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에는 철새도 특식 먹는다…파주 독수리 식당 가보니[르포]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설에는 철새도 특식 먹는다…파주 독수리 식당 가보니[르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1-28 05:01

본문



지난 23일 오전 파주 문산읍 장산리 일대에서 임진강생태보존회와 경기북부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지난해 12월 구조한 24-872번 독수리를 재활치료 후 방사했다. 전민규 기자

지난 23일 오전 파주 문산읍 장산리 일대에서 임진강생태보존회와 경기북부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지난해 12월 구조한 24-872번 독수리를 재활치료 후 방사했다. 전민규 기자


지난 23일 파주 문산읍 장산리 한 논밭. 성인 남성 두 명이 나눠 든 자루를 열자, 짙은 갈색 독수리 한 마리가 머리를 내밀었다. 구조 번호 24-872번. 지난해 12월 경기 연천군 논두렁에서 경기 북부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북부구조센터에 의해 구조된 개체다. 당시 이 독수리는 어딘가에 부딪쳤는지 머리에 피를 흘리며 제자리를 비틀비틀 돌고 있었다고 한다.

한 달간의 치료를 마친 독수리는 눈을 가렸던 헝겊을 벗기자 3m에 달하는 양 날개를 펼치며 무리에게 날아갔다. 300여 마리의 독수리가 밭에 놓인 붉은 고기를 쪼아 먹으며 함께 어울렸다. 고기는 임진강생태보존회생태보존회에서 준비한 육류 부산물이다. 이 단체는 매해 11월부터 3월까지 일주일에 세 번화·목·토 독수리에게 먹이를 주는 ‘독수리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3일 파주 문산읍 장산리 일대에서 임진강 생태보존회가 마련한 육류 부산물을 먹는 독수리들. 전민규 기자

지난 23일 파주 문산읍 장산리 일대에서 임진강 생태보존회가 마련한 육류 부산물을 먹는 독수리들. 전민규 기자


생태보존회가 이런 특별한 급식소를 운영하게 된 건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2급인 독수리의 개체 수 유지가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매해 겨울 몽골에서 3000㎞씩 날아오는 독수리Vulture는 짐승을 사냥하는 수리류Eagle와 달리 동물의 사체만 먹는다. 주로 죽은 기러기나 닭·고라니·돼지 등을 먹어 사체로 인한 하천 오염과 전염병을 막는다. ‘지구의 청소부’란 별명을 가진 이유다.

그러나 도시화로 인해 농지가 감소하고, 유해조수 포획 등으로 먹이가 줄면서 독수리는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최근엔 농약도 주된 위협 요인으로 떠올랐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2023년 “독수리를 포함한 야생 조류 집단 폐사 9건 중 5건의 사인이 농약 중독이었다”며 “새를 내쫓기 위해 통상 농사에 쓰는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이 살포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 23일 오전 파주 문산읍 장산리 일대 독수리 식당에 모여드는 독수리들. 전민규 기자

지난 23일 오전 파주 문산읍 장산리 일대


매해 2000마리의 독수리가 한국을 찾는 가운데 지난해엔 193마리가 구조돼 치료를 받았다. 야생동물 특성상 사람에 눈에 잘 띄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훨씬 많은 수의 독수리가 다치거나 폐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날 24-872번 독수리를 방사한 김재호 북부구조센터 수의사는 “대부분 농약 중독, 탈진, 구조물 충돌로 죽을 위기에 처한다”며 “시민들의 자발적인 독수리 식당 운영 등을 통해 개체 수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진강 생태보존회 윤도영 회장이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임진강 생태보존회 윤도영 회장이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봉사 차원에서 2009년 처음으로 독수리 먹이 주기를 시작한 윤도영 생태보존회장은 7년 만인 2016년 사회적 협동조합을 만들어 본격적으로 파주 독수리 식당을 운영해 왔다. 고령·고성·거제·김해 등 전국 7곳에서 각 시민단체의 독수리 먹이 주기 행사가 열린다. 파주는 해마다 최대 800마리 개체가 찾아 가장 활발히 운영되는 곳이다. 윤 회장은 “일주일에 세 번, 하루 300~400㎏의 먹이를 준비하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라면서도 “설날에는 독수리들이 좋아하는 내장류를 특식으로 준비했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지난해 한쪽 발을 잃어 장애를 가진 독수리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 안쓰러운 마음에 먹이를 열심히 챙겨줬더니 올해 다시 파주를 찾아왔고, 먹이를 준 사람을 알아본 듯 그의 머리 위에서 맴돌았다고 한다. 윤 회장은 “사람도 오랜만에 보면 반가운데, 꿋꿋하게 살아서 돌아온 독수리를 보니 더없이 반갑더라”고 말했다.

독수리 식당을 운영하는 임진강 생태보존회 회원들. 고은호11·맨 오른쪽군은 최연소 회원으로 3년째 이곳을 찾고 있다. 전민규 기자

독수리 식당을 운영하는 임진강 생태보존회 회원들. 고은호11·맨 오른쪽군은 최연소 회원으로 3년째 이곳을 찾고 있다. 전민규 기자


일각에선 독수리에게 먹이를 주는 것이 ‘과도한 생태계 개입’이란 의문을 제기한다. 이와 관련해 윤 회장은 “멸종위기종 개체 수를 유지해야 지역 생태계의 먹이 사슬도 보존될 수 있다”며 “지역 생태계를 연구하고 관리하는 데 정부 차원의 관심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수민 기자 lee.sumin1@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年1000억 쓰는 전광훈…집회 현장 봉투의 정체
초등 여교사, 11살 男제자 성폭행…애까지 낳았다
차에 샤넬백 숨긴 아내…요양원장 밀회 대가였다
홍상수·김민희 또 일냈다…임신 이어 놀라운 소식
故 오요안나 유서보니…직장 내 괴롭힘 호소
자식이 해선 안될 말 "치매야?"…부모가 해선 안될 말
신원미상 시신 56구 와르르…암매장 판치는 이 나라
너클로 때린 뒤 "맞았다"…조폭 유튜버 부부 최후
먹고 여행하는 상위 1% 유튜버·BJ 수입 깜짝
사랑과 전쟁 국민 시어머니 장미자, 84세로 별세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수민 lee.sumin1@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96
어제
2,645
최대
3,806
전체
849,25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