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았지만, 살 곳 없는 사육견 10만마리
페이지 정보

본문
‘개 식용 종식법’ 시행 6개월…농장 10곳 중 4곳 ‘폐업’
대형견은 분양 어려워…“대부분 대형 사육 농장 이동”
‘개 식용 종식법’ 시행 반년 만에 개 사육 농장 10곳 중 4곳이 문을 닫았다. 개 사육 농장 폐업이 늘며 개 식용 종식 추진에 속도가 붙고 있지만, 갈 곳 없는 잔여견들의 보호·관리를 위한 후속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8월7일 ‘개의 식용 목적 사육·도살 및 유통 등 종식에 관한 특별법’개 식용 종식법 시행 이후 지난 6일까지 6개월간 전국 개 사육 농장1537개의 40%인 623곳이 폐업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해 5월 약 200곳의 농장주들만 폐업하겠다고 신고했으나 실제 폐업한 수는 그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이다.
폐업 농장 중에선 300마리 미만 사육 농장이 449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0~1000마리 미만 사육 농장 153개, 1000마리 이상 사육 농장 21개 등 순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개 식용 종식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확산하면서 폐업이 상대적으로 쉬운 소농뿐 아니라 중·대농에서도 조기 폐업에 적극 참여했다”며 “올해까지 폐업 농장은 전체의 60%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개 식용 종식이 큰 차질 없이 이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개 식용 목적 사육·도살·유통·판매 등을 전면 금지한 개 식용 종식법은 지난해 2월6일 법 제정·공포 후 8월 시행됐으며, 유예기간을 거쳐 2027년 2월7일부터 적용된다. 폐업하는 개 사육 농장에는 폐업 시기에 따라 5개 구간으로 나눠 폐업이행촉진지원금을 차등 지급한다. 지난 6일까지 폐업한 농장은 1구간에 해당하며, 지자체의 현장 실사 등을 거쳐 마리당 60만원을 받는다.
폐업 농장 수가 당초 예상보다 크게 늘었으나 잔여견의 보호·관리 부실화 우려는 커지고 있다. 농장주들이 지난해 5월 신고한 사육견은 총 46만6000마리다. 이 중 이번에 폐업한 농장에서 사육 중인 개는 10만마리 안팎으로 추정된다. 농장 폐업으로 발생한 잔여견은 지자체가 소유권을 인수해 보호·관리하도록 돼 있지만, 지자체 직영 동물보호센터도 이미 포화 상태여서 수용 규모는 제한적이다. 정부가 앞서 “안락사는 없다”고 밝힌 상태여서 유일한 해법은 잔여견 분양이나 시장에 유통·판매되는 것이다.
하지만 잔여견은 주로 몸집이 큰 대형견이어서 반려인 수요가 적고, 국민들의 인식 변화와 겨울철 등 계절적 요인으로 시장의 수요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폐업 농장의 잔여견 대부분이 유통상인을 통해 기존의 대형 개 사육 농장으로 옮겨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육견협회 관계자는 “지원금이라도 받으려고 조기 폐업하는 농장이 많지만, 시장의 수요가 없어 다른 대형 농장으로 사는 곳만 이동하는 실정”이라며 “기존 농장의 좁은 케이지 안에 많은 개들을 암수 구분 없이 모아놓게 되면 자연출산율이 증가해 개체 수가 오히려 늘 수 있어 개 식용 종식법의 유예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광호 기자 ahn7874@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친윤계 내부도 “윤석열은 무능한 군주”…‘대왕고래 프로젝트’ 실패 비난
·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하늘길 배웅한 희망의 노래
· 원래 내 자리가 여기인데…서산 ‘부석사 불상’, 647년 만의 슬픈 귀향
· 목성 위성서 화산 대폭발…전 세계 발전소 6배 에너지 ‘쾅’
· ‘극우화 신호’ 4가지, 국민의힘에 보인다···“전광훈과 손 잡으면 끝”
· “망하는 민주당, 오래전에 시작”…‘입틀막’ 이재명 일극체제 비판 분출
· “매운 소스 먹이고 소주까지”…2살 딸 숨지게 한 30대 부부 비상식적 가혹행위 정황
· “잠 안 잔다”…간병인에 폭행 당한 90대 이틀 뒤 숨져
· 윤석열은 ‘예산삭감’으로 국정마비 됐다는데…경제수석 “저는 보고 안 했다”
· 파나마 대통령 “미국 ‘운하 무료 통항 합의’는 거짓말”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형견은 분양 어려워…“대부분 대형 사육 농장 이동”


‘개 식용 종식법’ 시행 반년 만에 개 사육 농장 10곳 중 4곳이 문을 닫았다. 개 사육 농장 폐업이 늘며 개 식용 종식 추진에 속도가 붙고 있지만, 갈 곳 없는 잔여견들의 보호·관리를 위한 후속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8월7일 ‘개의 식용 목적 사육·도살 및 유통 등 종식에 관한 특별법’개 식용 종식법 시행 이후 지난 6일까지 6개월간 전국 개 사육 농장1537개의 40%인 623곳이 폐업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해 5월 약 200곳의 농장주들만 폐업하겠다고 신고했으나 실제 폐업한 수는 그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이다.
