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수 회복 지연, 하방 압력 증가" 암울한 경제 전망…수출·내수 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2-14 15:18 조회 14 댓글 0본문
트럼프 2기 상호관세 통상 불안 설상가상
"1분기 가용수단 총동원… 기업 피해지원"

정부의 경기진단이 다달이 어두워지고 있다. 내부적으론 계엄·탄핵 정국으로 지속되는 소비 침체에 건설·제조 등 주요 업종 고용까지 꺾이면서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여기에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경한 통상정책으로 커진 수출 불확실성은 경기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출과 내수의 이중고 양상이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애로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5~10월 내수 회복 조짐을 강조해왔으나 11월 관련 표현이 빠진 데 이어 내수 회복 지연이 처음 등장했다.
우선 소비가 내수를 떠받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재화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3.3% 감소했다. 지난달 속보지표 상황도 국내 승용차 판매량이 1년 전보다 10.5% 급감하고, 카드 승인액 증가율이 1.7%로 전월5.4%에 비해 크게 둔화하는 등 부정적이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SI·100보다 높으면 긍정는 91.2로 전월보다 3포인트 올랐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건설투자는 전년보다 8.3% 급감했는데, 8개월째 내림세다. 건설업 불황은 고용에도 직격타다. 지난해 12월 3년 10개월 만에 전년보다 줄었던 취업자 수는 지난달 13만5,000명 증가로 반등했다. 다만 건설업 취업자 수는 16만9,000명 줄어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도소매업-9만1,000명, 제조업-5만6,000명과 청년층-21만8,000명 사정도 어렵다.
여기에 대외 통상환경도 악화일로다. 미국 트럼프 신정부의 관세 부과 조치가 현실화하는 등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산업을 옥죄고 있다. 실제 지난달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 등 영향으로 15개월 연속 상승 기록을 꺾고 전년보다 10.3% 감소했는데, 무역수지도 20개월 만에 적자 전환했다. 같은 달 전산업 실적 기업심리지수CBSI·100보다 높으면 긍정도 85.9로 전월 대비 1.4포인트 낮아졌다.
석유류 가격 상승폭 확대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도 2.2%로 전월1.9%보다 상승했다. 조성중 경제분석과장은 "1분기 가용수단을 총동원해 일자리 등 분야별 민생·경제 개선 조치를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관세 부과와 관련해선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가 빠른 만큼 우리 기업 피해지원, 첨단전략산업기금 설치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세종= 이유지 기자 maintain@hankookilbo.com
관련기사
- [속보] 부산 기장군 호텔 공사장 화재 현장 근로자 6명 사망·7명 부상
- 구준엽 장모 전쟁터 나갈 것 전 사위와 1200억 상속 분쟁 예고
- 열애설 전현무, 후배 홍주연 언급 그 친구에게 미안해
- 나이 속이고 데이트… 산다라박, 쏟아진 비판에 밝힌 입장
- 통닭 600조각·햄버거 100개 먹던 먹방 유튜버, 은퇴 선언 건강 적신호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