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업 해볼래" 뛰어든 시장…온라인 셀러 54만 고혈 짜낸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내 사업 해볼래" 뛰어든 시장…온라인 셀러 54만 고혈 짜낸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8회 작성일 24-08-03 16:01

본문

뉴스 기사



‘티메프’ 사태로 본 셀러의 세계
티몬·위메프 정산금 미지급 사태가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온라인 셀러는 1~2인 규모의 소규모 업체나 개인이 많아 미정산 사태가 장기화하면 곧바로 부도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셀러가 전국에 54만 곳에 이른다. 가뜩이나 알리익스프레스 등 C커머스중국 이커머스에 밀려 고전하고 있는 셀러들은 이번 사태로 다시 한 번 위기를 맞고 있다.

서울 강남구 위메프 본사 외벽에 판매 대금 미정산 피해자들이 작성한 항의문이 붙어 있다. [뉴스1]

서울 강남구 위메프 본사 외벽에 판매 대금 미정산 피해자들이 작성한 항의문이 붙어 있다. [뉴스1]

박모31씨는 지난해 대기업 K사를 그만두고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창업, 이른바 ‘온라인 셀러’로 전직했다. 온라인 셀러는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체에 입점해 물건을 파는 상인을 일컫는 말로, 대개 중소기업이거나 소상공인이다. K사에서 이커머스 업무를 담당하기도 했던 박씨는 “커머스 분석 경력으로 내가 만든 제품을 시장에 선보여 유통 전 과정을 직접 운영해보고 싶다는 욕심이 생겨 전직을 결정했다”며 “온라인에서는 웹사이트만 있어도 제품을 판매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고, 재구매율이나 리뷰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고 말했다.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박씨와 같은 온라인 셀러는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비대면 쇼핑이 늘면서 급속히 증가했다. 온라인에서 손쉽게 물건을 구매하려는 고객들의 수요와 정보기술IT 기업이 이커머스 시장에 발을 들이며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셀러 확보 경쟁이 맞물렸기 때문이다. 국세청에 따르면 2018년 말 21만8616곳이었던 통신판매업자 수는 지난해 말 54만3088개로 148.4% 증가했다.

이커머스 플랫폼 중 입점 셀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추정되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의 경우 지난해 6월 기준 셀러가 57만 명을 기록, 2019년26만 명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매출이 적으면 꼭 통신판매업 등록을 하지 않아도 셀러로 활동할 수 있다. 수입도 적지 않은 편이다. 네이버에 따르면 전체 스마트스토어 판매자의 8%는 연 매출 1억원이 넘는 판매고를 올리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남녀노소 쉽게 창업하거나 겸업할 수 있고, 판매 상품에도 제한이 없어 셀러 입점 수요는 매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매출 1억’ 네이버 입점 셀러만 4만여명
국내에 ‘온라인 셀러’라는 직업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은 건 2003년 구영배 큐텐 대표전 G마켓 창업자가 일반 사업자셀러와 소비자가 직접 거래B2C할 수 있는 이른바 ‘오픈마켓’을 국내에 도입하면서부터다. 오픈마켓에서는 네이버와 같은 플랫폼이 거래 중개를 담당하면, 판매자가 소비자와 직거래하면서 유통 제반 비용을 낮춰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오프라인 대비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구매할 수 있게 되면서 2010년대 국내 유통시장을 뒤바꿔놓았다. 서울 용산 전자상가에서 전자제품을 판매하면서 7대 오픈마켓에 입점한 한모씨는 “수년 전부터 온라인 매출이 오프라인 매출을 크게 뛰어넘었다”며 “타 업체의 가격을 쉽게 비교할 수 있고, 가격 우위만 확보하면 상품 노출 또한 쉬워 셀러 입장에선 가장 효율적인 판매처”라고 말했다.

