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자의 파면, 그냥 상식이다"…한강 등 414명 이례적 성명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탄핵 선고가 늦어지면서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도 목소리를 냈습니다. 훼손되지 말아야 할 가치를 믿는다, 파면은 보편적 가치를 지키는 일이라고 했습니다.
한강 작가뿐 아니라 문학인 400여 명이 저마다의 목소리로 대통령 파면을 촉구했는데, 함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한강/작가 2024년 12월 : 2024년에 다시 계엄상황이 전개되는 것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12월, 내란 사태와 맞물린 노벨문학상 시상식에서 충격과 비통함을 감추지 못했던 한강 작가.
그 뒤 넉 달이 지나도 바뀌지 못한 상황 속에 다시 짧지만 단호한 목소리를 냈습니다.
소설가 시인 평론가와 함께 한 문학인 한 줄 성명 을 통해 "훼손되지 말아야 할 생명, 자유, 평화의 가치를 믿는다"며 "파면은 보편적 가치를 지키는 일" 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대 성명엔 문학인 414명이 각자의 목소리를 모았습니다.
소설가 김초엽은 "진심 스트레스 받아서 이 한 줄도 못 쓰겠다며 "제발 빠른 파면을 촉구한다" 적었고, 시인 장석남은 "높은 이상을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 나는 상식주의자다"라고 썼습니다.
헌재가 옳고 그름의 상식의 기준으로 대통령을 파면하라고 요구한 겁니다.
[임현/소설가 : 소설 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라고 얘기를 하잖아요. 황당무계하기도 하고 이미 알고 있는 관념이나 통념 안에서 해결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전달을 해봤거든요.]
한 줄 성명을 기획한 서효인 시인은 "집회에도 나가지만,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을 찾게 됐다"고 그 의미를 전했습니다.
[서효인/시인 : 예상보다 탄핵 선고일이 계속 지연되고 불안한 마음, 답답한 마음으로 지내고 있었는데, 한 줄 성명을 통해 이런 열망을 헌법재판소에서 잘 유념해서 봐주셨으면…]
작가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뜻을 함께 하며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는 글을 하나 둘 빠르게 모았고 연대 성명을 통해 힘을 실었습니다.
[영상편집 박인서]
함민정 기자 ham.minjung@jtbc.co.kr
[핫클릭]
▶ 검찰은 애초부터 2차 계엄 가능성 봤다…수사보고서 입수
▶ 선거보전비 첫 언급한 이재명…2심 재판부에 막판 호소
▶ "대피하라" 온종일 안내 문자…재난영화처럼 변한 의성
▶ 헌재 앞 가짜경찰? 이들이 중국인? 억지 주장 사실은…
▶ "총사퇴" 이언주 뜬금 발언에 김계리 덜컥 "계몽되셨나"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탄핵 선고가 늦어지면서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도 목소리를 냈습니다. 훼손되지 말아야 할 가치를 믿는다, 파면은 보편적 가치를 지키는 일이라고 했습니다.
한강 작가뿐 아니라 문학인 400여 명이 저마다의 목소리로 대통령 파면을 촉구했는데, 함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한강/작가 2024년 12월 : 2024년에 다시 계엄상황이 전개되는 것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12월, 내란 사태와 맞물린 노벨문학상 시상식에서 충격과 비통함을 감추지 못했던 한강 작가.
그 뒤 넉 달이 지나도 바뀌지 못한 상황 속에 다시 짧지만 단호한 목소리를 냈습니다.
소설가 시인 평론가와 함께 한 문학인 한 줄 성명 을 통해 "훼손되지 말아야 할 생명, 자유, 평화의 가치를 믿는다"며 "파면은 보편적 가치를 지키는 일" 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대 성명엔 문학인 414명이 각자의 목소리를 모았습니다.
소설가 김초엽은 "진심 스트레스 받아서 이 한 줄도 못 쓰겠다며 "제발 빠른 파면을 촉구한다" 적었고, 시인 장석남은 "높은 이상을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 나는 상식주의자다"라고 썼습니다.
헌재가 옳고 그름의 상식의 기준으로 대통령을 파면하라고 요구한 겁니다.
[임현/소설가 : 소설 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라고 얘기를 하잖아요. 황당무계하기도 하고 이미 알고 있는 관념이나 통념 안에서 해결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전달을 해봤거든요.]
한 줄 성명을 기획한 서효인 시인은 "집회에도 나가지만,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을 찾게 됐다"고 그 의미를 전했습니다.
[서효인/시인 : 예상보다 탄핵 선고일이 계속 지연되고 불안한 마음, 답답한 마음으로 지내고 있었는데, 한 줄 성명을 통해 이런 열망을 헌법재판소에서 잘 유념해서 봐주셨으면…]
작가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뜻을 함께 하며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는 글을 하나 둘 빠르게 모았고 연대 성명을 통해 힘을 실었습니다.
[영상편집 박인서]
함민정 기자 ham.minjung@jtbc.co.kr
[핫클릭]
▶ 검찰은 애초부터 2차 계엄 가능성 봤다…수사보고서 입수
▶ 선거보전비 첫 언급한 이재명…2심 재판부에 막판 호소
▶ "대피하라" 온종일 안내 문자…재난영화처럼 변한 의성
▶ 헌재 앞 가짜경찰? 이들이 중국인? 억지 주장 사실은…
▶ "총사퇴" 이언주 뜬금 발언에 김계리 덜컥 "계몽되셨나"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관련링크
- 이전글한 대행 "헌재 결정, 어떤 결과든 존중돼야…공권력 도전 행위 단호히 조치... 25.03.25
- 다음글산불피해 커지자 재난 예비비 2조 삭감 논란 25.03.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