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고환율·고유가에 3개월 연속 오름세종합
페이지 정보

본문
김 37년만에 최대폭 상승…당근도 8년 만에 가장 크게 올라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민경락 기자 =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달 연속 높아져서 5개월 만에 2%대로 올라섰다.
상승 흐름을 타고 있는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물가를 끌어올리는 주요인이 됐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5.7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상승률은 지난해 7월2.6% 이후 반년 만에 가장 높다.
지난해 중순까지 2~3%대를 오갔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1%대1.6% 진입하고 10월에 1.3%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방향을 바꿔서 11월 1.5%·12월 1.9%에 이어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석유류가 7.3% 올라 지난해 7월8.4% 이후 최고 상승률을 나타내면서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p 끌어올렸다.
주로 국제유가와 환율의 상승 영향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1년 전 낮은 수준이던 기저효과도 작용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외식제외 개인서비스 물가는 3.5% 오르며 전체 물가를 0.68%p 올렸다. 2023년 12월3.5% 이후 13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실손보험료 등 보험서비스료가 오른 것이 주요 배경이다.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해외·국내 단체 여행, 콘도이용료 등도 상승했다.
가공식품류도 2.7% 상승해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3%p 높였다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2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2025.2.2 ryousanta@yna.co.kr
채소류는 4.4%, 축산물은 3.7%, 수산물은 2.6% 오르며 농축수산물 물가가 1.9% 상승했다.
배추가 66.8% 뛰며 2022년 10월72.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률을 기록했다. 기상악화에 따른 산지출하 물량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무도 79.5% 올라 상승 폭이 컸다.
김은 35.4% 올라 1987년 11월42% 이후 무려 37년 2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을 기록했다. 당근도 76.4%로 2017년 2월103.7% 이후 7년 11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다만 파-32.0%, 감-23.2%, 바나나-13.8% 등은 감소 폭이 컸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로 지난해 7월3.0% 이후 반년 만에 최대였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0% 상승하며 역시 지난해 7월2.1% 이후 다시 2%대로 복귀했다.
밥상물가와 관련 있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년 전보다 1.9% 상승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1월과 12월 환율 상승이 석유류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가공식품이나 기타 원자재에는 다소 시간을 두고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통계청 이두원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2025.2.5 scoop@yna.co.kr
2vs2@yna.co.kr
끝
-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장악해 경제 발전시키겠다"
- ☞ 무속인 비단아씨 "노상원, 김용현과 잘되면 다시 나랏일 얘기"
- ☞ 지적장애 친딸 10여년 성폭행…인면수심 50대 경찰 조사 중
- ☞ "학폭 후유증 괴로운데…" 가해 학생과 같은 학교 배정한 교육청
- ☞ 중증장애인 폭행한 보호시설 직원들…확인된 가해자만 20명
- ☞ 환각상태서 음식배달…40대 배달기사 마약 혐의 구속
- ☞ 대만언론, 구준엽 아내 사망 연일 집중보도…패혈증 가능성 제기
- ☞ 선릉역 앞에 쓰러진 30대 남성…알고 보니 마약 투약자
- ☞ "휴대전화 게임에 빠져서…" 아들 살해한 60대 남성 구속영장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관련링크
- 이전글1월 외환보유액, 46억달러 줄었다…"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 25.02.05
- 다음글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5개월만에 2%대 재진입상보 25.0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