꽉 막힌 호남 재생에너지발전, 신규 사업 추진 기회 열렸다
페이지 정보

본문
- 당국, 허수사업자 배제해,
- 전력망 접속 여유분 확보
- 전국 1.7GW…호남 0.3GW
- 전력망 접속 여유분 확보
- 전국 1.7GW…호남 0.3GW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전력망 포화로 막혀 있던 호남 지역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
1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는 13일 홈페이지에 호남 지역에서 새로이 확보한 336메가와트㎿ 규모 전력계통 접속 여유용량 입지를 공개하고, 이달 28일 자정부터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의 계통접속 허가 신청을 선착순 방식으로 받는다.
호남권은 제주와 함께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 추진이 가장 활발한 지역이다. 그러나 이 때문에 발전 전력을 보낼 전력망 접속 용량이 한계에 이르며 지난해 하반기부터 사실상 새로운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추진이 어려운 상황이다. 사업자가 발전 전기를 한전이 운영하는 전력계통에 접속시켜 전기를 팔 수 있어야 하는데, 계통접속 허가가 막혔기 때문이다.
호남 지역의 재작년 평균 부하는 6.2기가와트GW인데 같은 해 상업운전 중인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는 11GW에 이른다. 이 와중에 2031년까지 총 32GW 규모의 발전사업 허가 물량이 대기 중이다. 한전으로선 무려 43GW 규모의 발전 설비를 소화할 수 있는 전력망 확충 부담을 안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고 한전이 지역 내 전력망 계통 포화를 무시한 채 신규 사업자의 접속을 허용해버리면, 전력망 내 전력 과잉 공급에 따른 블랙아웃정전 우려가 커진다. 또 이를 막겠다고 발전 설비를 강제로 접속 차단해버리면 제주에서처럼 기존 사업자의 불만이 폭발할 수 있다.
전력 당국은 이 같은 지역 전력망 포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수도권 등 전력 다소비 지역을 잇는 장거리 전력망을 확충할 계획이지만, 송전철탑·변전소 같은 전력설비가 들어서는 지역 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반발이 날로 커지며 사업 추진 속도는 갈수록 더뎌지고 있다. 개별 전력망 확충 사업 기간은 통상 9년으로 잡는데, 최근 들어선 평균 4년 이상씩 지연되고 있다.
한전은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지난해 하반기 전국적으로 발전사업을 하겠다며 전력계통 접속 신청만 해놓고, 실제로 사업을 추진하지 않은 허수 사업자를 가리는 작업을 진행했다. 또 이를 통해 호남 지역에서만 336㎿의 신규 사업자가 접속 가능한 여유 용량을 확보했다.
강원, 제주 등 다른 지역에서도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기회가 열린다. 한전의 조사 결과 호남을 포함한 전국에서 총 1.7GW 규모의 허수 사업자를 확인했고, 이를 실제 사업 추진 의지가 있는 새 사업자의 접속 기회로 돌리기로 했다. 호남 외 지역에 대한 신규 접속 신청은 3월 중 받을 계획이다.
산업부는 현재 전력 과잉공급 우려 상황 땐 출력제어계통접속 일시 차단를 할 수 있다는 전제를 달거나, 계통안정화 설비를 갖추는 조건으로 신규 접속을 허용하는 제도를 통해 신규 발전사업자의 선택 폭을 넓혀둔 상황이다. 또 송전망 건설과 병행해 신규 접속 허가를 내주되, 송전망 건설 지연 땐 출력제어를 할 수도 있다는 조건부 접속허가 제도 신설도 추진 중이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한정된 전력망 여건 속에서도 재생에너지 보급을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전력망 건설 대안기술NWAs 활용도 확대할 계획”이라며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 등 전력망 확충을 위한 제도 기반도 차질없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집값 더 올랐다 논란의 토허제…40여년 만에 족쇄 푼다
☞ 다시 고개든 美소비자물가…한차례 금리인하도 어려울수도종합
☞ 27억→261억 혈세 낭비 지적받던 황금박쥐상, 가치 10배 뛰었다
☞ 하늘 양 아버지 장원영씨 조문, 강요 아닌 부탁이었는데...