하지만 오픈마켓 플랫폼과 셀러 간의 윈윈win-win은 오래가지 못했다. 높은 접근성과 개방성, 무한경쟁이라는 오픈마켓의 장점이 되레 셀러에게는 약점으로 이용되면서 플랫폼과 셀러 간의 기형적 ‘갑을’ 관계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이커머스 시장이 성장할수록 과도한 중개수수료율 부과, 할인 강요 등의 행위가 심화했다고 말한다.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소자본으로 플랫폼에 의존하는 셀러들은 역마진을 감수하면서까지 판매를 지속할 수밖에 없었고, 거대 플랫폼이라는 지위와 정산금을 쥐고 있는 기업들은 이를 악용하기 일쑤였다. 11년째 온라인 셀러로 활동하고 있는 40대 남모씨는 “이커머스 초창기에는 상품 노출 등으로 수익이 올랐지만, 지금은 수익을 내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광고료 등을 추가로 내고 있다”며 “셀러들의 유입으로 성장한 기업이 역으로 셀러들의 고혈을 짜내고 있는 것”이라고 불평을 털어놓았다.

“셀러로 큰 기업이 되레 셀러 고혈짜내”
최근 터진 티몬·위메프 정산금 미지급 사태나 공정거래위원회가 쿠팡에 과징금을 부과한 것도 이 같은 기형적 구조가 발단이 됐다. 오픈마켓은 상품을 직접 판매하는 판매업자가 아닌 ‘중개업자’라는 이유로 각종 규제 대상에서 제외됐던 점도 이번 사태를 부추겼다. 현행법상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는 대규모유통업법에 의해 정산 기간 등의 요건을 의무적으로 갖춰야 한다. 하지만 거래 중개를 담당하는 이커머스 플랫폼은 이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거래대금이 ‘돌려막기’ 자금으로 사용되는 일이 만연했다.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그 결과 이커머스 정산 시스템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고, 결제대행사PG와 판매자가 피해를 모두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셀러 남모씨는 “티메프 사태 이전에도 쿠팡 등에서 정산 지연을 겪었고, 그때마다 플랫폼은 시스템 오류라는 변명만 늘어놓으며 선先정산대출을 대안으로 제시했다”며 “업계 관행으로 포장됐던 문제들이 수면 위로 올라오게 되면서 이커머스 시장은 큰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유통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소상공인 등 셀러들이 줄도산하며 ‘셀러 전성시대’가 내리막길을 걷게 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내수 부진으로 인해 소상공인들이 곳곳에서 무너지고 있는 데다 C커머스의 공격적인 프로모션으로 국내 셀러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플랫폼에 대한 셀러의 신뢰가 무너진 만큼 급성장했던 이커머스 시장은 당분간 후퇴할 것”이라며 “소비자 못지않게 소상공인인 셀러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셀러 보호를 위해선 판매대금 보관 의무화나 일정 규모 이상에 대한 보험가입 의무화, 다른 사업 목적으로 이용 금지 등을 명문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최근 “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률은 마련돼 있지만, 약자인 소상공인 셀러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은 찾아보기가 어렵다”며 “정산기일 10일 이내 의무화 등의 판매자 보호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1일 티메프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에스크로 전면 도입과 정산 주기 관련 법 개정 논의에 착수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규제를 벗어난 플랫폼의 그림자 금융을 전면 관리하기 위한 종합적 규제체계를 논의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유진 기자 oh.yoojin@joongang.co.kr

[J-Hot]

딴남자 아이 가진 아내…첩의 아들 가혹한 삶

"관중석서 강제 입맞춤" 딸 金 딴 날, 아빠가 저지른 짓

전자레인지 3분만에 헉…21억개 출몰한 그놈 정체

패배 후 대성통곡 女…"일본의 수치" 악플에 결국

하다하다…"닭다리 3개 먹었다"고 해명한 류수영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유진 oh.yoojin@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22
어제
2,068
최대
3,806
전체
697,87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