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후판 규제에도 韓 철강업계 한파 지속…수요 지속 급감 >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경제기사 | natenews rank

中후판 규제에도 韓 철강업계 한파 지속…수요 지속 급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3-30 18:08 조회 3 댓글 0

본문

반덤핑 관세에 中후판 수요 43.4% 급감
韓후판 수요는 여전히 제자리...건설 경기 불황 여파
"韓철강사, 후판 수요 확대보단 단가 조정에 힘써야"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후판 생산현장 사진현대제철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후판 생산현장 [사진=현대제철]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가 본격화했음에도 국산 후판 수요 회복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올해도 철강·건설경기 불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고돼 국내 철강사들의 불황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30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1~2월 국내로 수입된 중국산 후판은 13만2932t으로 지난해23만 4789t보다 43.4% 감소했다. 이는 2022년 이후 최저치다.

두꺼운 철강재인 후판은 조선·건설 등에 주로 사용되는 핵심 원자재다. 업계는 중국산 후판 수입량이 지속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가 중국 후판 제품에 고율의 반덤핑 관세를 매긴 결과다.


중국산 후판 수입 감소에도 국내 후판 수요 회복은 여전히 더디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국내 후판 수요는 지난 2011년 1200만t으로 정점을 찍고, 지속 감소하는 추세다.

국내 후판 수요는 지난 2020년 760만t까지 급락한 이후 △2021년 805만t △2022년 824만t △2023년 844만t으로 3년 연속 반등세를 이어왔지만 지난해 780만t까지 줄었다. 올해는 700만t 초반까지도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중국산 후판 수입 제재는 강화됐지만, 국내 건설경기 불황 등이 지속돼 국산 후판에 대한 판매량 반등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서다.

통상 국내 철근 전체 생산량의 50~60%는 건설 현장으로 보내진다. 후판의 경우 수요의 60%가 조선용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건설용으로 사용된다. 조선용 후판 수요 회복에도 국산 후판 전체 수요가 감소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실제 지난 2월 국내 후판 제조 3사인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의 후판 내수 판매는 49만4000t으로 지난해 1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친환경 선박 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후판 수요 감소 원인으로 꼽힌다. LNG 운반선 등 친환경 선박은 기존 컨테이너선이나 탱커에 비해 구조상 후판 사용량이 현저히 떨어진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일각에선 판매량 확대가 아닌 후판 가격 조정이 국내 철강업계의 수익성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란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건설경기 불황이 지속되며, 비조선용 후판 감소세가 지속돼 중국 후판 수입 비중이 줄어도 국산 후판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하락하고 있다"며 "후판 생산량 확대로 인한 수익성 개선보단 제품 단가 조정을 통해 이익 확대를 노려야 실적 부진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이나경 기자 nakk@ajunews.com

★관련기사

中후판 규제에도 韓 철강업계 한파 지속...수요 지속 급감

후판·열연강판에 이어 컬러강판도 반덤핑 제소...철강업계, 안방 사수 총력전

거세지는 후판 덤핑 관세 후폭풍...韓조선·석화업계 타격 불가피

[특징주] 철강株, 중국산 후판 반덤핑 관세 소식에 강세

중국산 저가 후판에 최대 38% 잠정 덤핑방지 관세..타업계 반발·보복관세 촉각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