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봇 투입" "소총드론 적 쏴라"…北 놀랄 핵시설 소탕 무인 전력 [이...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하늘엔 드론이 날아다니고, 땅에선 로봇이 움직였다.

미국 육군 제2 보병사단 장병이 북한 WMD 의심시설 진입하기 전 팩봇 로봇으로 안을 정찰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022년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은 1980년대부터 화학무기를 생산해 2500~5000t의 화학무기를 저장하고 있다. 탄저균·천연두·페스트 등 다양한 종류의 생물 무기를 자체적으로 배양하고 생산할 수 있는 능력도 보유하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의 ‘북한의 핵탄두 수량 추계와 전망’에 따르면 북한은 핵탄두 80~90기를 갖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
80~90기 핵폭탄 보유한 북한
북한 핵·미사일 고도화가 빠른 속도로 나가면서, WMD 제거는 한·미 군 당국 유사시 군사작전 중 우선 순위에 들어갔다. 그래서 2009년부터 한·미 연합훈련 때 연합 WMD 제거 훈련을 꼬박꼬박 해왔다. 이들 훈련은 주로 ‘워리어 스트라이크Warrior Strike’라고 불렀다.

경기도 화생방 종합 훈련장. 북한의 WMD 저장시설을 흉내 낸 실내 훈련장. 이철재 기자
지난 12일 WMD 제거 훈련은 지난 10일 시작한 한·미 연합연습인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의 하나로 열렸다.
이날 훈련의 특이 사항은 세 가지다. 우선, 기사 앞머리서 썼듯 무인 전투 전력이 대거 동원됐다. 또 하나, 그동안 군 당국은 WMD 제거 훈련을 사후 보도자료와 사진, 동영상을 통해 공개했는데, 이날 처음으로 훈련 현장을 언론이 취재하도록 허용했다. 마지막, 군 당국이 북한의 WMD 시설을 따라 만든 훈련장을 최초로 드러냈다.
경기도에 있는 이 훈련장의 정식 명칭은 ‘화생방 종합 훈련장’이다. 지난 2022년 9월 완공됐다. ‘화생방’이라 해서 CS가스최루탄를 터트리는 훈련장이라 생각할 수 있는데, 오산이다.
4만㎡ 이상의 부지에 각종 건물이 들어섰다. 이들 건물은 북한의 생물 연구 시설, 화학 연구 시설, 핵 연구 시설, 미사일 관련 시설을 본떠 만들어졌다. 특히 ‘화학탄 저장 시설’과 ‘WMD 연구 시설’은 지하 갱도처럼 지어졌다. 북한의 핵 연구 시설을 가정한 WMD 연구 시설 안은 빛이 안 들어와 캄캄하고, 미로처럼 복잡한 구조로 돼 있다. 북한군이 생활하는 격실 모양의 공간도 마련됐다.

경기도 화생방 종합 훈련장. 북한의 화학탄 저장시설을 흉내 낸 실내 훈련장. 노란색 머리띠를 두른 병력이 대항군. 이철재 기자
━
소총 드론이 공중에서 적 제압
12일 WMD 제거 훈련에 참가한 부대는 제25 보병사단과 미 제2 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이다. 25사단은 보병 대대를 근간으로 화생방·공병 등 군단의 기능부대를 편조한 군단 통합지원특수임무부대ISTF를 꾸렸다. 25사단의 ISTF는 미군과 연계해서 한·미 연합 WMD 대응부대CWMD-TF로 참가했다.

ISTF가 북한 WMD 의심시설로 진입하기 앞서 연막탄을 터뜨렸다. 방탄 방패로 몸을 가린 모습. 육군
적 지역으로 침투한 특수전사령부 정찰팀이 WMD 의심 시설을 발견한 뒤 이를 보고하면서 WMD 제거 훈련이 시작했다. 25사단은 즉시 1개 보병대대와 사단의 1개 공병소대, 화생방지원 1개소대, 군단 폭발물처리반EOD, 특전사 1개 팀으로 ISTF를 편성했다.
25사단은 육군의 워리어 플랫폼과 드론봇을 구현한 아미 타이거 시범부대다. 그래서 육군이 보유한 무인 전력이 대거 등장했다.

다목적 무인 차량. 정찰뿐만 아니라 공격도 가능하다. 이철재 기자
이어 소총 조준사격 드론이 출동했다. 회전날개가 6개 달린 헥사콥터에 K2 소총을 단 드론이다. 소총 조준사격 드론은 처음 나왔을 때만 하더라도 비행 중 심하게 흔들리는 기체에서 사격하는 것이라 명중률이 형편없었다. 그러나 반동 흡수 장치와 2축 짐벌을 장착하면서부터 정밀 사격이 가능해졌다. 고성능 광학 카메라에 영상 추적 시스템을 탑재해 정확한 조준도 할 수 있다.

25사단 장병이 소총조준사격 드론을 준비하고 있다. 육군

비행 중인 소총조준사격 드론. 육군
━
적진 정찰은 무인차량과 로봇이
통로가 열리자 ISTF는 다목적 무인차량을 밀어 넣었다. 6개의 바퀴가 달린 이 차량은 원격사격통제체계RCWS로 K2 소총을 쏠 수 있다. 전기 모터로 움직이기 때문에 소음이 적었다. 조종으로 움직이는데, 인공지능AI 덕분에 스스로 주행하거나, 사람을 따라 다닐 수도 있다. 군 당국은 다목적 무인차량을 감시나 정찰은 물론 전투, 부상병·물자 이송 등 다양한 임무를 맡길 계획이다.

