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韓 철강에도 25% 관세…정부간 협상 기대하는 업계
페이지 정보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 시각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예외나 면제 없이 모든 나라에 25% 관세가 적용된다고 말했다. 백악관 측은 이번 조치가 3월 4일 발효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으로 들어가는 한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는 다음 달 12일부터 25% 관세가 부과된다. 트럼프 1기 때인 2018년 한국산 철강 수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대신 수출량을 제한한 쿼터제가 3월 12일 폐지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이 이날 공개한 포고문Adjusting Imports of Steel into The United States에서 1기 때 관세 예외 조치를 적용한 한국·아르헨티나·호주·브라질·캐나다·멕시코·유럽연합EU 회원국·일본·영국을 언급하며 “이 국가들로부터의 철강 수입이 국가 안보 악화를 위협한다고 판단했으며, 2025년 3월 12일자로 이전 합의를 종료할 필요성이 있다고 결정했다”고 했다.
한국은 현재 미국에 연간 263만톤t의 철강을 무관세로 수출하고 있다. 이 물량엔 관세가 부과되지 않고 그 이상은 수출할 수 없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2018년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수입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취하면서 한·미 정부 협상을 통해 한국산 철강 수출에는 무관세를 적용하는 대신 철강 수출량을 2015~2017년 평균 수출량의 70%만 수출할 수 있게 제한했다. 미국은 지난해 캐나다·브라질·멕시코에 이어 한국에서 4번째로 많은 철강을 수입했다. 지난해 한국이 철강을 가장 많이 수출한 국가금액 기준 1위는 미국이었다.
미국 매출이 상당한 만큼 수출 쿼터가 폐지되고 관세가 부과되면 국내 철강업계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주요 철강사는 미국 내 제철소 건설과 미국 외 새로운 시장 발굴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며 대응에 나섰다. 미국 내 생산 시설 확보를 계획 중인 업체들은 투자 결정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는 고로나 전기로로 철광석을 녹여 쇳물을 생산하는 상공정 공장을 미국에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비용이 많이 드는 만큼 투자 리스크위험 요인를 다각도로 살펴보고 있다. 포스코 측은 이달 초 실적 발표회에서 미국 상공정 시설 확보 방안과 관련해 “투자비가 많이 들고 변동성이 높아 다양한 옵션을 두고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현대제철은 트럼프 2기 출범 전부터 관세 장벽에 대응해 미국 내 제철소 건설 방안을 검토했으나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미국 현지에서 자동차용 강판을 만들어 현대차와 기아의 조지아주 공장에 납품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나, 수조원에 달하는 자금 조달 방안을 확정하지 못했다. 차입금을 줄이기 위해 현대제철이 보유한 그룹 계열사 지분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그룹 지배구조와 얽혀있어 쉬운 선택지는 아니란 관측이 나온다.
노동조합 반발도 미국 공장 설립의 변수다. 현대제철은 노조가 11일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이날 오전 7시부터 핵심 설비를 제외하고 24시간 조업을 중단했다. 회사가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짓겠다고 할 경우 국내 사업장 축소 가능성을 놓고 노조 측 반대가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세아그룹은 국내 철강업체 중 유일하게 미국에 생산 공장을 갖고 있어 상황이 상대적으로 나은 편이다. 지주사 세아제강지주는 2016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강관 공장을 인수해 현재 연간 약 25만t을 생산하고 있다. 세아제강지주는 휴스턴 공장 증설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계열사 세아제강은 관세 적용의 구체적인 내용을 지켜보며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세아제강은 현재 쿼터 제한에 따라 연간 28만t의 강관을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동국제강그룹의 냉연도금·컬러강판 자회사 동국씨엠은 호주에서 컬러강판을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호주 수출 물량이 증가세라 현지 생산 효과와 성장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법인을 설립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동국씨엠은 현재 도금강판 물량의 10~15%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으나, 미국에 직접 생산 시설을 짓는 방안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호주 등으로 생산 거점을 다변화해 미국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선 다음 달 쿼터 폐지와 관세 부과 전까지 정부 간 협상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에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도 호주에는 무역 흑자를 이유로 들며 관세 면제 가능성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의 여지를 열어놓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 철강업체 관계자는 “관세 적용 전까지 정부가 미국과 협상을 벌일 걸로 예상하고 있지만 아직 정부 측에서 협의 요청이 온 것은 없다”고 말했다.
