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亞 지도자들 전승절 초대"…김정은 5월 방러 임박?
페이지 정보

본문
- 러시아, 80주년 열병식 대대적 준비…金 올해 방러 언급
- 현실화되면 북러 밀착 전세계 공표…北 다자외교 신호탄
- 기차타기엔 장거리 부담…전용기 없고 의전도 힘들어
- 통일부 "예단하지 않고 동향 예의주시할 것"
- 현실화되면 북러 밀착 전세계 공표…北 다자외교 신호탄
- 기차타기엔 장거리 부담…전용기 없고 의전도 힘들어
- 통일부 "예단하지 않고 동향 예의주시할 것"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러시아의 전승절에 모스크바를 방문할지 여부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29일현지시간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타스 통신에 오는 5월 9일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을 기념하는 열병식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 참석할 것이라며 많은 아시아 지도자들을 초대했다고 밝혔다. 그 밖의 참석자들도 추후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참석 가능성은 지난해 말부터 불거졌다. 북한 노동신문과 러시아 국방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평양을 방문한 안드레이 벨로우소프 장관 등 러시아 국방부 대표단은 당시 전승전 80주년 열병식에 북한군 부대를 초청한 바 있다. 루덴코 차관은 27일 시기를 특정하진 않았지만 “김 위원장이 러시아를 방문한다”며 “현재 방문 내용, 시기, 프로그램에 관해 협상 중이며 합의가 되면 알리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5월 9일 전승절은 러시아 최대 국가행사 중 하나로 2차 세계대전에서 나치 독일에 대한 소련의 승리를 기념하는 날이다. 올해는 80주년인 데다, 최근 몇 년간 전승절 행사가 코로나19,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축소됐던 만큼 대규모로 마련될 전망이다.
김 위원장의 참석이 성사되면 북러간 밀착에 글로벌 무대에 전면적으로 드러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북한이 다자외교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동시에 친親 러시아 성향을 국제사회에 공표하게 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북러 사이 고위급 인사가 잦아진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특사인 세르게이 쇼이구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직접 평양에 방문하기도 했다.
다만 ‘양자간 만남’을 선호하는 김 위원장이 러시아 위주의 다자 행사인 전승절에 참석할지 여부에 대해 회의적은 목소리도 있다. 모스크바라는 장소도 관건이다. 김 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001년 무려 23박 24일간 전용열차를 이용해 모스크바를 방문해야 했다. 이제까지 기차로 이용해 러시아와 회담을 한다고 해도 블라디보스토크2019년, 북러정상회담 등 극동지역까지만 오간 김 위원장이 모스크바까지 갈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비행기를 탄다고 해도 평양-모스크바까지 직행할 수 없는 북한산 전용기도 없는 데다, 김 위원장 위주의 의전은 불가능해진다. 김 위원장이 이 같은 부담에도 모스크바에 방문한다면, 어느 정도의 이득을 볼 수 있을지 저울질을 해 결정을 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 북한은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과 관련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통일부는 “김 위원장 방러 가능성에 대해 예단하지 않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겠다”라고 밝혔다.
▶ 관련기사 ◀
☞ “이런 상황에 산에서 담배를”…역대 최악 산불에도 ‘안전불감증 [르포]
☞ 월세 1억3000만원 내는 BTS 제이홉…부동산 투자 보니[누구집]
☞ [단독]與주장 이재명 파기자판 불가능..2심 무죄→형확정 전무
☞ 팹4 뜨고 부양책까지…중국으로 향하는 돈[돈창]
☞ 중국發 훈풍 분다…온기 도는 화장품·여행·엔터株 들썩[돈창]
|
김 위원장의 참석 가능성은 지난해 말부터 불거졌다. 북한 노동신문과 러시아 국방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평양을 방문한 안드레이 벨로우소프 장관 등 러시아 국방부 대표단은 당시 전승전 80주년 열병식에 북한군 부대를 초청한 바 있다. 루덴코 차관은 27일 시기를 특정하진 않았지만 “김 위원장이 러시아를 방문한다”며 “현재 방문 내용, 시기, 프로그램에 관해 협상 중이며 합의가 되면 알리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5월 9일 전승절은 러시아 최대 국가행사 중 하나로 2차 세계대전에서 나치 독일에 대한 소련의 승리를 기념하는 날이다. 올해는 80주년인 데다, 최근 몇 년간 전승절 행사가 코로나19,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축소됐던 만큼 대규모로 마련될 전망이다.
김 위원장의 참석이 성사되면 북러간 밀착에 글로벌 무대에 전면적으로 드러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북한이 다자외교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동시에 친親 러시아 성향을 국제사회에 공표하게 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북러 사이 고위급 인사가 잦아진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특사인 세르게이 쇼이구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직접 평양에 방문하기도 했다.
다만 ‘양자간 만남’을 선호하는 김 위원장이 러시아 위주의 다자 행사인 전승절에 참석할지 여부에 대해 회의적은 목소리도 있다. 모스크바라는 장소도 관건이다. 김 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001년 무려 23박 24일간 전용열차를 이용해 모스크바를 방문해야 했다. 이제까지 기차로 이용해 러시아와 회담을 한다고 해도 블라디보스토크2019년, 북러정상회담 등 극동지역까지만 오간 김 위원장이 모스크바까지 갈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비행기를 탄다고 해도 평양-모스크바까지 직행할 수 없는 북한산 전용기도 없는 데다, 김 위원장 위주의 의전은 불가능해진다. 김 위원장이 이 같은 부담에도 모스크바에 방문한다면, 어느 정도의 이득을 볼 수 있을지 저울질을 해 결정을 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 북한은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과 관련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통일부는 “김 위원장 방러 가능성에 대해 예단하지 않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겠다”라고 밝혔다.
▶ 관련기사 ◀
☞ “이런 상황에 산에서 담배를”…역대 최악 산불에도 ‘안전불감증 [르포]
☞ 월세 1억3000만원 내는 BTS 제이홉…부동산 투자 보니[누구집]
☞ [단독]與주장 이재명 파기자판 불가능..2심 무죄→형확정 전무
☞ 팹4 뜨고 부양책까지…중국으로 향하는 돈[돈창]
☞ 중국發 훈풍 분다…온기 도는 화장품·여행·엔터株 들썩[돈창]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발언하는 박균택 의원 25.03.30
- 다음글"탄원 20만 돌파" vs "노숙투쟁"…탄핵 찬반 진영 이젠 24시간 총력전종... 25.03.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