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많고 병력 있어도···실손보험, 90세까지 가입 가능해진다
페이지 정보

본문
실손 가입 나이 노후 75세·병력자 70세 이하
![]() |
오는 4월부터는 노후·병력자 실손의료보험 가입 나이가 90세까지 확대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헤럴드경제=박성준 기자] 오는 4월부터 노후·병력자 실손의료보험 가입 나이가 90세까지 확대된다. 그간 가입 연령 제한으로 나이가 많고 병력이 있는 경우 실손보험에 가입하고 싶어도 가입할 수가 없었다. 보장 나이도 110세까지 확대된다. 이번 정책 변화를 통해 고령층의 의료비 부담이 완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금융당국은 11일 보험업계와 함께 인구구조 변화 대응, 국민 노후 대비를 위한 ‘노후지원 보험 5종 세트’ 가운데 ‘노후·병력자 실손보험’ 정책 개선 계획으로 이같이 밝혔다.
현재 노후 실손보험은 9개사생명보험회사 2개·손해보험회사 7개, 병력자 실손보험은 13개사생보 2개사, 손보 11개사가 판매하고 있다. 가입 나이는 병력자 실손보험이 70세, 노후 실손보험이 75세다. 보장 나이는 100세까지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가입연령 제한으로 노령층의 실손보험 가입률은 70대 38.1%, 80세 이상 4.4%에 그친다.
이에 금융당국은 노후·병력자 실손보험 가입 연령을 현행 70·75세에서 90세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보장 나이도 기존 100세에서 110세로 확대해 10년 늘렸다. 금융당국은 이번 정책 변화에 대해 고령화 시대 노년층의 의료비 보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입·보장 나이가 확대된 실손보험은 오는 4월 1일부터 출시될 예정이다. 소비자는 판매 보험사에 방문하거나, 다이렉트 채널 혹은 보험설계사 등을 통해 가입할 수 있다. 또한 보장 나이가 100세인 기존 계약의 경우 재가입3년 주기 시기에 맞춰 보장 나이가 110세로 자동 연장될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보험업계와 함께 국민 노후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보험상품을 발굴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노후·병력자 실손보험 개선 외에도 사후 소득인 보험금을 생전 유동화해 저소득층 노인들의 노후 대비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사망보험금 유동화’를 추진한다. 또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와 연금 계좌의 의료비 인출 편의성을 높이는 ‘의료저축계좌’ 기능 부여도 검토한다. 이외에도 ▷보험계약대출 우대금리 항목 신설 ▷신탁업 활성화 등을 추진 중이다.
[ 인기기사 ]
▶ “30대 직원이 연봉 1억원” 대출이자까지 내준다…역대급 처우에 ‘우르르’
관련링크
- 이전글오리온, 지난해 영업익 5천억 돌파…창사 이래 처음 25.02.11
- 다음글"美 타깃·월마트에 등장한 K뷰티"…K유통의 힘 25.02.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