☞ 아버지 살해하려던 선생님, 결국 3세 아들을...폭탄 교사 또 있었다
김형욱 nero@
1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는 13일 홈페이지에 호남 지역에서 새로이 확보한 336메가와트㎿ 규모 전력계통 접속 여유용량 입지를 공개하고, 이달 28일 자정부터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의 계통접속 허가 신청을 선착순 방식으로 받는다.
|
호남 지역의 재작년 평균 부하는 6.2기가와트GW인데 같은 해 상업운전 중인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는 11GW에 이른다. 이 와중에 2031년까지 총 32GW 규모의 발전사업 허가 물량이 대기 중이다. 한전으로선 무려 43GW 규모의 발전 설비를 소화할 수 있는 전력망 확충 부담을 안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고 한전이 지역 내 전력망 계통 포화를 무시한 채 신규 사업자의 접속을 허용해버리면, 전력망 내 전력 과잉 공급에 따른 블랙아웃정전 우려가 커진다. 또 이를 막겠다고 발전 설비를 강제로 접속 차단해버리면 제주에서처럼 기존 사업자의 불만이 폭발할 수 있다.
전력 당국은 이 같은 지역 전력망 포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수도권 등 전력 다소비 지역을 잇는 장거리 전력망을 확충할 계획이지만, 송전철탑·변전소 같은 전력설비가 들어서는 지역 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반발이 날로 커지며 사업 추진 속도는 갈수록 더뎌지고 있다. 개별 전력망 확충 사업 기간은 통상 9년으로 잡는데, 최근 들어선 평균 4년 이상씩 지연되고 있다.
한전은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지난해 하반기 전국적으로 발전사업을 하겠다며 전력계통 접속 신청만 해놓고, 실제로 사업을 추진하지 않은 허수 사업자를 가리는 작업을 진행했다. 또 이를 통해 호남 지역에서만 336㎿의 신규 사업자가 접속 가능한 여유 용량을 확보했다.
강원, 제주 등 다른 지역에서도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기회가 열린다. 한전의 조사 결과 호남을 포함한 전국에서 총 1.7GW 규모의 허수 사업자를 확인했고, 이를 실제 사업 추진 의지가 있는 새 사업자의 접속 기회로 돌리기로 했다. 호남 외 지역에 대한 신규 접속 신청은 3월 중 받을 계획이다.
산업부는 현재 전력 과잉공급 우려 상황 땐 출력제어계통접속 일시 차단를 할 수 있다는 전제를 달거나, 계통안정화 설비를 갖추는 조건으로 신규 접속을 허용하는 제도를 통해 신규 발전사업자의 선택 폭을 넓혀둔 상황이다. 또 송전망 건설과 병행해 신규 접속 허가를 내주되, 송전망 건설 지연 땐 출력제어를 할 수도 있다는 조건부 접속허가 제도 신설도 추진 중이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한정된 전력망 여건 속에서도 재생에너지 보급을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전력망 건설 대안기술NWAs 활용도 확대할 계획”이라며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 등 전력망 확충을 위한 제도 기반도 차질없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집값 더 올랐다 논란의 토허제…40여년 만에 족쇄 푼다
☞ 다시 고개든 美소비자물가…한차례 금리인하도 어려울수도종합
☞ 27억→261억 혈세 낭비 지적받던 황금박쥐상, 가치 10배 뛰었다
☞ 하늘 양 아버지 장원영씨 조문, 강요 아닌 부탁이었는데...
☞ 아버지 살해하려던 선생님, 결국 3세 아들을...폭탄 교사 또 있었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김형욱 nero@
관련링크
- 이전글맥스트, 김선규 사외이사 신규 선임 25.02.12
- 다음글"현금 할인이라 현금영수증 안돼요"…소비자 등골 빼먹는 업체들 정조준 25.02.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