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사 사망 추락 진화헬기 30년 쓴 노후 기종이었다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조종사 사망 추락 진화헬기 30년 쓴 노후 기종이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3-26 14:35

본문

경북 의성 산불 현장에서 진화 헬기 추락 사고가 발생한 26일 이와 관련 전국 산불 현장 헬기 운항 중단이 내려진 가운데 경북 영양군 영양읍에 산불 진화 헬기가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최악의 산불이 엿새째 계속되는 가운데 26일 낮 경북 의성에서 산불 진화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숨졌다. 강원도가 산불 진화를 위해 임차한 기령기체 나이 30년 된 헬기로, 사고 원인은 조사 중이다.

산불 진화용 헬기는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운용하고 있다. 산림청은 자체 보유 헬기를, 지자체는 민간에서 임차한 헬기를 쓴다. 강원도는 산불 진화를 위해 6대의 헬기를 임차해 쓰고 있다. 이번에 추락한 헬기는 산불 진화 지원을 위해 투입됐다.

사고 원인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산불 진화용 헬기의 노후화·정비 문제는 국회 국정감사 등에서 수년째 지적됐다.

산림청의 경우 헬기 노후화에 견줘 정비 인력은 부족한 수준이다. 2023년 기준 산림청 보유 헬기 47대현재 50대 가운데 기령 20년 초과 헬기가 66%31대, 30년 초과 헬기는 19.1%9대였다. 정비 인력은 헬기 1대당 1.9명 수준이었다. 산림청과 같이 자체 헬기를 보유·운용하는 해양경찰청1대당 5.5명, 소방청1대당 4명, 경찰청1대당 3.3명에 비춰볼 때 정비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023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산림 항공기 안전 확보를 위한 산림보호법 개정안 검토보고서를 보면, 2013∼2023년 산불 진화 중 헬기가 추락한 사례는 10건이다. 모두 16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다. 이번 의성 추락 사고까지 합하면 12년간 11건 추락 사고가 발생해 17명이 사망했다.

산림청 보유 헬기 사고는 3건이다. △2018년 12월 서울 한강 추락기령 21년, 비행고도 착각, 사망 1명·부상 2명 △2017년 5월 강원 삼척 추락기령 22년, 고압선 충돌, 사망 1명 △2013년 5월 경북 안동 추락기령 5년, 비행고도 착각, 사망 2명·부상 1명 사고가 있었다.

지자체 임차 헬기 사고의 경우 산림청 헬기 사고에 견줘 기체 나이가 특히 많은 것이 눈에 띈다. 같은 기간 지자체가 임차한 헬기 추락 사고는 7건산불 진화 4건, 일반 화재·산불 계도·자재 운반 각 1건이 있었다. 가장 최근인 2022년 11월 강원도 양양에서 기령 47년짜리 헬기가 산불 계도 비행 중 추락해 5명이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또 △2022년 5월 경남 거제 추락기령 52년, 자재 운반 중, 사망 2명·부상 1명 △2021년 충북 청주 추락기령 16년, 담수 작업 중, 사망 1명·부상 1명 △2020년 3월 울산 울주 추락기령 41년, 담수 뒤 이륙 중, 사망 1명 △2017년 11월 전남 보성 추락기령 24년, 물주머니와 꼬리날개 충돌, 사망 1명 △2016년 3월 경기 화성 추락기령 44년, 연료펌프 미작동, 사망 1명 △2016년 1월 전북 김제 추락기령 23년, 꼬리회전날개 볼트 이탈, 사망 1명 사고가 있었다.

국회 검토보고서는 “산림청 보유 헬기 사고의 경우 노후화에 따른 기체 결함이 직접적 사고 원인은 아닌 것으로 파악되는 반면, 지자체 임차 헬기의 경우 기령 20년이 넘은 헬기경년기 추락 사고가 6건에 달해 산림청과 대조를 이룬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자체 임차 헬기에서 추락 사고가 많이 발생한 이유는 경년기가 많고, 안전 관리 및 부품 교체·정비 등이 미흡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지난 11일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산림항공기 기령과 부품 내구연한을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산림보호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한편, 올해 산림청은 △산불 진화용 헬기 2대 도입880억원 △고성능 산불 진화차 16대 배치60억원 △송전탑 활용 산불위험 조기감지 감시망 100곳 확충24억원 △산불 예보시스템 고도화2억4600만원 △공무원 진화대 방염복 등 보호장비 지급1억5400만원 등에 예산을 편성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lt;한겨레 인기기사gt;■


산청 산불, 결국 지리산 안으로 번져…“불길 잡기 어려운 상황”

문재인 전 대통령 “윤 탄핵선고, 이번주 안 넘기길 간곡히 당부”

의성 산불진화 헬기 추락...조종사 1명 숨져

‘초유의 사태’ 거듭했던 이재명의 사법리스크 3년

한국 산불, 나사 위성에 찍혔다…불길 따라 선명한 연기

헌재에 ‘윤 신속선고 촉구’ 결의안, 법사위 통과…국힘은 불참

경북 18명 사망…“서 있기 힘든 강풍, 불길 날아다녔다”

신생아 가구에 특공 1번 더…공공분양 일반공급도 50% 우선권

그을린 방화복 재사용…“영웅들 지키자” 사흘새 3억 모였다

헌법학자 “헌재, 윤석열 선고 고의 지연 가능성” 주장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39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7,94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