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면적 비슷한데…경북 내 비상소화장치, 강원의 ¼
페이지 정보

본문
소방청 "과거 대형산불 피해 컸던 강원부터 설치…타지역도 늘려갈 것"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경북도 내 산림 인근 지역에 설치된 비상소화장치가 비슷한 산림 규모를 지닌 강원도의 4분의 1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소화장치는 화재 발생 초기 지역민이 불을 끌 수 있게 한 설비다. 소화장치함 내 호스가 소화전에 연결돼 있어 용수 개폐 장치를 열면 호스를 통해 수돗물이 분사돼 초기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도로 폭이 좁거나 비포장도로가 많아 소방차 접근이 어려운 농어촌·산림 인접 마을 등이 주요 설치 대상이다. 영농 부산물·쓰레기를 태우다 불이 났을 경우 산으로 옮겨붙지 못하게 하거나 산불이 민가로 내려오는 것을 막는 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9일 소방청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기준 전국 곳곳에 설치된 비상소화장치는 모두 1만4천32대다. 이중 산림 인접 마을에 설치된 비상소화장치는 2천807대다.
주요 시도별로 보면 산림 인접 마을에 비상소화장치가 가장 많이 설치된 지역은 강원이었다. 전체 66%1천852대를 차지했다.
반면 이번에 역대 최악의 산불 피해가 난 경북은 15.5%434대에 불과했다.
산림청의 산림 통계 시스템을 보면 경북의 산림면적은 133만3천691㏊로, 강원136만6천644㏊의 97.6% 수준이다.
이처럼 경북과 강원은 산림 면적이 비슷하지만, 경북 산림 인접 마을에 설치된 비상소화장치 수는 강원의 23.4%에 불과했다.
지난 21일 산청과 김해 등에서 대형 산불이 났던 경남도 산림 인접 마을의 비상소화장치 대수는 전체 0.8%23대에 그쳤다. 강원에 비교하면 1.2% 수준이다.
경남의 산림 면적은 69만8천810㏊로, 강원의 절반인 51.1%다.
이 때문에 효과적인 산불 초기 대응을 위해서라도 비상소화장치가 부족한 지역에 관련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명오 서울시립대 명예교수는 "이번 산불 사태를 계기로 비상소화장치가 필요한 위치를 분석해 설치하고, 기존에 설치된 장비는 제대로 가동됐는지 살펴야 한다"며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사용 방법을 홍보하고, 용수 공급 등 사후 관리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소방청 관계자는 "대형 산불 이력을 보면 강원 지역이 월등히 많았고, 2022년 강원 동해안 산불을 계기로 비상소화장치를 강원 지역에 확충했기 때문"이라며 "이번에 산불 피해를 본 경상권을 포함해 나머지 지역도 지자체와 협의해 관련 장비를 지속해서 늘려 가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shlamazel@yna.co.kr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사랑해요" 사고 전날이 마지막…헬기 순직 조종사 아내 오열
- ☞ "불 번지는데 17년지기 혼자 둬 너무 불안"
- ☞ "내 딸 때렸어?" 아동 세워놓고 추궁한 30대…학대죄 될까
- ☞ "기부 안하나요"·DM 발송도…유명인에 산불 피해지원 강요 논란
- ☞ 아시아나 필리핀발 인천행,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 15시간 지연
- ☞ 억만장자 베이조스 재혼에 설레는 베네치아…"수백만 유로 특수"
- ☞ 백종원, 주주에게 첫 사과 "뼈저리게 반성…회사 원점 재점검"
- ☞ 미얀마서 규모 7.7 강진…건물 다수 붕괴·대규모 사상자 발생
- ☞ 돌아가는 삼각지 만든 원로 작곡가 배상태 별세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보수논객 "보수가 어쩌다 이런 집단이 되었나…尹 지지 이해 못 해" 25.03.29
- 다음글대통령 권한대행 일주일 [뉴시스Pic] 25.03.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