[ 조선비즈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비즈 amp;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남희 기자 knh@chosunbiz.com
미국으로 들어가는 한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는 다음 달 12일부터 25% 관세가 부과된다. 트럼프 1기 때인 2018년 한국산 철강 수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대신 수출량을 제한한 쿼터제가 3월 12일 폐지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이 이날 공개한 포고문Adjusting Imports of Steel into The United States에서 1기 때 관세 예외 조치를 적용한 한국·아르헨티나·호주·브라질·캐나다·멕시코·유럽연합EU 회원국·일본·영국을 언급하며 “이 국가들로부터의 철강 수입이 국가 안보 악화를 위협한다고 판단했으며, 2025년 3월 12일자로 이전 합의를 종료할 필요성이 있다고 결정했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 백악관에서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문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UPI 연합뉴스
미국 매출이 상당한 만큼 수출 쿼터가 폐지되고 관세가 부과되면 국내 철강업계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주요 철강사는 미국 내 제철소 건설과 미국 외 새로운 시장 발굴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며 대응에 나섰다. 미국 내 생산 시설 확보를 계획 중인 업체들은 투자 결정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는 고로나 전기로로 철광석을 녹여 쇳물을 생산하는 상공정 공장을 미국에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비용이 많이 드는 만큼 투자 리스크위험 요인를 다각도로 살펴보고 있다. 포스코 측은 이달 초 실적 발표회에서 미국 상공정 시설 확보 방안과 관련해 “투자비가 많이 들고 변동성이 높아 다양한 옵션을 두고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현대제철은 트럼프 2기 출범 전부터 관세 장벽에 대응해 미국 내 제철소 건설 방안을 검토했으나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미국 현지에서 자동차용 강판을 만들어 현대차와 기아의 조지아주 공장에 납품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나, 수조원에 달하는 자금 조달 방안을 확정하지 못했다. 차입금을 줄이기 위해 현대제철이 보유한 그룹 계열사 지분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그룹 지배구조와 얽혀있어 쉬운 선택지는 아니란 관측이 나온다.
노동조합 반발도 미국 공장 설립의 변수다. 현대제철은 노조가 11일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이날 오전 7시부터 핵심 설비를 제외하고 24시간 조업을 중단했다. 회사가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짓겠다고 할 경우 국내 사업장 축소 가능성을 놓고 노조 측 반대가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관세 25% 부과를 발표한 11일미국 시각 10일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동국제강그룹의 냉연도금·컬러강판 자회사 동국씨엠은 호주에서 컬러강판을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호주 수출 물량이 증가세라 현지 생산 효과와 성장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법인을 설립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동국씨엠은 현재 도금강판 물량의 10~15%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으나, 미국에 직접 생산 시설을 짓는 방안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호주 등으로 생산 거점을 다변화해 미국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선 다음 달 쿼터 폐지와 관세 부과 전까지 정부 간 협상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에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도 호주에는 무역 흑자를 이유로 들며 관세 면제 가능성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의 여지를 열어놓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 철강업체 관계자는 “관세 적용 전까지 정부가 미국과 협상을 벌일 걸로 예상하고 있지만 아직 정부 측에서 협의 요청이 온 것은 없다”고 말했다.
[ 조선비즈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비즈 amp;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남희 기자 knh@chosunbiz.com
관련링크
- 이전글트럼프 상호관세 관망세…환율 소폭 오른 1452.6원 25.02.11
- 다음글중국인들 "한국 가서 사자" 싹쓸이에…루이비통, 백화점에 경고 [지금이뉴... 25.02.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