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타깃·월마트에 등장한 K뷰티"…K유통의 힘
페이지 정보

본문
- 언락드브랜드 2월부터 ‘타깃’에 K뷰티 유통
- 랜딩인터는 5월 월마트에 K뷰티 브랜드 확대
- 작년 K뷰티 美수출 57% 껑충, 전략시장 떠올라
- 오프라인 비중 큰 美시장, 유통사 역할 커져
- 랜딩인터는 5월 월마트에 K뷰티 브랜드 확대
- 작년 K뷰티 美수출 57% 껑충, 전략시장 떠올라
- 오프라인 비중 큰 美시장, 유통사 역할 커져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K뷰티화장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이를 전문으로 유통하는 업체들도 덩달아 부상하고 있다. 특히 주요 수출국으로 떠오른 북미 시장 유통에 힘을 주고 있는 모습이다. 국내 연구·개발·생산ODM 인프라 경쟁력에 유통 역량까지 결합하면서 K뷰티 수출 전선도 올해 더욱 확장될 전망이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뷰티 유통사 언락드브랜드는 이달부터 미국 오프라인 대형마트인 ‘타깃’Target 1600여개 매장에 K뷰티 제품들을 본격 판매하기 시작했다. 미국 타깃에 K뷰티가 공식 입점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언락드브랜드는 주로 3세대로 분류되는 신진 K뷰티 브랜드의 북미 유통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언락드브랜드 관계자는 “K뷰티 3세대 브랜드들이 타깃에 들어가는 건 처음”이라며 “타깃은 뷰티 매출 규모가 월마트보다 큰 주요 채널”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입점하는 K뷰티 브랜드는 △조선미녀 △스킨천사 △라운드랩 △토리든 △성분에디터 등 5개다. 이들 브랜드는 언락드브랜드를 통해 타깃 내부 K뷰티 전용 상설 구역에서 판매된다. 그간 온라인 위주로 팔리던 K뷰티 제품을 타깃 매장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만큼 접근도가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언락드브랜드는 2019년 설립된 뷰티 유통사로 종합상사인 삼성물산028260과 글로벌 뷰티업체 로레알 출신 대표들이 창업한 곳이다. 무역과 뷰티에 정통한 전문가들이 처음부터 미국을 겨냥해 만든 유통사다. 본사 소재도 미국이다.
언락드브랜드는 K뷰티가 미국내 타깃 매장에 깔린 이후 2주 정도면 소기의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후 현지 인플루언서를 통해 SNS 마케팅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국내 뷰티 유통사 랜딩인터내셔널도 오는 5월 미국 대형마트 월마트에 K뷰티 브랜드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앞서 이 회사는 지난해 말 월마트와 파트너십 계약을 맺고 K뷰티 브랜드 공급을 시작했다. 현재 월마트 내 샵인샵매장 안 매장 ‘뷰티스페이스’에 △썸바이미 △네오젠 △믹순 등 K뷰티 브랜드를 유통 중이다. 랜딩인터내셔널은 지난해 아모레퍼시픽090430이 인수한 코스알엑스를 미국판 올리브영인 ‘울타’에 처음으로 입점시킨 바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K뷰티의 미국 수출 규모는 19억 달러로 2023년대비 57% 증가했다. K뷰티 수출에 있어 북미 시장의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전문 유통사들도 덩달아 주목을 받는 상황이다.
특히 미국 뷰티시장은 국내와 달리 오프라인 비중이 80%대에 달할 정도로 높아 유통사 역할이 중요하다. 지난해 패션업체 폰드그룹이 뷰티 유통사 모스트를 인수한 것도 이 때문이다. 모스트는 코스트코 글로벌 등과 손잡고 북미 시장을 공략 중이다.
