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끊기면 끝" 소방대원의 판단…16톤 항공유 폭발 막았다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지난 28일 부산 강서구 대저동 김해공항에서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 뉴스1
━
기내 짐칸서 불, 소화기도 허사
30일 부산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28일 오후 10시26분쯤 김해국제공항에서 홍콩행 에어부산 여객기 내부에 불이 났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비행기 꼬리 쪽 기내에서 시작된 불은 빠르게 앞쪽으로 번졌다. 승객과 승무원 등 탑승했던 176명은 비상 슬라이드를 이용해 비행기 밖으로 몸을 피했다. 신고 6분여 만에 기체 밖으로 대피가 마무리됐다. 이 과정에서 7명이 다쳤지만, 중상 등으로는 이어지지 않았다. 소방당국이 대응 1단계를 발령한 지 약 1시간 만인 오후 11시31분쯤 불은 완전히 꺼졌다.
김영옥 기자
머리 위 짐칸의 연기를 발견한 승무원들은 소화기로 진화를 시도했다고 한다. 하지만 허사였다. 당시 비행기에 탔던 50대 여성 승객은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짐칸 문을 열었을 땐 이미 내부가 걷잡을 수 없을 만큼 불길이 번져 있었다”고 말했다.
━
“급수 끊기면 끝” 판단, 폭발 없이 불 껐다
소방대원들이 현장에 도착한 건 오후 10시35분쯤이다. 초속 7m의 강한 남동풍이 부는 가운데 소방대원들은 16톤의 항공유가 담긴 여객기 양 날개까지 불길이 미치지 못하도록 주력하며 진화 작업을 벌였다. 자칫 대형 폭발로도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조사위원회가30일 오전 부산 김해국제공항 계류장에서 발화점 및 항공기 화재원인 등을 규명하기 위한 합동 감식 전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소방대 도착 3분 만인 오후 10시38분쯤 대응 1단계가 발령됐다. 이시현 강서소방서장은 “용수 공급이 끊기면 끝이라고 판단했다. 펌프와 살수차 등 장비 68대, 인력 138명을 동원했고 꼬리 쪽엔 원격으로 조종되는 무인파괴방수탑차를, 조종석 쪽엔 신형 방수탑차를 집중 배치했다. 바람 탓에 기체 상부 쪽으로 불길이 빠르게 번졌지만, 다행히 1시간 만에 완전 진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지난 21일부터 부산소방 공항센터대원 31명·화재진압 장비 47종 137점가 가동된 덕에 장비ㆍ인력이 빠르게 투입될 수 있었다고 한다. 진화 작전엔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도 힘을 보탰다.
사고 비행기는 본래 이날 오후 9시55분 출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출발이 20분 지연되며 주기장에서 대기하던 중 불이 났다. 이에 승객은 슬라이더와 에어매트 등을 이용해 탈출할 수 있었다. 소방 관계자는 “비행기가 예정대로 이륙해 공중에서 불이 났다면 대형 참사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
“안내도 없었다” vs “승무원 분투”
사고 당시 에어부산 측 대처에 문제가 있었다는 주장이 잇따랐다. 여객기에 탔던 30대 남성 A씨는 통화에서 “당시 안내 방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했다. 비행기 앞쪽에 있었다는 그는 “불이 났을 때 앞에선 정확히 어떤 상황인지 알 수 없었다. 일부 승무원은 초기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듯 보였다”고 했다.
승무원이 아닌 승객이 비상구를 열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당시 탑승 승무원들의 현장 대처가 부적절했던 게 아니냐는 여론이 커졌다. 승객들이 공개한 사진ㆍ영상엔 가방 등 기내 소지품을 챙겨 탈출한 이들의 모습도 눈에 띈다. 이로 인해 탈출 당시 기내 무질서가 더 심해졌을 것이란 지적이다.
승무원들을 무작정 비난하지 말자는 목소리도 있다. 가족 여행을 가려 이 여객기에 탔던 40대 여성 B씨는 “불길을 처음 발견한 승무원은 승객의 섣부른 접근을 막는 등 안전 대피에 애썼다. 무사히 대피할 수 있었던 건 승무원 역할이 컸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B씨는 이어 “전날 에어부산과 통화 때도 ‘아픈 곳은 없느냐’고 먼저 묻는 등 사고 승객 안위를 계속 챙긴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지난 28일 부산 강서구 김해국제공항에서 화재가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에 탑승해 있던 승객들이 공항을 빠져나가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한편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한 감식을 두고 현재 소방과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 등이 논의하고 있다. 내부에 항공유가 남아 감식 안전성 등을 따져야 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사고 이후 에어부산이 작성한 보고서엔 ‘항공기 좌석 28열 오버헤드 빈머리 위 선반에서 화재가 추정’이라는 내용의 승무원 진술 내용이 담긴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김민주ㆍ위성욱 기자 kim.minju6@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尹 탄핵기각파였다…이진숙 손 들어준 4인 보니
▶ 홍상수·김민희 또 일냈다…임신 이어 놀라운 소식
▶ 버스보다 택시 싸진다…머스크가 부를 이 종말
▶ "필리핀女를 섹스 인형 취급"…생부 DNA 찾는 사연
▶ 초등 여교사, 11살 男제자 성폭행…애까지 낳았다
▶ "설 통장 5000만원 찍혔다" 전국민 부러움 받은 회사
▶ 8살 소녀 실종됐다…가족 파멸로 이끈 의심의 시작
▶ "문 연 승객, 영웅인 척 말라" 에어부산 승무원 호소
▶ 자식 해선 안될 말 "치매야?"…부모가 해선 안될 말은
▶ 물로 헹궈서까지 먹는다…이 나라 한강라면 뒀더니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민주.위성욱 kim.minju6@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단독] 윤석열, 내란 직전 "와이프도 모른다…알면 화낼 것" 25.01.30
- 다음글전한길, 이번엔 헌재 비판하며 울먹…"대한민국 침몰 직전" 25.01.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