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내 체포안 가결, 檢·당내 일부 짠 것" 비명 "뒤에서 칼 꽂아"
페이지 정보

본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전현희 최고위원의 발언을 듣던 중 미소를 짓고 있다. 2025.2.24/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심언기 임세원 임윤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재작년 자신의 체포동의안 표결 당시 찬성했던 의원들을 원색 비난하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가결 표를 던진 의원들을 검찰과 거래한 집단으로 규정하며 "책임을 묻겠다"고 예고하기까지 했다.
김경수 전 지사와 임종석 전 실장, 박용진 전 의원 등과 잇단 회동으로 당내 통합 행보를 벌여온 이 대표의 돌출 폭탄 발언에 당은 5일 크게 술렁였다. 당장 비명계에선 강력한 반발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검찰과 다 짜고 체포동의안 표결…책임 물어야 한다"
이 대표는 이날 공개된 유튜브 매불쇼에서 2023년 9월 체포동의안 표결 당시를 회상하며 강한 분노를 표출했다. 당시 본회의 표결에서는 당내 이탈 표가 대거 나오며 가결됐는데, 법원의 영장 기각으로 이 대표가 구속되지는 않았다.
이 대표는 "검찰이 수사 과정에서 벌인 일, 타임 스케줄에 따라 한 일 등과 당내에서 움직이며 내게 비공식적으로 요구한 것, 협상안으로 제시한 것을 맞춰 보니 다 짜고 한 짓"이라며 "짰다는 증거는 없고 추측이긴 하지만 대충 시기가 맞더라"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게 나중에 보니 검찰의 영장 청구 시점과 거의 맞아떨어졌다"며 "그땐 추측만 했는데 나중엔 거의 확신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당시 자신이 받았던 요구 내용과 관련해 "당 대표직을 사퇴하면 봐 준다, 사퇴 안 하면 영장에 동의해서 구속한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대표는 가결 표를 던진 의원들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민주당을 사적 욕구의 도구로 쓰고 상대 정당이나 폭력집단과 암거래를 하면 당이 뭐가 되겠냐"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비명횡사 공천 논란과 관련 "구속 가능성이 높아지는 위험을 감수하고 부결을 요청해서 가결 동의자를 최소화하고, 거기에 대해 당과 국민이 책임을 물을 것이라 본 것"이라며 "총선에서 그게 다 드러나서 정리가 되면서 결국 그렇게 됐다. 제가 그들을 구체적으로 제거하지는 않았지만 책임을 물어야 그게 민주정당"이라고 했다.
친명계 "다 지난 일" 당혹…비명계 "뒤에서 칼 꽂아" 부글부글
이 대표가 체포동의안 표결 찬성 의원들에 대한 보복을 예고하자 친명계는 당혹감을 드러냈고, 비명계는 속마음이 드러났다는 반응이 터져 나왔다.
친명계 한 당직자는 "다 지난 과거 얘기니까 허심탄회하게 얘기한 것"이라며 "지금은 비명계 통합과 포용의 행보가 맞고, 정치보복 암시나 예고 그런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반면 22대 총선에서 낙선한 비명계를 주축으로 한 초일회는 긴급 입장문을 내고 "이재명 대표가 아무런 근거도 없이 동료 의원들이 검찰이나 국민의힘과 내통했다고 한 것은 동료에 대한 인격모독이고 심대한 명예훼손"이라고 강력히 반발했다.
초일회는 "이재명 대표가 당내 통합을 얘기하면서 분열주의적 발언을 한 것에 경악하지 않을 수 없다"며 "앞에서 웃고 뒤에서 칼 꽂는 격이다. 통합 행보는 쇼였느냐"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즉각 막말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동연 경기지사도 이날 한 행사 참석 뒤 기자들과 만나 "처음 듣는 얘기"라면서도 "민주당 의원들이 검찰과 그렇게 할 것이라고는 저는 상상이 안 된다"고 했다.
이 대표의 보복 암시 발언은 적지 않은 당내 분란을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비명계 핵심 인사들과 대권주자들이 공개 활동을 늘려가며 이 대표 견제 수위를 높여가던 시점에 나온 돌출 발언인 점도 공교롭다.
이 대표가 향후 통합 행보를 이어가더라도 그 진정성을 의심하는 시선을 불식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3철로 불린 친문 핵심 전해철 전 의원은 전날 세계일보와 한 인터뷰에서 "만나기만 한다고 해서 통합이 되겠나"라며 "통합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eonki@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선관위, 채용비리 징계절차 착수…채용된 당사자도 직무배제종합 25.03.05
- 다음글장제원, 성폭력 혐의에 "고소 내용 거짓…당 잠시 떠나겠다"종합 25.03.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