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한국, 北 혈맹이었던 시리아와 수교…유엔 마지막 미수교국
페이지 정보

본문
아사드 정권 축출이 계기

김은정왼쪽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 국장이 지난달 7일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과도정부 외교장관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외교부
지난해 ‘북한 형제국’ 쿠바에 이어 시리아와도 수교하면서 남북한을 제외한 191개 유엔 회원국 모두와 수교를 맺게 됐다. 교황청, 쿡 제도, 니우에 등 3개 유엔 비회원을 포함하면 시리아는 한국의 194번째 수교국이 된다. 외교 소식통은 “한국 외교사의 쾌거快擧”라고 평가했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앞서 정부는 지난달 김은정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 대표단을 시리아에 보내 수교를 타진했다. 대표단은 수도 다마스쿠스에서 아스아드 알 샤이바니 과도정부 외교장관 등을 만나 양국 협의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 대표단이 시리아를 공식 방문한 것은 2003년 이후 22년 만에 처음이었다.

2013년 김정은이 방북한 시리아 대표단을 만나 접견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외교 소식통
정부는 이후 약 한달간 세부 사항 검토를 거친 뒤 시리아와 수교를 맺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대통령 대행 체제이지만 수교 절차를 지체할 경우 북한이 과도정부 측에 접근해 방해 공작을 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픽=박상훈
정부는 1991년 유엔에 가입한 이후 시리아, 쿠바 등과 수교를 추진했으나 북한의 개입으로 성사되지 못했다. 그러다 지난해 쿠바가 수교에 전격 합의했고, 시리아와도 외교 관계를 정상화할 기회가 정세 변화로 이번에 마련된 것이다.
시리아는 2011년 ‘아랍의 봄’의 여파로 지난 10여 년간 내전을 겪어왔다. 그러다 지난해 12월 8일 이슬람무장단체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이 다마스쿠스를 점령하고 아사드 정권을 축출하며 정권을 잡았다. 현재 HTS의 지도자인 아흐메드 알 샤라 장군이 시리아 과도정부의 임시 대통령 직을 맡고 있다.
조선닷컴 핫 뉴스 Best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노석조 기자 stonebird@chosun.com 김경필 기자 pil@chosun.com
관련링크
- 이전글이준석 의원, 공수처 폐지법 발의 기자회견 25.03.11
- 다음글"윤석열 대통령, 보수 유튜브 출연 가능성…굉장히 위험한 생각" [지금... 25.03.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