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266만원 받아, 식비로 80만원 나가요"…청년가구의 퍽퍽한 살림
페이지 정보

본문
국무조정실 2024년 청년의 삶 실태 조사
평균소득 2625만원, 월 생활비는 213만원
[파이낸셜뉴스] 우리나라 청년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가 213만원이라는 정부 조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국무조정실이 발표한 2024년 청년의 삶 실태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중 19∼34세가 세대주인 청년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213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식료품비가 80만원37.6%으로 가장 높았으며, 교통비22만원, 오락·문화비18만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청년 가운데 미혼은 81.0%, 기혼이혼·별거·사별 포함은 19.0%였고, 1인 가구 청년은 23.8%로 파악됐다. 미혼 청년 중 향후 결혼계획은 63.1%남 67.8%, 여 57.5%가, 자녀 출산 의향은 59.3%남 65.1%, 여 52.8%가 있다고 답했다.
청년 개인의 연평균 소득은 2625만원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부채는 1637만원, 평균 재산은 5012만원으로 조사됐다.
취업자의 비율은 67.7%로, 이들의 세금 공제 전 월 소득은 266만원이었다. 취업자 중 전일제주 36시간 이상는 80.4%, 시간제는 19.6%이었으며, 복수 일자리를 가진 비율은 5.5%로 집계됐다.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은 정규직 임금 근로자의 비율은 76.2%로, 이들의 평균 근속 기간은 35개월로 나타났다.
고립·은둔 청년 비율은 5.2%임신·출산·장애 등 1.3% 제외로 지난 2022년 조사2.4% 보다 2.8%p포인트 증가했는데, 고립·은둔 이유로는 취업 어려움이 32.8%로 가장 많았으며, 인간관계 어려움11.1%, 학업중단9.7%, 진학실패2.4%가 그 뒤를 이었다.
최근 1년 동안 번아웃탈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년은 32.2%로 나타났다. 그 원인으로 진로불안39.1%이 가장 높았으며, 업무과중18.4%, 일에 대한 회의감15.6%, 일과 삶의 불균형11.6% 등의 순으로 많았다.
청년이 바라는 삶의 요소중복응답 가능는 일자리95.9%, 인간관계94.7%, 소득과 자산93.0%, 연애78.3%, 결혼74.4%, 사회기여71.8%, 출산·양육69.0% 등의 순으로 높았다.
이번 조사는 국무조정실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것으로 청년기본법에 따른 국가승인통계로 2년마다 작성·공표된다. 조사는 지난 2022년 이래 두 번째로 실시됐으며, 전국 17개 시도의 만 19∼34세 청년 세대원이 있는 1만5000가구를 표본으로 선정했다.
김달원 청년정책조정실장은 "우리나라의 미래인 청년의 삶이 보다 나아질 수 있도록 향후 청년 정책 수립 시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국무조정실 #청년가구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6년 사귄 김수현에게 7억 빌린 故김새론, 김수현 생일날 자택에서..
→ 자택서 숨진 채 발견된 휘성, 신고한 사람 누군지 알고보니..
→ 안방 홈캠에서 들린 신음소리, 교사 남편이 학부모와 알몸으로..
→ 모친은 45년 경력 무속인, 이수근 고백 "내가 물려받은 신이.."
→ 야구선수 출신 강병규 수입 공개 "통장에 300억. 출연료가.."
평균소득 2625만원, 월 생활비는 213만원
![]()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파이낸셜뉴스] 우리나라 청년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가 213만원이라는 정부 조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국무조정실이 발표한 2024년 청년의 삶 실태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중 19∼34세가 세대주인 청년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213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식료품비가 80만원37.6%으로 가장 높았으며, 교통비22만원, 오락·문화비18만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청년 평균 부채 1637만원, 재산은 5012만원
청년이 세대주인 비율은 51.3%로 앞선 조사42.9% 대비 소폭 상승했다. 이는 정부의 청년 주택 공급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청년 가운데 미혼은 81.0%, 기혼이혼·별거·사별 포함은 19.0%였고, 1인 가구 청년은 23.8%로 파악됐다. 미혼 청년 중 향후 결혼계획은 63.1%남 67.8%, 여 57.5%가, 자녀 출산 의향은 59.3%남 65.1%, 여 52.8%가 있다고 답했다.
청년 개인의 연평균 소득은 2625만원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부채는 1637만원, 평균 재산은 5012만원으로 조사됐다.
취업자의 비율은 67.7%로, 이들의 세금 공제 전 월 소득은 266만원이었다. 취업자 중 전일제주 36시간 이상는 80.4%, 시간제는 19.6%이었으며, 복수 일자리를 가진 비율은 5.5%로 집계됐다.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은 정규직 임금 근로자의 비율은 76.2%로, 이들의 평균 근속 기간은 35개월로 나타났다.
고립·은둔 청년 2년 전보다 2배 늘어 심각
한편 거의 집에만 있는 고립·은둔 청년이 2년 전보다 2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립·은둔 청년 비율은 5.2%임신·출산·장애 등 1.3% 제외로 지난 2022년 조사2.4% 보다 2.8%p포인트 증가했는데, 고립·은둔 이유로는 취업 어려움이 32.8%로 가장 많았으며, 인간관계 어려움11.1%, 학업중단9.7%, 진학실패2.4%가 그 뒤를 이었다.
최근 1년 동안 번아웃탈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년은 32.2%로 나타났다. 그 원인으로 진로불안39.1%이 가장 높았으며, 업무과중18.4%, 일에 대한 회의감15.6%, 일과 삶의 불균형11.6% 등의 순으로 많았다.
청년이 바라는 삶의 요소중복응답 가능는 일자리95.9%, 인간관계94.7%, 소득과 자산93.0%, 연애78.3%, 결혼74.4%, 사회기여71.8%, 출산·양육69.0% 등의 순으로 높았다.
이번 조사는 국무조정실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것으로 청년기본법에 따른 국가승인통계로 2년마다 작성·공표된다. 조사는 지난 2022년 이래 두 번째로 실시됐으며, 전국 17개 시도의 만 19∼34세 청년 세대원이 있는 1만5000가구를 표본으로 선정했다.
김달원 청년정책조정실장은 "우리나라의 미래인 청년의 삶이 보다 나아질 수 있도록 향후 청년 정책 수립 시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국무조정실 #청년가구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6년 사귄 김수현에게 7억 빌린 故김새론, 김수현 생일날 자택에서..
→ 자택서 숨진 채 발견된 휘성, 신고한 사람 누군지 알고보니..
→ 안방 홈캠에서 들린 신음소리, 교사 남편이 학부모와 알몸으로..
→ 모친은 45년 경력 무속인, 이수근 고백 "내가 물려받은 신이.."
→ 야구선수 출신 강병규 수입 공개 "통장에 300억. 출연료가.."
관련링크
- 이전글고용노동부 장관 발언 듣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25.03.12
- 다음글윤석열 탄핵 선고일은 언제?…조기대선 향한 복잡한 셈법 25.03.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