최근 K뷰티는 탄탄한 국내 ODM 인프라에 인디 브랜드의 기획력이 더해져 승승장구 중이다. 지난해에도 처음으로 수출 1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올해는 뷰티 유통사들이 뚫은 판로를 통해 북미 시장에서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뷰티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유통 채널에 밝은 젊은 창업가들이 뷰티 유통사를 설립해 인디 브랜드의 판로를 열어주는 모습”이라며 “다만 K뷰티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제품 기획이나 마케팅도 더 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위기의 韓철강…美쿼터제 폐지→관세폭탄 최악 시나리오 촉각
☞ 7살 때 내복을 12살 죽는 날에도...감옥서 아이 낳은 계모 [그해 오늘]
☞ 대전 초등생 흉기 사망사건 용의자는 일반교사…11일 학교 휴업
☞ 큰손 국민연금, 엔비디아 팔더니…쓸어담은 종목은
☞ 쇼트트랙, 中에 압승했지만…석연찮은 판정에 놓친 金 2개 논란
김정유 thec98@
|
언락드브랜드 관계자는 “K뷰티 3세대 브랜드들이 타깃에 들어가는 건 처음”이라며 “타깃은 뷰티 매출 규모가 월마트보다 큰 주요 채널”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입점하는 K뷰티 브랜드는 △조선미녀 △스킨천사 △라운드랩 △토리든 △성분에디터 등 5개다. 이들 브랜드는 언락드브랜드를 통해 타깃 내부 K뷰티 전용 상설 구역에서 판매된다. 그간 온라인 위주로 팔리던 K뷰티 제품을 타깃 매장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만큼 접근도가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언락드브랜드는 2019년 설립된 뷰티 유통사로 종합상사인 삼성물산028260과 글로벌 뷰티업체 로레알 출신 대표들이 창업한 곳이다. 무역과 뷰티에 정통한 전문가들이 처음부터 미국을 겨냥해 만든 유통사다. 본사 소재도 미국이다.
언락드브랜드는 K뷰티가 미국내 타깃 매장에 깔린 이후 2주 정도면 소기의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후 현지 인플루언서를 통해 SNS 마케팅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국내 뷰티 유통사 랜딩인터내셔널도 오는 5월 미국 대형마트 월마트에 K뷰티 브랜드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앞서 이 회사는 지난해 말 월마트와 파트너십 계약을 맺고 K뷰티 브랜드 공급을 시작했다. 현재 월마트 내 샵인샵매장 안 매장 ‘뷰티스페이스’에 △썸바이미 △네오젠 △믹순 등 K뷰티 브랜드를 유통 중이다. 랜딩인터내셔널은 지난해 아모레퍼시픽090430이 인수한 코스알엑스를 미국판 올리브영인 ‘울타’에 처음으로 입점시킨 바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K뷰티의 미국 수출 규모는 19억 달러로 2023년대비 57% 증가했다. K뷰티 수출에 있어 북미 시장의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전문 유통사들도 덩달아 주목을 받는 상황이다.
특히 미국 뷰티시장은 국내와 달리 오프라인 비중이 80%대에 달할 정도로 높아 유통사 역할이 중요하다. 지난해 패션업체 폰드그룹이 뷰티 유통사 모스트를 인수한 것도 이 때문이다. 모스트는 코스트코 글로벌 등과 손잡고 북미 시장을 공략 중이다.
최근 K뷰티는 탄탄한 국내 ODM 인프라에 인디 브랜드의 기획력이 더해져 승승장구 중이다. 지난해에도 처음으로 수출 1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올해는 뷰티 유통사들이 뚫은 판로를 통해 북미 시장에서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뷰티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유통 채널에 밝은 젊은 창업가들이 뷰티 유통사를 설립해 인디 브랜드의 판로를 열어주는 모습”이라며 “다만 K뷰티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제품 기획이나 마케팅도 더 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위기의 韓철강…美쿼터제 폐지→관세폭탄 최악 시나리오 촉각
☞ 7살 때 내복을 12살 죽는 날에도...감옥서 아이 낳은 계모 [그해 오늘]
☞ 대전 초등생 흉기 사망사건 용의자는 일반교사…11일 학교 휴업
☞ 큰손 국민연금, 엔비디아 팔더니…쓸어담은 종목은
☞ 쇼트트랙, 中에 압승했지만…석연찮은 판정에 놓친 金 2개 논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김정유 thec98@
관련링크
- 이전글나이 많고 병력 있어도···실손보험, 90세까지 가입 가능해진다 25.02.11
- 다음글오늘 금값 급등, 국내외 시장 주목 금값시세 25.02.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