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금 안 사냐" 금값 오를때마다 타박 듣는 한은
페이지 정보

본문
- 외환보유고 내 금金 비중 1.2%…세계 38위
- 2013년 이후 금 추가 매입 전무…금값 급등에 실기론도
- 한은 "외환보유액은 위기시 대외지급준비금 특성"
- "안전성·유동성 측면서 금 투자 신중히 접근해야"
- 2013년 이후 금 추가 매입 전무…금값 급등에 실기론도
- 한은 "외환보유액은 위기시 대외지급준비금 특성"
- "안전성·유동성 측면서 금 투자 신중히 접근해야"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쌀 때 사놓지 그랬나” 금 값이 치솟으면서 한국은행이 관리하는 외환보유고 중 금의 비중이 재차 회자되고 있다. 한은의 금 보유량은 전체 외화보유액의 1% 수준으로, 그 양은 12년째 변동이 없다.
13일 한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중 금은 47억 9000만달러, 1.2%를 차지하고 있다. 금 가격은 한은이 사들일 당시 가격으로 계산된 것으로, 최근 시세를 반영하면 비중은 2.1%로 커진다.
한은의 금 보유량은 김중수 전 총재 시절인 2011~2013년 총 90톤t의 금을 매입하면서 104.4t으로 보유량이 늘어난 이후 유지되고 있다. 금 보유량 순위연말 기준는 2013년 세계 32위에서 2021년 말 34위, 2022년 말 36위, 지난해에는 38위로 떨어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금값이 오르면 ‘한은은 왜 금을 더 사지 않았냐’는 질타의 목소리가 나온다. 최근엔 높은 가격에도 수요가 줄지 않자 금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 한은도 금 보유량을 적극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한은이 금을 전략자산으로 삼아 그 보유 비중을 최소 5% 수준으로 확대할 것을 즉각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브릭스 국가 중 특히 중국은 ‘ 위안화 국제화’ 를 위해 미국 국채 비중을 축소하면서 금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미·중 간 화폐전쟁이 재점화되면서 상대적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늘어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금 추가 매입에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외환보유액은 대외지급준비금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첫 번째 이유다. 위기시 국가 경제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바로 써야 하는 자금인만큼, 안전하고 상시 현금화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금의 경우 △높은 변동성에 비해 장기수익률이 주식 등 다른 자산에 비해 낮고 △주식과 채권에 비해 유동성이 적어 현금화에 용이하지 않으며 △미 국채 수익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분산투자 관점에서도 유용성이 떨어진다는 게 한은의 입장이다.
외환보유액의 특성상 단기적인 수익성보다 안정성과 유동성을 우선시 해야 하고, 장기적인 투자 자산으로의 매력도는 주식과 채권에 비해 크지 않다는 이야기다. 금은 자산 보유로 인해 이자나 배당과 같은 수익 대신 보관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도 있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외환보유액의 증가 추이와 시장 여건 등을 고려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금 추가 매입을 고려하고 있다는 기존 입방에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尹 체포조 지시는 뒷다리 잡는 이야기 반박
☞ "숨만 쉬어도 125만원" 이대 앞 충격실태…무슨 일?
☞ 전광훈 “광화문 와 달라”…전한길, 거절하며 한 말은
☞ "집주인 직거래"…당근에 뜬 수십억 아파트, 알고 보니
☞ 경찰, `문형배 동창 카페` 논란 수사 착수
장영은 bluerain@
|
13일 한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중 금은 47억 9000만달러, 1.2%를 차지하고 있다. 금 가격은 한은이 사들일 당시 가격으로 계산된 것으로, 최근 시세를 반영하면 비중은 2.1%로 커진다.
한은의 금 보유량은 김중수 전 총재 시절인 2011~2013년 총 90톤t의 금을 매입하면서 104.4t으로 보유량이 늘어난 이후 유지되고 있다. 금 보유량 순위연말 기준는 2013년 세계 32위에서 2021년 말 34위, 2022년 말 36위, 지난해에는 38위로 떨어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금값이 오르면 ‘한은은 왜 금을 더 사지 않았냐’는 질타의 목소리가 나온다. 최근엔 높은 가격에도 수요가 줄지 않자 금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 한은도 금 보유량을 적극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한은이 금을 전략자산으로 삼아 그 보유 비중을 최소 5% 수준으로 확대할 것을 즉각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브릭스 국가 중 특히 중국은 ‘ 위안화 국제화’ 를 위해 미국 국채 비중을 축소하면서 금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미·중 간 화폐전쟁이 재점화되면서 상대적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늘어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금 추가 매입에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외환보유액은 대외지급준비금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첫 번째 이유다. 위기시 국가 경제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바로 써야 하는 자금인만큼, 안전하고 상시 현금화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금의 경우 △높은 변동성에 비해 장기수익률이 주식 등 다른 자산에 비해 낮고 △주식과 채권에 비해 유동성이 적어 현금화에 용이하지 않으며 △미 국채 수익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분산투자 관점에서도 유용성이 떨어진다는 게 한은의 입장이다.
외환보유액의 특성상 단기적인 수익성보다 안정성과 유동성을 우선시 해야 하고, 장기적인 투자 자산으로의 매력도는 주식과 채권에 비해 크지 않다는 이야기다. 금은 자산 보유로 인해 이자나 배당과 같은 수익 대신 보관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도 있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외환보유액의 증가 추이와 시장 여건 등을 고려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금 추가 매입을 고려하고 있다는 기존 입방에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尹 체포조 지시는 뒷다리 잡는 이야기 반박
☞ "숨만 쉬어도 125만원" 이대 앞 충격실태…무슨 일?
☞ 전광훈 “광화문 와 달라”…전한길, 거절하며 한 말은
☞ "집주인 직거래"…당근에 뜬 수십억 아파트, 알고 보니
☞ 경찰, `문형배 동창 카페` 논란 수사 착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장영은 bluerain@
관련링크
- 이전글신청한 적 없는 카드 배송?…고령층 타깃 보이스피싱 기승 25.02.13
- 다음글대만 백화점 가스 폭발 사고, 4명 사망 25.02.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