만들어서 선거에 도움이 충분히 될 수 있었을 텐데 미숙한 판단에 대해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다. 또 윤상현 후보는 "김 여사 명품백 수수 논란이 가장 큰 이슈였고, 풀었어야 했다"며 "당사자인 영부인 문자가 왔으면 당연히 응대했어야 했다. 사적, 공적 관계를 나누는 게 아니라 당사자 이야기를 듣고 머리를 맞대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 후보는 사과하고, 원 후보는 조금 자제해야 하지 않겠나"라며 "현재 권력과 미래 권력의 다툼은 당을 분열시킬 공산이 크다. 누가 대표가 되더라도 후유증이 남는다"고 덧붙였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관련기사] ☞ AB형·O형 부부서 O형 아이 나오자 난리난 집안 ☞ 블핑 리사, 태국 상인에 깜짝놀랄 액수 건네며 사과한 까닭 ☞ "시청역 사고로 아버지 돌아가셨다"…400만 유튜버, 희생자 아들 위로 ☞ "남자와도 나 자신과도…" 성인물 배우 고백에 일본 들썩 ☞ 그물에 걸린 16t 짜리 초대물…끌어올리자 드러난 정체 충격 ▶ 2024년 사주·운세·토정비결 확인! ▶ 상생은 없었다. 무료배달에 무너지는 자영업자 생계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
관련링크
- 이전글[인터뷰] 한동훈 "김 여사가 전대 개입? 설마…누가 수면 위로 올렸는지 추... 24.07.06
- 다음글배현진, 한동훈 김건희 여사 문자 무시 논란에 "영부인까지 비방전 소환... 24.07.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