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 가라" "한 끼 더 먹고 가라"…명절에 며느리는 이 말 들으면 가슴 철...
페이지 정보
본문
기혼남녀가 설 연휴 처가와 시가에서 듣는 가장 부담스러운 말은 각각 ‘자고 가라’와 ‘한 끼 더 먹고 가라’인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재혼 전문 결혼정보회사 온리-유와 결혼정보업체 비에나래에 따르면 지난 20~26일 전국의 황혼재혼 희망 돌싱남녀 556명남녀 각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 배우자와의 결혼생활 중 설 연휴 때 처시가에 가면 어떤 말이 나올까 봐 전전긍긍했습니까?’라는 물음에 남성은 32.4%가 ‘자고 가라’로 답했고 여성은 31.3%가 ‘한 끼 더 먹고 가라’로 답했다.
남성은 ▲형제 가족처남 혹은 처형·처제 및 그 가족 오면 보고 가라27.7% ▲한 끼 더 먹고 가라24.1% ▲음식 좀 가져가라15.8% 등의 순으로 여성은 ▲음식 좀 가져가라28.4% ▲형제 가족시아주버니·시동생 혹은 시누이 및 그 가족 오면 보고 가라23.0% ▲자고 가라17.3% 등의 순으로 답했다.
‘이혼하기 전 설 연휴 때 처시가에 간다는 생각만 해도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게 했던 요인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 대해선 남성은 ‘불편한 생활환경세면, 용변, 잠자리 등 37.1%’을 첫손에 꼽았고 여성은 ‘우호적이지 않은 분위기34.2%’를 1위로 선택했다.
이어 남성은 2위로 ‘우호적이지 않은 분위기33.1%’를, 여성은 ‘불편한 생활환경세면, 용변, 잠자리 등 29.1%’를 골랐다.
이외에도 남성은 ‘시끌벅적함21.2%’ ‘생소한 살림살이8.6%’가 뒤따랐지만 여성은 ‘생소한 살림살이22.3%’가 ‘시끌벅적함14.4%’에 앞섰다.
마지막 질문인 ‘이혼 전 결혼생활을 할 때 설과 관련해 어떤 매스컴 기사를 보면 스트레스가 가중됐습니까?’에서는 남성의 경우 33.8%가 ‘소요 비용차례 준비, 용돈, 세뱃돈 등’으로 답했고 그 뒤로 ▲도로 상황28.1% ▲해외여행23.0% ▲비현실적 설 풍경15.1% 등의 답이 이어졌다.
반면 여성은 35.6%가 ‘해외여행’으로 답해 가장 앞섰고 ▲비현실적 설 풍경26.6% ▲소요 비용24.5% ▲도로 상황13.3% 등의 대답이 뒤를 이었다.
손동규 온리-유 대표는 “요즘은 여자는 물론 남자도 시가 혹은 처가를 방문하고 장시간 체류하는 데 대해 부담스럽고 불편하게 생각한다”며 “윗세대에서는 시대 흐름에 맞게 명절을 최대한 부담스럽지 않게 해야 하고, 또 시가나 처가를 방문하는 아래 세대는 명절의 의미를 살려서 윗세대와 조화롭게 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전광훈 목사 겨냥하는 경찰…10년 전 내란선동 이석기 판례 스터디 집중 25.01.30
- 다음글호남고속도로 상행선 전주IC 인근서 14대 추돌…2명 경상 25.01.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