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도 저기도 경력직"…일할 곳 없다 청년층 최악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경제TV 이휘경 기자]
청년층의 체감실업률과 고용률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체감실업률이 전년보다 0.8%p 상승해 16.4%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2월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고용보조지표3은 실질적 일자리 수요를 포괄해 보여주는 지표로, 체감실업률로 불린다. 해당 지표는 경제활동인구, 잠재취업가능자, 잠재구직자를 대상으로 산출한다.
지난해 12월 지표가 전년대비 상승한 이후 이번 달에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청년층 실업률은 6.0%로 1년 전과 같았으나, 체감 어려움은 커진 상황이다.
이는 불완전 취업 상태인 청년들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경제 활동을 하고는 있지만 더 많이 일하길 원하는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의 수는 13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4만1천명 늘었다. 이는 2021년 2월4만6천명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주당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 의사와 능력이 있는 이들로, 통계상 취업자로 잡히지만 임시·단기 일자리에 있는 경우가 많다.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취업자 수 감소로 1.5%p 떨어져 44.8%를 기록했다. 경기 불확실성으로 경력직 채용 비중이 커진 영향이다.
쉬었음 통계도 전년 대비 증가해 43만4천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청년 고용 악화가 고착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공공부문 신규채용을 늘리고, 민간 일자리 창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청년층의 체감실업률과 고용률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체감실업률이 전년보다 0.8%p 상승해 16.4%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2월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고용보조지표3은 실질적 일자리 수요를 포괄해 보여주는 지표로, 체감실업률로 불린다. 해당 지표는 경제활동인구, 잠재취업가능자, 잠재구직자를 대상으로 산출한다.
지난해 12월 지표가 전년대비 상승한 이후 이번 달에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청년층 실업률은 6.0%로 1년 전과 같았으나, 체감 어려움은 커진 상황이다.
이는 불완전 취업 상태인 청년들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경제 활동을 하고는 있지만 더 많이 일하길 원하는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의 수는 13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4만1천명 늘었다. 이는 2021년 2월4만6천명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주당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 의사와 능력이 있는 이들로, 통계상 취업자로 잡히지만 임시·단기 일자리에 있는 경우가 많다.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취업자 수 감소로 1.5%p 떨어져 44.8%를 기록했다. 경기 불확실성으로 경력직 채용 비중이 커진 영향이다.
쉬었음 통계도 전년 대비 증가해 43만4천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청년 고용 악화가 고착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공공부문 신규채용을 늘리고, 민간 일자리 창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노브랜드 버거 빼고 싹 정리?…신세계푸드, 외식 브랜드 줄줄이 철수 25.02.16
- 다음글한화로보틱스, 대구 논공휴게소에 조리로봇 설치…"24시간 이용 가능" 25.02.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