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항공엔진]㊤ 개발 사업 첫 발…"통합 조직 필요" 지적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한국형 항공엔진]㊤ 개발 사업 첫 발…"통합 조직 필요" 지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회 작성일 25-01-26 06:02

본문

업계 “425 사업 전철 밟아선 안 돼”
군이 한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에 탑재될 1만6000lbf파운드 포스·엔진 출력 단위급 엔진을 만드는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수출과 전투기 성능 개량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다. 업계에서는 항공엔진 개발이 원활히 되려면 한국형 헬기개발사업KHP·Korean Helicopter Program처럼 부처 간 통합된 개발 조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방위사업청방사청은 최근 첨단기술사업 관리위원회를 열고 ‘첨단 항공엔진 개발 기본계획안’을 심의했다. 방사청이 2023년부터 선행 연구와 사업타당성 조사를 거친 뒤 마련한 이 계획안에는 2039년까지 3조3500억원을 들여 차세대 항공 무기체계에 필요한 엔진을 개발한다는 내용과 사업 방식, 일정 등이 담겼다. 방사청은 이후 방위산업추진위원회에서 의결한 뒤 2~3월 사이 계획안을 공개할 계획이다.

GE에어로스페이스의 F414-400 엔진. F414계열 엔진은 현재까지 1750기 이상이 인도됐고, 누적 비행 시간은 500만시간을 넘겼다./GE에어로스페이스 제공

GE에어로스페이스의 F414-400 엔진. F414계열 엔진은 현재까지 1750기 이상이 인도됐고, 누적 비행 시간은 500만시간을 넘겼다./GE에어로스페이스 제공

첨단 항공엔진이 순조롭게 개발되려면 정부 간 다툼으로 개발이 늦어졌던 425 정찰위성 사업의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425 사업은 합성개구레이더SAR·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 4기와 전자광학EO·Electro-Optica·적외선IR·Infra-Red 위성 1기를 국내에서 개발하는 게 목표였다. 북한의 핵 시설과 미사일 기지 등을 독자적으로 감시하기 위해서였다. SAR사과 EO이오를 합쳐 425 또는 사이오 사업으로 불렸다.


425 사업은 2003년 처음 논의됐다가 북한의 핵 위협이 고조되던 2013년 신규 소요 사업으로 부활했다. 하지만 군과 국가정보원, 당시 미래창조과학부 등이 ‘누가 위성 관제권을 가지는지’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시간만 흘렀다. 2018년 말이 돼서야 군과 국정원은 위성 관제권을 공유키로 하고 개발을 시작했다. 정부 관계자는 “개발 주체에 관한 정부 합의가 있었다면 최소 2년은 빨리 위성을 발사했을 것”이라고 했다.

첨단 항공엔진 사업도 425 사업처럼 전력화 과정에 여러 잡음이 생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5500lbf급 무인기용 엔진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처 간 다른 행정 절차로 인해 개발이 늦어지기도 했다. 당시 방사청은 엔진 완제품을, 산업통상자원부가 엔진에 들어가는 소재를 개발하기로 했다. 하지만 산업부의 행정 절차가 늦어지며 2년 정도 지연된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확실한 조율이 필요하고, 첨단 무기의 전력화 과정에서는 각종 잡음이 생겼던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경남 창원 두산에너빌리티 공장에서 촬영한 한국형 가스터빈 조립 장면. /한국서부발전 제공

경남 창원 두산에너빌리티 공장에서 촬영한 한국형 가스터빈 조립 장면. /한국서부발전 제공

특정 무기체계 개발 필요성에 따라 개발을 시작했던 기존 사업과 달리 새로운 연구개발에 나선 것인 만큼 군 당국의 지원도 어렵다. 방사청 관계자는 “첨단 항공엔진은 군의 소요에 따라 개발을 시작했던 기존 개발 사업과는 시작부터 다를 수밖에 없다. 지원을 하려면 기획재정부 등 다른 부처의 공감대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방산업계에서는 항공엔진 개발이 한국형 헬기개발 사업처럼 운영돼야 한다고 본다. 국방부와 산업부는 지난 2002년 각각 예산을 편성해 헬기 개발을 추진했다. 이후 비판이 일자 국방부 장관과 산업부 장관이 협의했고 ‘한국형 헬기개발사업 공동규정’을 만들어 별도 조직을 구성했다. 이 조직이 헬기 설계와 예산 확보 등을 모두 담당하면서 수월하게 진행됐다.

한국형 전투기 KF-21 시제 2호기가 공대공미사일 미티어의 무장분리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 KAI 제공

한국형 전투기 KF-21 시제 2호기가 공대공미사일 미티어의 무장분리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 KAI 제공

헬기 개발을 위한 별도 조직이 생기니 예산 편성도 수월했다는 게 당시 참여했던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사업 예산의 60%는 군이 댔고 산업부가 부속품 개발에 20%, 시제 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20%를 담당했다. 당시 사업에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부처간 합의가 일찍 이뤄져 지연 없이 전력화까지 끝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국가 주도의 대형 프로젝트에는 부처 간 협업이 중요하다. 첨단 항공엔진 사업에서도 국가의 역량을 하나로 모으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조선비즈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비즈 amp;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지환 기자 jh@chosunbiz.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876
어제
2,456
최대
3,806
전체
856,73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