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타이 푸셔야 재취업 됩니다…954만 2차 부머들 비상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넥타이 푸셔야 재취업 됩니다…954만 2차 부머들 비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0회 작성일 25-02-07 00:02

본문




올해 노동시장 큰 화두
유모54씨는 20년간 의료기기 회사에서 일하다가 54세에 권고사직했다. 이후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따서 복합기 대여 관리회사에 재취업해 세후 월 300만원가량을 받고 있다. 그는 “함께 공부를 시작한 25명 친구 중 7명밖에 취업을 못했다”며 “사무직 친구들은 취업이 되더라도 현장직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일자리 훈련과 개인이 새로운 환경에 용기를 내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느꼈다”고 밝혔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유씨 같은 중장년 재취업자는 한국 사회의 큰 화두다. 올해부터 954만명에 달하는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때문이다. 2차베이비부머는 1차 베이비부머705만명보다 수도 많은 데다, 특성도 달라 사회적으로 준비가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차 베이비부머가 1차 베이비부머와 다른 점은 ‘고학력·사무직’이라는 점이다. 2차 베이비부머 열명 중 네명44.6%은 전문대졸업 이상 학력을 갖췄다. 1차 베이비부머에선 전문대 졸업 이상 학력 소유자가 열명 중 두명23.9%이었던 데 비해 학력 수준이 높다.

직업도 2차 베이비부머는 전문가가 18.4%, 사무직이 15.4% 순이었다. 장치 기계 조립직16.4%, 단순노무직15.8% 비중이 높았던 1차 베이비부머와는 달리 사무직 비중이 높은 게 특징이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문제는 이런 고학력·사무직 근로자가 은퇴 후 자신의 경력을 살리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고용노동부가 2023년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 사무·서비스판매직은 재취업시 69.5%가 다른 직종으로 이동했다. 대다수가 손에 익지 않은 새 직업을 찾아야 했다는 의미다. 성재민 노동연구원 부원장은 “은퇴 인력의 고학력 사무직화는 계속되는 흐름이고, 2차 베이비부머는 어떻게 보면 시작점”이라며 “연금 수령 시기가 65세로 늦어지는 데다 생산활동인구도 줄어드는 만큼 이들이 계속 일하지지 않고 이탈해 버리면 노동시장에 충격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에선 이들을 위한 재취업 정책 마련에 나섰다. 먼저 재취업에 유리한 자격증 취득을 도와주는 한국폴리텍대학 중장년 특화훈련과정 규모를 지난해 2550명에서 올해 7500명으로 늘린다. 지게차운전원, 전기공, 안전관리사, 공동냉동기계사 자격증을 취득해 재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대적으로 기술직보다 은퇴 뒤 재취업에 난항을 겪는 사무직·서비스직 중장년을 위해서는 ‘경력전환형 일자리’ 지원에 나선다. 고용부는 이미 지난해 소프트웨어SW테스터, 호텔 객실 인스펙터점검원 등 중장년 맞춤형 일자리를 기업 현장에 알선했다. 고용부는 이 같은 사례를 더 확산해 지역대학·연구기관과 함께 3년간 6000개의 중장년 일자리를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네이버·은행 등 수요가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현장훈련 등을 제공하는 ‘경력이음형 일자리’도 만든다.

법적 제도가 부족한 탓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고령자고용촉진법에는 기업의 재취업지원서비스가 명문화되어 있으나, 1000명 이상 대기업에만 적용되고 어겨도 사실상 패널티가 없다. 또 ‘정년퇴직, 이직, 사업장 폐업, 장기 실직자’가 대상으로 되어 있어 ‘낙인효과’를 두려워하는 근로자들이 참여를 꺼리는 게 현실이다. 최영범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 과장은 “법령 개정을 준비 중”이라며 “기업에 재취업지원서비스 비용 지원 및 컨설팅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김연주 기자 kim.yeonjoo@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이순자 "소름 돋았다"…노태우 아내 드러낸 본심
속옷도 안입고…시상식 뒤집은 올누드 드레스 충격
미국이 경악했다…中 10년 간의 치밀한 빌드업
딸 10년 성폭행한 악마 아빠…가족 고소하자 결국
"구준엽 아내, 극심한 고통 호소…폐렴 사망 아냐"
서희원처럼…독감 앓던 27세 中남자배우도 사망
오요안나 술냄새 욕한 선배들…母 "우울증 때문"
"한방울도 큰일"…독성 모르는데 팔리는 기호식품
"죽기 전 성관계 한번만"…군인이 칼 들고 습격
2주간 지진 6000건 대탈출 공포…유명 관광지 결국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연주 kim.yeonjoo@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81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47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