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통령 혼자 말해…국무회의 아니었다" 자리 배치 그려가며 진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3-10 20:05 조회 8 댓글 0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계엄 선포 직전 국무회의 절차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게 여러 국무위원들의 증언입니다. 특히 일부 장관들은 당시 상황을 그림까지 그려가면서 이게 왜 정식 국무회의가 될 수 없는지 검찰에 설명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유선의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검찰 조사에서 비상계엄 선포 직전 윤 대통령의 호출로 용산 대통령실을 찾았을 때 상황을 그림으로 그려 설명했습니다.
밤 9시쯤 대통령실 5층 집무실에선 V, 윤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덕수 국무총리와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 등 8명이 원탁에 둘러 앉았습니다.
조 장관은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이 재외공관이라고 적힌 A4 용지를 건네면서 "비상계엄을 선포하려고 한다"고 말했다고 진술했습니다.
조 장관은 반대했지만 윤 대통령은 "법치주의를 신봉하는 내가 오죽하면 이런 생각을 했겠냐"면서 뜻을 굽히지 않았고, 밤 9시 20분쯤 "이제 나가달라"고 해서 김용현 전 장관만 남고 모두 집무실 옆 회의실로 갔다고 진술했습니다.
조 장관이 이 때 상황을 그린 그림을 보면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빠졌고 한 총리와 조 장관, 조태용 국정원장 등 6명이 전부였습니다.
이 때 한 총리가 "다른 국무위원들도 불러서 얘기를 더 들어봐야 하지 않겠냐고 윤 대통령을 설득했다"면서 다른 국무위원들을 부르기 시작했다는 겁니다.
당시 밤 10시 10분쯤 도착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묘사한 회의실 상황은 이랬습니다.
송 장관은 검찰 조사에서 추가로 도착한 자신과 조규홍 복지부 장관 등 국무위원들,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홍철호 정무수석 등이 어떻게 앉아 있었는지 자세히 그렸습니다.
비상계엄 선포 직전 대통령실 5층 집무실에서 8명의 1차 모임, 바로 옆 회의실에서 10여 명의 2차 모임이 있었던 겁니다.
김용현 전 장관은 이 2차 모임이 국무회의였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몇몇 국무위원이 있을 때 한 총리에게 계엄을 보고했고 국무회의 때 자신이 안건을 나눠주고 심의했다고 검찰에 진술했습니다.
하지만 한 총리는 경찰 조사에서 "나를 거친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진술했습니다.
송 장관은 "심의가 아니라 대통령 혼자 얘기하는 통보받는 자리였다"면서 "안건도, 시작도, 끝도 없었다"고 했습니다.
조 장관은 "국무회의를 개최한 적이 없다"고 진술했습니다.
비상계엄 국무회의라고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절차도 없었다는 겁니다.
[영상취재 김영묵 박재현 / 영상편집 이지훈 / 영상디자인 최수진 김현주]
유선의 기자 yoo.seonui@jtbc.co.kr
[핫클릭]
▶ 윤 대통령 구속 취소 후폭풍…법원 내부서도 "유감"
▶ "소신껏 결정" 검찰총장 발언하는 사이 들려온 외침이
▶ 문상호 "계엄 선포됐으니 모든 건 합법"…고문도 준비
▶ "최후 수단인데?" 전문가들도 갸웃…홈플 사태 보니
▶ 부메랑 된 트럼프 폭탄발언…美 감도는 미묘한 기류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계엄 선포 직전 국무회의 절차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게 여러 국무위원들의 증언입니다. 특히 일부 장관들은 당시 상황을 그림까지 그려가면서 이게 왜 정식 국무회의가 될 수 없는지 검찰에 설명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유선의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검찰 조사에서 비상계엄 선포 직전 윤 대통령의 호출로 용산 대통령실을 찾았을 때 상황을 그림으로 그려 설명했습니다.
밤 9시쯤 대통령실 5층 집무실에선 V, 윤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덕수 국무총리와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 등 8명이 원탁에 둘러 앉았습니다.
조 장관은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이 재외공관이라고 적힌 A4 용지를 건네면서 "비상계엄을 선포하려고 한다"고 말했다고 진술했습니다.
조 장관은 반대했지만 윤 대통령은 "법치주의를 신봉하는 내가 오죽하면 이런 생각을 했겠냐"면서 뜻을 굽히지 않았고, 밤 9시 20분쯤 "이제 나가달라"고 해서 김용현 전 장관만 남고 모두 집무실 옆 회의실로 갔다고 진술했습니다.
조 장관이 이 때 상황을 그린 그림을 보면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빠졌고 한 총리와 조 장관, 조태용 국정원장 등 6명이 전부였습니다.
이 때 한 총리가 "다른 국무위원들도 불러서 얘기를 더 들어봐야 하지 않겠냐고 윤 대통령을 설득했다"면서 다른 국무위원들을 부르기 시작했다는 겁니다.
당시 밤 10시 10분쯤 도착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묘사한 회의실 상황은 이랬습니다.
송 장관은 검찰 조사에서 추가로 도착한 자신과 조규홍 복지부 장관 등 국무위원들,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홍철호 정무수석 등이 어떻게 앉아 있었는지 자세히 그렸습니다.
비상계엄 선포 직전 대통령실 5층 집무실에서 8명의 1차 모임, 바로 옆 회의실에서 10여 명의 2차 모임이 있었던 겁니다.
김용현 전 장관은 이 2차 모임이 국무회의였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몇몇 국무위원이 있을 때 한 총리에게 계엄을 보고했고 국무회의 때 자신이 안건을 나눠주고 심의했다고 검찰에 진술했습니다.
하지만 한 총리는 경찰 조사에서 "나를 거친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진술했습니다.
송 장관은 "심의가 아니라 대통령 혼자 얘기하는 통보받는 자리였다"면서 "안건도, 시작도, 끝도 없었다"고 했습니다.
조 장관은 "국무회의를 개최한 적이 없다"고 진술했습니다.
비상계엄 국무회의라고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절차도 없었다는 겁니다.
[영상취재 김영묵 박재현 / 영상편집 이지훈 / 영상디자인 최수진 김현주]
유선의 기자 yoo.seonui@jtbc.co.kr
[핫클릭]
▶ 윤 대통령 구속 취소 후폭풍…법원 내부서도 "유감"
▶ "소신껏 결정" 검찰총장 발언하는 사이 들려온 외침이
▶ 문상호 "계엄 선포됐으니 모든 건 합법"…고문도 준비
▶ "최후 수단인데?" 전문가들도 갸웃…홈플 사태 보니
▶ 부메랑 된 트럼프 폭탄발언…美 감도는 미묘한 기류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