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측 헌재 빠른결정 촉구 왜…탄핵 전원일치 설득 움직임 차단
페이지 정보

본문

尹은 관저 복귀 7일째 침묵
與 “내주 초 각하·내주 말 기각”
윤석열 대통령은 관저 복귀 7일째인 14일 침묵을 이어가고 있지만, 윤 대통령 법률 대리인단은 헌법재판소의 ‘이른 기각 결정’을 촉구하고 나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당사자인 윤 대통령은 차분히 헌재 결정을 기다리되, 대리인단은 혹시 있을지 모르는 일부 재판관의 ‘전원 일치’ 설득 움직임과 그로 인한 선고 지연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조금씩 바뀌는 헌재 기류에 따라 여권에서는 ‘내주 초 각하, 내주 말 기각’ 가능성을 언급하는 목소리들이 커지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용산의 입장은 달라진 게 없다”고 했다. 윤 대통령도 전날 최재해 감사원장 등의 탄핵소추에 대한 헌재의 ‘무더기 기각’ 결정에도 직접 메시지를 내지 않고 절제하는 모습이다.
반면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대통령 탄핵도 기각돼야 한다”며 공세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윤 대통령 측 윤갑근 변호사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헌재가 폭주하는 기관차처럼 지금까지 왔는데, 결심 이후 심리가 길어지는 것에 대해 이유는 알지 못하지만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 측이 ‘신속성’ 원칙에 따라 심리를 진행해 온 헌재의 일부 기류 변화를 최근 감지하고, 이른 선고 및 각하·기각 주장에 본격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또 재판관들 간에 이견이 표출됐을 가능성, 일부 재판관이 전원 일치 설득을 하고 있을 가능성 등에 대응하기 위한 윤 대통령 측의 조치라는 분석도 있다.
이 같은 기류에 따라 여권 내부에서는 주초에 사건이 각하되거나, 주 후반에 기각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기대감이 퍼지고 있다. 여권 한 관계자는 “기각, 인용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내주 초 헌재가 전격 각하 결정을 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다만, 재판관들 사이 평결은 선고 직전에나 이뤄지며, 재판관들이 평의 내용을 직간접적으로 유출하는 일은 없다는 점을 근거로 ‘희망 섞인 소설’로 일축하는 목소리도 크다.
손기은 기자 son@munhwa.com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尹 탄핵 헌재 선고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 안 해’ 42%…헌재 ‘불신’ 45%
▶ 아파트서 좌회전 차량에 놀란 70대 넘어져 사망…운전자 검찰 송치
▶ 아빠 오토바이 뒤에 타고 등교하던 초등학생, 승용차 충돌로 숨져
▶ ‘첫사랑’ 동창에 흔들린 남편, “이젠 지쳤다” 이혼 요구한 사연
▶ ‘尹 파면’ 촉구 회의 열리는 광화문에 이재명 빠지는 이유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與 “내주 초 각하·내주 말 기각”
윤석열 대통령은 관저 복귀 7일째인 14일 침묵을 이어가고 있지만, 윤 대통령 법률 대리인단은 헌법재판소의 ‘이른 기각 결정’을 촉구하고 나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당사자인 윤 대통령은 차분히 헌재 결정을 기다리되, 대리인단은 혹시 있을지 모르는 일부 재판관의 ‘전원 일치’ 설득 움직임과 그로 인한 선고 지연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조금씩 바뀌는 헌재 기류에 따라 여권에서는 ‘내주 초 각하, 내주 말 기각’ 가능성을 언급하는 목소리들이 커지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용산의 입장은 달라진 게 없다”고 했다. 윤 대통령도 전날 최재해 감사원장 등의 탄핵소추에 대한 헌재의 ‘무더기 기각’ 결정에도 직접 메시지를 내지 않고 절제하는 모습이다.
반면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대통령 탄핵도 기각돼야 한다”며 공세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윤 대통령 측 윤갑근 변호사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헌재가 폭주하는 기관차처럼 지금까지 왔는데, 결심 이후 심리가 길어지는 것에 대해 이유는 알지 못하지만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 측이 ‘신속성’ 원칙에 따라 심리를 진행해 온 헌재의 일부 기류 변화를 최근 감지하고, 이른 선고 및 각하·기각 주장에 본격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또 재판관들 간에 이견이 표출됐을 가능성, 일부 재판관이 전원 일치 설득을 하고 있을 가능성 등에 대응하기 위한 윤 대통령 측의 조치라는 분석도 있다.
이 같은 기류에 따라 여권 내부에서는 주초에 사건이 각하되거나, 주 후반에 기각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기대감이 퍼지고 있다. 여권 한 관계자는 “기각, 인용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내주 초 헌재가 전격 각하 결정을 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다만, 재판관들 사이 평결은 선고 직전에나 이뤄지며, 재판관들이 평의 내용을 직간접적으로 유출하는 일은 없다는 점을 근거로 ‘희망 섞인 소설’로 일축하는 목소리도 크다.
손기은 기자 son@munhwa.com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尹 탄핵 헌재 선고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 안 해’ 42%…헌재 ‘불신’ 45%
▶ 아파트서 좌회전 차량에 놀란 70대 넘어져 사망…운전자 검찰 송치
▶ 아빠 오토바이 뒤에 타고 등교하던 초등학생, 승용차 충돌로 숨져
▶ ‘첫사랑’ 동창에 흔들린 남편, “이젠 지쳤다” 이혼 요구한 사연
▶ ‘尹 파면’ 촉구 회의 열리는 광화문에 이재명 빠지는 이유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관련링크
- 이전글이준석 "대통령 돼면 尹 사면 안 해…여가부는 역할 재검토" 25.03.15
- 다음글연금개혁 급물살…민주 "43% 안 수용", 여당 "환영" 25.03.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