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대통령 임기 3년 단축 개헌 반대 59.5%…민주 지지층 71.5% 반대
페이지 정보

본문

‘범보수 대선주자 적합도’ 김문수 25.0%
‘범진보 대선주자 적합도’ 이재명 48.0%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고 개헌을 완수하는 방안에 대해 여론조사 응답자의 약 60%가 반대 의사를 밝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70% 이상이 이 같은 방식의 개헌에 부정적이었다.
5일 리서치뷰가 KPI 뉴스 의뢰로 지난 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59.5%가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는 방식의 개헌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찬성은 28.9%였다. 응답자의 11.6%는 ‘모름·기타’를 택했다.
앞서 정치권에서는 “차기 대통령 임기는 3년으로 단축하고, 2028년에 총선·대선을 동시에 치르자”는 구상이 제기된 바 있다. 임기 단축 개헌을 통해 행정부대통령와 입법부국회의 권력 충돌을 사전에 막자는 취지지만 호응은 높지 않은 셈이다.
특히 정파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에서 반대71.5%가 찬성18.1%의 약 3.9배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도 반대49.9%가 찬성37.9%보다 높았다. 이념 성향별로는 보수층, 진보층, 중도층에서 모두 반대가 과반을 차지했다. 반대 의견 비율은 진보층 67.3%, 중도층 62.1%, 보수층 53.3%였다.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민주당의 최대 위협 요인을 묻는 질문에는 37.0%가 ‘이재명 사법 리스크’라고 답했다. ‘집권 시 일방 독주에 대한 의구심’17.1%, ‘친명·개딸의 공격적 언행에 따른 내부 분열’10.6% 등이 뒤를 이었다.
국민의힘의 최대 위협 요인을 묻는 질문에는 27.2%가 ‘헌정 중단을 야기한 윤석열 리스크’라고 답했다. ‘탄핵 찬반 갈등에 따른 보수 분열’19.1%, ‘전광훈 등 극우 세력 동조에 따른 고립’17.5%, ‘대선 주자가 연루된 명태균 게이트’16.9% 등이 뒤를 이었다.
‘범보수 대선주자 적합도’를 물은 결과에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25.0%로 가장 앞섰다.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은 14.4%였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8.5%, 오세훈 서울시장 7.4%, 홍준표 대구시장 6.2%, 안철수 의원 5.9%로 집계됐다.
‘범진보 대선주자 적합도’에선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48.0%로 가장 앞섰다.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은 7.3%, 김동연 경기지사는 5.5%, 김부겸 전 국무총리 5.0%, 김경수 전 경남지사 1.9%로 집계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ARS 전화 조사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4.0%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임정환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홈플러스, 회생절차 신청…“온·오프라인 매장은 정상 운영”
▶ 겉으로는 반미 외치는데...알고보니 자녀는 ‘미국 시민권자’
▶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혐의 피소…“전혀 사실 아냐” 반박
▶ 이재명 지지율 40%선 돌파…‘박스권 탈출’ 분석-한국사회여론연구소
▶ 尹 측 “공수처, 수사기록 목록 열람 불허…감추고픈 기록 있나”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범진보 대선주자 적합도’ 이재명 48.0%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고 개헌을 완수하는 방안에 대해 여론조사 응답자의 약 60%가 반대 의사를 밝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70% 이상이 이 같은 방식의 개헌에 부정적이었다.
5일 리서치뷰가 KPI 뉴스 의뢰로 지난 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59.5%가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는 방식의 개헌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찬성은 28.9%였다. 응답자의 11.6%는 ‘모름·기타’를 택했다.
앞서 정치권에서는 “차기 대통령 임기는 3년으로 단축하고, 2028년에 총선·대선을 동시에 치르자”는 구상이 제기된 바 있다. 임기 단축 개헌을 통해 행정부대통령와 입법부국회의 권력 충돌을 사전에 막자는 취지지만 호응은 높지 않은 셈이다.
특히 정파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에서 반대71.5%가 찬성18.1%의 약 3.9배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도 반대49.9%가 찬성37.9%보다 높았다. 이념 성향별로는 보수층, 진보층, 중도층에서 모두 반대가 과반을 차지했다. 반대 의견 비율은 진보층 67.3%, 중도층 62.1%, 보수층 53.3%였다.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민주당의 최대 위협 요인을 묻는 질문에는 37.0%가 ‘이재명 사법 리스크’라고 답했다. ‘집권 시 일방 독주에 대한 의구심’17.1%, ‘친명·개딸의 공격적 언행에 따른 내부 분열’10.6% 등이 뒤를 이었다.
국민의힘의 최대 위협 요인을 묻는 질문에는 27.2%가 ‘헌정 중단을 야기한 윤석열 리스크’라고 답했다. ‘탄핵 찬반 갈등에 따른 보수 분열’19.1%, ‘전광훈 등 극우 세력 동조에 따른 고립’17.5%, ‘대선 주자가 연루된 명태균 게이트’16.9% 등이 뒤를 이었다.
‘범보수 대선주자 적합도’를 물은 결과에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25.0%로 가장 앞섰다.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은 14.4%였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8.5%, 오세훈 서울시장 7.4%, 홍준표 대구시장 6.2%, 안철수 의원 5.9%로 집계됐다.
‘범진보 대선주자 적합도’에선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48.0%로 가장 앞섰다.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은 7.3%, 김동연 경기지사는 5.5%, 김부겸 전 국무총리 5.0%, 김경수 전 경남지사 1.9%로 집계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ARS 전화 조사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4.0%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임정환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홈플러스, 회생절차 신청…“온·오프라인 매장은 정상 운영”
▶ 겉으로는 반미 외치는데...알고보니 자녀는 ‘미국 시민권자’
▶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 혐의 피소…“전혀 사실 아냐” 반박
▶ 이재명 지지율 40%선 돌파…‘박스권 탈출’ 분석-한국사회여론연구소
▶ 尹 측 “공수처, 수사기록 목록 열람 불허…감추고픈 기록 있나”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관련링크
- 이전글"文 따라한 걸…" 눈총에 전한길 "한동훈은 배신자, 입장 여전" 25.03.05
- 다음글의원회관에서 열린 신춘법회 25.03.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