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계 만난 이재명 "체포동의안 논란은 저의 부족함 탓"
페이지 정보

본문

박용진 전 의원, 김부겸 전 국무총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경수 전 경남지사,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왼쪽부터이 1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인근 천막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며 단식 농성에 돌입한 김 전 지사를 응원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이 대표는 이날 채널A 유튜브 정치시그널 나이트에 출연해 "촛불혁명 이후 혼란이 있을 때 개헌도 해야 했고, 세력 재편도 해서 합리적 보수와 합리적 진보 진영이 경쟁하는 시스템으로 갔으면 얼마나 좋았겠냐"고 말했다. 이어 "촛불혁명 이후 그 기회를 놓쳤다. 이번에는 그 기회를 잃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당시 민주당이 진보 진영의 영역에서 중도·보수로 이동해야 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촛불혁명 이후 저희도 반성적 고려를 많이 하는 편"이라며 "그때 구조적 소수의 입장에 있던 민주당, 민주 세력이 실제로 진보 세력이라고 하기 어려워서 그때 구조적 다수로 전환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박 전 대통령과 윤 대통령의 탄핵 문제에 대해 "개인의 부정·부패 문제와 국가의 헌정 질서를 통째로 파괴하는 행위는 차원이 다르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보수 논객 정규재씨가 박 전 대통령의 탄핵이 문재인 대통령 시기 집권기에 굉장히 많은 문제를 안겼다는 사실을 느끼냐고 묻자, 이 대표는 "거기윤 대통령와 비교하니 박 전 대통령은 전혀 다른 분"이라며 차이를 강조했다.
또한 보수 진영의 탄핵 부당 주장에 대해서는 "저희는 사법부의 공식 결정에 따라 판단할 수밖에 없는데 박 전 대통령이 무언가를 파괴한 건 아니고 누군가의 부정 행위를 방치, 묵인, 동조했다는 정도다. 그것도 대통령으로서 책임져야 할 일이라는 게 당시의 결론이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당내에서도 이에 대한 재검토 의견이 있었다며 "우리 당 주요 인사도 박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은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따져보자고 했다"라며 "당내에서도 빈말이거나 전혀 근거 없는 헛소리처럼 보이지 않는다. 한 번 검증은 해봐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하다가 중단된 상태"라고 덧붙였다.
한편 자신의 체포동의안 발언과 관련해 비명계 반발이 나오자 이 대표는 "저의 부족함"이라고 언급하며 유감을 표했다. 그는 "제가 그 얘기를 한 건 전사를 얘기하면서 회고한 것이다. 지금은 그런 문제가 심각한 의제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체포동의안 갈등에 대해서는 "지난 일이라고 생각한다. 마음에 가지고 있으면 안 된다. 저는 속에 움켜놓는 성정이 아니다"면서도 "그런데 사람은 조금 다르지 않냐. 섭섭한 분이 계셨던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당내 계파 갈등과 관련해 "저는 최대한 없애려고 한다"며 "기존에 있던 게 있지만 경계선이 단단하지 않다. 거의 허물어지고 있다"고 당내 갈등이 완화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해준 기자 lee.hayjune@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그 생김새 못잊어" 한동훈만 기억한 尹 첫만남
▶ 아내 손발 묶고 30㎝ 성인용 도구로…잔혹남편 충격
▶ 女관광객 집단 성폭행…동행男은 강에 던져져 익사
▶ 노래방서 붙어있던 중년男女…자세히 보니 경악
▶ 계약직 여직원 성관계 불법촬영…부산 발칵, 뭔일
▶ 휘성 1차 부검 결과 사인 미상…"약물 경로 쫓는다"
▶ 김수현, 故김새론 교제 의혹…방송·광고계 불똥
▶ "한국女에 성폭력 무고"…120만 유튜브 삭제, 뭔일
▶ "20억 없어? 가지마라" 국제학교 말리는 이유
▶ 알몸으로 한강 뛰어든 여대생…"아방가르드!" 왜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해준 lee.hayjune@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尹 파면, 더 못 기다려"…민주, 초선부터 6선까지 총결집 25.03.12
- 다음글또 국회 간 전한길…부정선거론 꺼내들며 "국회 해산 사유" 25.03.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