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금값 엇갈린 흐름, 향후 전망은? 금값시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2-07 12:34 조회 19 댓글 0본문
2월 7일 현재 한국거래소와 국제시장에서 금값이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의 1돈 기준 금 시세는 543,300원으로, 전일 대비 4,575원0.8% 하락했다. 반면 국제 금 시세는 상승세를 기록했다. 삼성금거래소에 따르면 금 1돈의 국제 시세는 구매 시 345.71달러500,032원, 판매 시 345.91달러500,330원로 전일 대비 2.04달러2,949원 상승했다.
최근 금값 변동을 살펴보면, 한국거래소의 금값은 2월 6일 1돈 기준 547,875원이었으며, 하루 만에 4,575원이 떨어지면서 하락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지난 1주일 평균과 비교하면 여전히 17,389원3.3% 높고, 30일 평균 대비해서는 53,676원11.0% 상승한 상태다. 이는 한 달 전보다 금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음을 의미하며, 최근 시장의 변동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최근 1년 동안의 금값 최고점은 554,325원이었고, 현재 가격은 최고가 대비 11,025원2.0% 낮은 수준이다. 반면, 1년 최저가였던 322,500원과 비교하면 220,800원68.5% 상승한 수치로, 장기적인 상승 추세가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지속되면서 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진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환율 변동도 금 시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월 7일 12시 기준 환율은 1,446원으로, 전일 대비 0.6원 상승했다. 원화 약세가 이어지면서 금값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국제 금값은 상승했으나, 국내 시장에서는 환율과 거래 수급에 따라 가격이 조정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2월 6일 한국거래소에서 금 거래대금은 1,070억 원에 달했으며, 이는 상당한 규모로 금 시장의 유동성이 여전히 활발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단기적인 조정과 함께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금값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더라도,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클 수 있어 시장의 흐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현재 금 시장은 국제 경제 동향과 맞물려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글로벌 경기 둔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금값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금값 흐름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금값의 변동성을 감안하여 신중한 매매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김윤교 기자 : reporter@topstarnews.co.kr
[많이 본 이슈]
▶ 故송대관, 심장마비로 별세→생전 힘없는 모습으로 무대…"아픈게 보일 정도"
▶ 故현철 이어…4대 천왕 송대관, 방송 출연 앞두고 심장마비로 사망 [TOP이슈]
▶ 지난 11월 앨범도 발매했는데…가수 송대관, 오늘7일 별세 향년 78세
▶ "토하듯이 울었다" 故오요안나 유족, MBC 조사위 거절 이유는 [TOP이슈]
▶ 태민·첸백시→더보이즈 품은 원헌드레드, 악성 루머 유포자 검거…추가 고소까지 전문
▶ 故서희원 전 시모, 며느리 유해 도착한 날 라방…"밥 잘 넘어가" 비판 쇄도
▶ 루네이트, 은섭 탈퇴→소년판타지 출연 유우마 새 멤버 합류…4월부터 공식 활동 참여
▶ 2PM 옥택연, ♥여자친구에 프러포즈 스냅 유출→결혼설에 사진 업체 측 해명 [TOP이슈]
▶ 따로 또 같이 블랙핑크, 재계약 체결 2년만 완전체 월드 투어…솔로 활동도 활발 [TOP이슈]
▶ A형 독감 앓던 중국 배우 양우성, 27세 나이로 사망 "중추신경계 감염에 의한 급사"
#x2666; 슈퍼스타 브랜드파워 투표
내가 사랑하는 스타에게 투표하고,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 전광판 광고를 선물해 주세요!
Copyright ⓒ 톱스타뉴스 www.TopStarNews.Net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