폐업 농장 중에선 300마리 미만 사육 농장이 449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0~1000마리 미만 사육 농장 153개, 1000마리 이상 사육 농장 21개 등 순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개 식용 종식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확산하면서 폐업이 상대적으로 쉬운 소농뿐 아니라 중·대농에서도 조기 폐업에 적극 참여했다”며 “올해까지 폐업 농장은 전체의 60%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개 식용 종식이 큰 차질 없이 이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개 식용 목적 사육·도살·유통·판매 등을 전면 금지한 개 식용 종식법은 지난해 2월6일 법 제정·공포 후 8월 시행됐으며, 유예기간을 거쳐 2027년 2월7일부터 적용된다. 폐업하는 개 사육 농장에는 폐업 시기에 따라 5개 구간으로 나눠 폐업이행촉진지원금을 차등 지급한다. 지난 6일까지 폐업한 농장은 1구간에 해당하며, 지자체의 현장 실사 등을 거쳐 마리당 60만원을 받는다.
폐업 농장 수가 당초 예상보다 크게 늘었으나 잔여견의 보호·관리 부실화 우려는 커지고 있다. 농장주들이 지난해 5월 신고한 사육견은 총 46만6000마리다. 이 중 이번에 폐업한 농장에서 사육 중인 개는 10만마리 안팎으로 추정된다. 농장 폐업으로 발생한 잔여견은 지자체가 소유권을 인수해 보호·관리하도록 돼 있지만, 지자체 직영 동물보호센터도 이미 포화 상태여서 수용 규모는 제한적이다. 정부가 앞서 “안락사는 없다”고 밝힌 상태여서 유일한 해법은 잔여견 분양이나 시장에 유통·판매되는 것이다.
하지만 잔여견은 주로 몸집이 큰 대형견이어서 반려인 수요가 적고, 국민들의 인식 변화와 겨울철 등 계절적 요인으로 시장의 수요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폐업 농장의 잔여견 대부분이 유통상인을 통해 기존의 대형 개 사육 농장으로 옮겨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육견협회 관계자는 “지원금이라도 받으려고 조기 폐업하는 농장이 많지만, 시장의 수요가 없어 다른 대형 농장으로 사는 곳만 이동하는 실정”이라며 “기존 농장의 좁은 케이지 안에 많은 개들을 암수 구분 없이 모아놓게 되면 자연출산율이 증가해 개체 수가 오히려 늘 수 있어 개 식용 종식법의 유예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광호 기자 ahn7874@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친윤계 내부도 “윤석열은 무능한 군주”…‘대왕고래 프로젝트’ 실패 비난
·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하늘길 배웅한 희망의 노래
· 원래 내 자리가 여기인데…서산 ‘부석사 불상’, 647년 만의 슬픈 귀향
· 목성 위성서 화산 대폭발…전 세계 발전소 6배 에너지 ‘쾅’
· ‘극우화 신호’ 4가지, 국민의힘에 보인다···“전광훈과 손 잡으면 끝”
· “망하는 민주당, 오래전에 시작”…‘입틀막’ 이재명 일극체제 비판 분출
· “매운 소스 먹이고 소주까지”…2살 딸 숨지게 한 30대 부부 비상식적 가혹행위 정황
· “잠 안 잔다”…간병인에 폭행 당한 90대 이틀 뒤 숨져
· 윤석열은 ‘예산삭감’으로 국정마비 됐다는데…경제수석 “저는 보고 안 했다”
· 파나마 대통령 “미국 ‘운하 무료 통항 합의’는 거짓말”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트럼프 "10일 모든 철강 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25.02.10
- 다음글인구 줄어도 아파트 공화국 심화…"재건축 대신 철거될 수도" 충격 전망[... 25.02.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