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금리 인하 안서둘러"…경계심 美 증시, 관세戰 우려에도 혼조 [투...
페이지 정보

본문
다우 0.28%·Samp;P500 0.03% 상승, 나스닥 0.36% 하락
![]() |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로이터, AP] |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에 이어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로 ‘관세전쟁’을 확대하고 나섰지만 11일현지시간 미 뉴욕증시는 큰 반응 없이 보합권에서 혼조로 마감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금리 인하에 “서두르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시장은 연준이 금리 인하 결정에 신중한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기대를 강화했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1일현지시간 미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3.24포인트0.28% 오른 44,593.6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amp;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06포인트0.03% 오른 6,068.5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70.41포인트-0.36% 내린 19,643.86에 각각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저녁 예고한 대로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또한 각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상대국 제품에 관세율을 부과하는 개념의 ‘상호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예고됐던 관세 서명과 관련한 시장의 즉각적인 반응이 제한적이었지만 전문가들은 ‘트럼프발發 관세전쟁’이 본격화하는 것에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US뱅크 웰스매니지먼트의 테리 샌드벤 수석 주식전략가는 “기업 가치는 고평가됐고, 기업은 향후 실적 전망에 절제된 모습이며, 인플레이션은 지속되고 있다”며 “전반적으로 불확실성 수준이 높고 이는 변동성 증가를 내재한다”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상원 청문회에 출석해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인플레이션이 목표2% 수준을 웃도는 현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연준의 현 통화정책 기조는 이전보다 현저히 덜 긴축적으로 됐고, 경제는 강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는 정책 기조 조정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시카고선물거래소CME에 따르면 이날 금리 선물시장에서 연준이 오는 5월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전날 72%에서 이날 증시 마감 무렵 78%로 상향 반영했다.
최근 몇 달 새 인플레이션 진전이 정체된 가운데 시장은 오는 12일현지시간 예정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편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챗GPT 개발사 오픈AI 인수를 시도 중이라는 소식 등이 전해지면서 이날 6.3% 하락했다.
또 인텔은 이날 J.D. 밴스 미 부통령이 파리 인공지능AI 행동 정상회의에 참석해 ‘적대국’이 AI를 이용해 미국의 안보를 위협하려는 시도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뒤 수혜주로 지목되면서 6.1% 급등했다.
![]() |
[ 인기기사 ]
▶ 박지윤 시부모님 거주 아파트 처분했다, 최동석 “등기 보고 알았다”
관련링크
- 이전글충남 당진 현대로템 공사현장서 근로자 사망사고…철골 설치 중 추락 25.02.11
- 다음글[IPO인터뷰]엠디바이스 "딥시크 이후 SSD 수요 더 커질 것…기업용 시장... 25.02.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