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끝 철강업계 비상경영 돌입…미국 추가 관세·쿼터 축소땐 치명타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벼랑끝 철강업계 비상경영 돌입…미국 추가 관세·쿼터 축소땐 치명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9회 작성일 25-02-05 12:07

본문

불황속 조강 생산량 급감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와 중국산 철강재 덤핑 공세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한국의 조강쇳물 생산량이 역대 두 번째로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국내 철강사들이 생존을 위한 비상경영에 돌입한 가운데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어 업계 긴장감이 확산하고 있다.

5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조강 생산량은 6351만2000t으로 전년6668만1000t 대비 4.8%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첫해인 2010년5891만4000t 이후 최소치에 해당한다. 태풍 힌남노 피해로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가동을 멈췄던 2022년6584만6000t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한국의 조강 생산량 감소는 주요국 중에서도 두드러진다. 지난해 글로벌 조강 생산량은 18억3900만t으로 전년 대비 0.9% 줄었다. 국가별로 보면 전쟁 중인 러시아-7.0%를 제외하면 한국보다 생산량 감소율이 높은 나라는 없었다. 일본은 -3.4%, 미국은 -2.4%, 중국은 -1.7%였다.

중국 저가 공세에 글로벌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국내 철강 업계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공장을 멈춰 생산량을 조절해야 하는 벼랑 끝 상황에서 추가 관세나 쿼터제 조정 등으로 수출이 더 어려워지면 치명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철강협회가 집계한 지난해 국가별 철강 수입량을 보면 한국은 254만8000t으로 4위를 기록했다. 1∼3위는 캐나다594만9000t·브라질408만1000t·멕시코319만1000t 순이다. 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25%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고 한 달간 시행을 유예하기로 하면서 다음 타깃은 한국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 2018년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에 의해 연간 최대 수출량이 관세를 면제받는 250만t 수준으로 묶인 쿼터제를 적용받고 있다.

이근홍 기자 lkh@munhwa.com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속보]尹 지지율 51%, 탄핵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허은아, 이번엔 이준석 정치자금법 의혹 제기…천하람 “허위 사실”

문형배 탄핵안 법사위 회부…발의자는 시민이었다

이륙하던 항공기 날개에 불꽃, 승객들 ‘꺼내줘’ 패닉 영상

[속보]“이준석, 본가로 돌아올 시간 가까워져” 친한 신지호가 한 말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48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74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