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에 민감국가 뒤통수 맞은 尹…이유조차 깜깜
페이지 정보

본문
쏟아져나온 핵무장론도 영향 미친 듯
원자력·AI 등 협력 제한 국가에 韓 추가…1월초 바이든 퇴임 직전 결정
외교부는 사실관계도 모르는 듯…장관은 11일 "비공식 제보 바탕 상황 파악 중"
美 의중은 여태 오리무중…정치권은 네탓 공방 탄핵 남발 vs 무능과 불법계엄
자체 핵무장론도 요인 거론…尹 직접 언급에 이어 與 중진들도 잇단 여론 조성
외교부는 사실관계도 모르는 듯…장관은 11일 "비공식 제보 바탕 상황 파악 중"
美 의중은 여태 오리무중…정치권은 네탓 공방 탄핵 남발 vs 무능과 불법계엄
자체 핵무장론도 요인 거론…尹 직접 언급에 이어 與 중진들도 잇단 여론 조성

특히 그 시점이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의 퇴임 직전이며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및 탄핵 정국이었다는 점에서 초미의 관심이 모아진다.
우리 정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한 채 일단 "사안을 엄중히 보고 있으며 미 정부 관계기관들과 긴밀하게 협의 중"이라는 매우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미간 에너지, 과학기술 협력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적극 교섭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10일 국내 언론보도를 통해 민감국가 포함 사실이 알려진 뒤 1주일 가까이 됐지만 원인과 배경은 물론 정확한 사실관계조차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지난 15일에는 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분류한 시기가 지난 1월 초인 사실이 추가로 드러났다. 이 역시 우리 정부가 아닌 언론을 통해 밝혀진 사실이다.
윤석열 대통령으로선 저자세 외교 비판을 감수하면서까지 바이든 정부에 공을 들여온 마당에 호되게 뒤통수를 맞은 셈이다.
하지만 그 충격을 느낄 새도 없이 민감국가 효력 발효4월 15일 전에 미국을 어떻게든 설득해야 하는 화급한 숙제가 주어졌다.
그러나 촉박한 시간을 감안하면 결과를 장담할 수 없다. 만약 한국의 민감국가 분류가 확정된다면 우리 경제·산업은 물론 한미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

이렇다 보니 정치권은 16일 구체적 근거도 없이 네 탓 공방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야당의 탄핵 남발로 외교 대응이 지연됐다고 주장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의 무능과 내란이 초래한 외교 참사라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해 주목할 만한 사실은 지난 1월 10일 제이크 설리번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발언이다. 그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에 대해 "충격적이었고 잘못됐다고 생각했다"며 "우리는 이제 헌법적 절차대로 진행되는 것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탄핵 남발 대 불법 계엄이라는 여야 공방과 별개로 자체 핵무장론 요인도 유력하게 거론된다.
윤 대통령은 2023년 1월 북한의 도발 수위가 더 고조되는 것을 전제하긴 했지만 "대한민국이 전술핵을 배치한다든지 자체 핵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밝혀 미국의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물론 윤 대통령은 불과 몇 달 뒤인 그해 4월 워싱턴 선언에서 한미 핵협의그룹NCG 신설을 대가로 핵무장 포기를 약속했다.
당시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독자적으로 핵 개발을 하고자 하는 서울의 외도dalliance가 점증하는 위험 요인이 되고 있는데, 이번 선언은 이를 선제적으로 제어한 미국의 영리한 노력"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국내 일부 전문가들은 물론 여당 유력 정치인들이 지속적으로 핵무장을 주장해왔다. 반면 윤 대통령은 딱히 선을 긋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서 미국 측의 의구심이 커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어찌 됐든 이번 일을 계기로 여권 지도층의 무책임 또는 미숙한 전략에 따른 책임론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CBS노컷뉴스 홍제표 기자 enter@cbs.co.kr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제니 눈물의 콘서트 했지만…10분 지연→고가 티켓 논란
- 농약통에 주스 살포…백종원 식품위생법 위반 논란까지
- "공격에 활력 넣었지만…" 또 늦게 투입된 손흥민, 5~6점대 평점
- 尹파면 58.6%·복귀 36.1%…헌재 신뢰 56.8%
- 동미참 예비군은 왜 20년 넘게 훈련비를 못 받았나
관련링크
- 이전글이재명 대표 비판하는 권영세 비대위원장 25.03.17
- 다음글류삼영 "尹 파면되면…민주당·MBC·JTBC·뉴스공장 등 방비 필요" 25.03.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