ISTF가 다목적 무인 차량과 함께 북한 WMD 의심시설로 진입하고 있다. 육군

ISTF가 화학작용제 탐지 장비로 오염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육군

K5 신형 방독면. 정화통이 2개다. 이철재 기자

ISTF가 건물로 들어가기 전 다족 보행 로봇을 들여보내고 있다. 육군

다족 보행 로봇을 조종하는 부사관. 지휘관과 늘 붙어다니며 정찰 내용을 바로바로 보고한다. 이철재 기자
내부 대항군의 규모와 위치를 알아낸 뒤 진입 부대는 총격전에서 보호할 방탄 방패도 갖추고 소탕작전에 들어갔다. 클리어~. 화학탄 저장시설엔 포로 발사할 수 있는 화학탄이 가득했다. 진입 부대는 소탕작전 후 K-CAM2로 현장을 확인했다.

ISTF가 북한 WMD 의심시설 안을 소탕하고 있다. 육군

ISTF가 북한 WMD 의심시설 안을 소탕하고 있다. 육군

ISTF가 북한 WMD 의심시설 안을 소탕하고 있다. 육군

ISTF가 북한 WMD 의심시설 안을 소탕하고 있다. 육군

대항군이 놓은 부비트랩. 발에 걸리면 폭발물이 터진다. 이철재

생물학 생산시설 2층에 숨은 대항군 저격수. 대항군은 노란색 머리띠를 둘렀다. 육군
━
야간투시경 쓰고 핵 시설 내부 소탕
미군이 북한 WMD 의심시설 작전에 가세했다. 한반도에 순환배치 중인 미 육군 제2 보병사단 20연대 5대대 소속 스트라이커 부대였다. ISTF와 미 스트라이커 중대는 연합지휘소를 꾸려 WMD 확보 계획을 짰다. 이제 CWMD-TF가 나섰다.

미군의 합동경량전술차량JLTV. 이철재 기자

CWMD-TF의 한·미 장병이 작전을 논의하고 있다. 육군

미군 장병이 휴대용 절단기로 철문에 구멍을 내고 있다. 육군

CWMD-TF 미군. 이철재 기자

미군 장병이 팩봇을 준비하고 있다. 육군
그리고 내부 진입. 원래 훈련에선 전등을 켜지 않고, 최루탄을 터뜨린다고 한다. 그러나 이날 언론 취재를 배려해 전등을 켜고, 최루탄을 터뜨리지 않았다. 하지만 여러 번 훈련을 했는지 WMD 연구시설 안은 조금 매캐했다. 미군의 방탄 방패는 바퀴가 달린 이동식 방탄 방패였다.

CWMD-TF 미군. 바퀴가 달린 방탄 방패가 인상적이다. 이철재 기자
작전 종료.
ISTF를 지휘한 마동혁 대대장중령은 “ISTF와CWMD-TF간의 연계·통합작전을 훈련해 볼 수 있었던 귀중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미측 윌리엄 테일러 중대장대위은 “이번 훈련을 통해 한·미동맹이 한층 더 강해졌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군 당국이 최대한 실전과 가까운 환경에서 훈련할 수 있도록 훈련장을 북한 WMD 시설과 최대한 비슷하게 만든 점은 칭찬할 만하다. 다만 좀 더 많은 무인 전력을 동원할 수 있었으면 했다. WMD 제거는 어렵고 위험한 군사 작전이기 때문에 특히 더 그렇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보듯 FPV 레이싱 드론을 개조한 자폭 드론이 더 유용하니, 이를 창끝부대에 더 많이 보급할 필요가 있다. 미국 특수전사령부SOCOM는 땅굴이나 지하 시설에서 소탕 작전을 벌일 때 소형 정찰 FPV이 유용하다고 판단했다.
또 하나. 무인 전력을 많이 확보했으면, 아낌없이 썼으면 한다. 무인 전력은 대개 값비싸다. 미군도 무인기를 잃어버리거나 망가뜨리면 나중에 조사를 받기 때문에 실전에서 투입하길 주저한다고 한다. 한국군은 오죽할까.

고글을 쓰고 FPV를 조종하는 미국 육군 특수전사령부그린베레 장병. 미 육군
이철재 국방선임기자 seajay@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미친개 아들에 질렸다…엄마 죽고 5년뒤 터진 일
▶ "성관계 어렵다" 스타벅스, 727억 배상, 무슨 일
▶ 온몸 곪아 묶인채 괴성…"난 살아있습니까"
▶ 女관광객 집단 성폭행…동행男은 강에 던져져 익사
▶ 만리장성서 엉덩이 노출뒤 찰칵…日남녀 충격 행동
▶ 故휘성, 눈물 속 발인… 마지막 가는 길 이 곡 흘렀다
▶ "20억 없다? 가지 마라" 국제학교 뜯어말리는 이유
▶ "암투병 자식 주려고" 마트서 소고기 훔친 엄마 결국
▶ 기네스 오른 日 108세 女이발사…장수비결 뭐길래
▶ 폭싹 속았수다 전세계 대박…제주 아주 신났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철재 seajay@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한동훈, 미 민감국가 지정에 "계엄 막기 위해 앞장선 이유" 25.03.16
- 다음글임지봉 로스쿨 교수 "尹 탄핵 인용 결정문 헌법 수호 의지 없다 예상" 25.03.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