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콜라, 즐겨 마셨는데…WHO "먹지마라" 경고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다이어트 콜라, 즐겨 마셨는데…WHO "먹지마라" 경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6회 작성일 23-05-16 10:42

본문

뉴스 기사
장기간 섭취시 장내 세균에 변화 초래

당뇨병, 심장질환 위험성 높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아스파탐과 같은 인공감미료가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지 않고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을 높이기 때문에 사용을 자제하라는 권고안이 나왔다.

15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이날 세계보건기구WHO는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체중 조절을 위해 무설탕 감미료를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WHO가 지정한 대표적인 비설탕 감미료는 아세설팜 K, 아스파탐, 아드보탐,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사카린,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및 스테비아 유도체 등이다.

WHO가 과학 문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결과 비설탕 감미료는 장기적인 체지방 감소에 도움이되지 않을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면 제 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고 조기 사망의 위험이 증가시킨다고 결론내렸다. 프란체스코 브랑카 WHO 영양 및 식품 안전 부문 이사는 "과일과 같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당분이 함유된 식품이나 무가당 식품 및 음료를 섭취하는 등 다른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인공감미료 대신 설탕을 더 많이 섭취하라는 권장 사항이 아니라 식단의 전반적인 단맛을 줄이는 게 바람직하다는 얘기다.

설탕 대체물의 경우 기존 당뇨병 환자를 제외한 일반인들에게는 건강상의 이득이 없다. 커피에 뿌리는 인공 설탕 뿐만 아니라 식품 회사가 빵, 시리얼, 요거트, 스낵바 등 가공 식품·음료에 첨가하고 있는 다양한 설탕 대체 감미료가 모두 해당된다.

대규모 연구 결과 설탕 대체물이 장에 서식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곰팡이의 군집인 장내 미생물 군집의 기능과 구성에 변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인공 감미료를 많이 섭취하면 뇌졸중 및 관상동맥 심장 질환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WHO는 다만 "연구 참여자의 건강 상태 차이를 포함한 여러 요인이 일부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413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5,39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