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운동 빈부격차…걷기·근력운동 모두 고소득층 더 활발
페이지 정보
본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소득이 높을수록 걷기와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등 신체활동을 더 많이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운동 빈부격차는 최근 더 확대되는 추세여서 소득 수준에 따른 건강 격차의 확대도 우려된다.
30일 질병관리청의 202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우리나라 성인 가운데 1주일 동안 걷기를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은 44.5%였다.
소득 수준별로 5분위로 나눠 보면 소득 수준이 낮은 하 그룹에선 39.1%에 그쳤고, 중하 44.6%, 중 43.8%, 중상 45.3%, 상 49.2% 등 대체로 소득이 높을수록 걷기 실천율이 높았다.
가장 저소득 그룹과 고소득 그룹의 차이가 10%포인트 이상이다.
2014년 조사에서만 해도 이 격차가 2%포인트소득 상 43.7%, 소득 하 41.7%에 그쳤는데, 가장 최근 조사인 2023년 조사에서 그 5배로 벌어진 것이다.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한 사람의 비율인 유산소신체활동 실천율도 소득별로 차이가 있었다.
19세 이상 전체 성인에선 52.5%인데 소득 하 그룹에선 48.3%, 상 그룹에선 57.2%로 8.9%포인트 차이가 났다.
[2023 국민건강통계 재구성]
이 역시 2014년의 3.6%포인트소득 상 55.8%, 소득 하 59.4%에서 격차가 확대됐다.
특히 남성에서 소득에 따른 유산소신체활동 실천율 차이가 13.3%포인트로 더 크게 벌어졌다.
최근 일주일간 근력운동을 2일 이상 실천한 분율인 근력활동 실천율성인 전체 27.3%도 소득 하 그룹 21.4%, 상 그룹 32.8%로, 고소득층이 11.4%포인트 더 높았다.
근력운동 실천율도 2014년엔 고소득층23.2%과 저소득층18.0%의 차이가 5.2%포인트였는데 최근 더욱 벌어졌다.
소득 수준에 따른 운동 실천율 격차는 소득에 따른 건강 격차를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윤석준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최근 대학의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인이 건강수명기대수명에서 질병·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은 71.82세로, 고소득층74.88세이 저소득층66.22세보다 8.66년 길었다.
mihye@yna.co.kr
끝
-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故 오요안나 유족, MBC 동료 직원 상대 손배소 제기
- ☞ SBS 연예대상에 유재석…"20번째 대상, 이런 날 올 줄이야"
- ☞ 에어부산 화재원인은 보조배터리?…지난달에도 비슷한 사고 있어
- ☞ [샷!] 식빵 무료 쿠폰에 3만명 몰려…고물가 생존기
- ☞ 이민3세 설리나 고메즈, 이민자 체포 통곡 영상 올렸다 삭제
- ☞ 한파 속 빵 훔친 장발장 노숙인에게 손 내민 경찰관
- ☞ 전현무, 3번째 MBC 연예대상…"초심 잃은 적 없다"
- ☞ 악동 발로텔리 K리그 오나…프랑스 매체 "2곳 의향"
- ☞ 설날 80대 노모 때려 숨지게 한 60대 아들 검거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관련링크
- 이전글국민연금 보험료 7월부터 月 최대 1만8천원 오른다 25.01.30
- 다음글성관계 미끼로 노숙자들 유인한 여장남자…술 마시자 돌변[사건의... 25.01.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