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차단 정부 부처 전방위 확산…금융기관도 동참종합
페이지 정보

본문
주요 시중은행·인터넷은행 비롯 수은·주금공도 동일 조치

[촬영 이성한]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화면.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한지훈 민선희 송정은 기자 = 정부 부처들이 6일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대거 나섰다.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날 접속을 차단한 데 이어 통일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등이 이날 접속을 차단했거나 차단할 예정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생성형 AI에 대해 금일 접속 차단 등 후속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도 "딥시크 정보 수집 체계가 챗GPT 등과 다른 것으로 파악돼 정보 유출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접속을 차단했다"고 말했다.
경제 사령탑인 기획재정부는 접속 차단을 검토 중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딥시크와 관련한 대내외의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되고 있어 외부 접속이 가능한 PC에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범정부 차원의 딥시크 접속 제한 움직임은 생성형 AI 사용 과정에서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않아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도 딥시크 차단에 동참하는 기류다.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내부망과 외부망을 따로 운영하고 있다"며 "개인정보 유출이나 사이버보안에 우려가 있는 경우 자체적으로 차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공 금융기관인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지난 4일부터 접속을 막았다.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은 지난 3일부터 안전성 검증을 이유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는 사용할 수 있지만, 딥시크 앱 다운로드나 사이트 접속은 막은 상태다.
하나은행은 지난 4일부터, 우리은행은 이날부터 각각 사내 외부망이나 고객용 PC 등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와 케이뱅크도 데이터 수집·학습 관련 보안성 검토가 완료될 때까지 딥시크 서비스를 차단 중이다.
sje@yna.co.kr
끝
-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구준엽, 아내 유해 안고 어제 대만 도착…"눈빛에 슬픔 가득"
- ☞ 치과서 마취하고 진료받던 60대 숨져…경찰 조사
- ☞ 이혼 고민 여성에 남편 살해 부추기고 돈 뜯은 부부 중형
- ☞ 美공항 활주로서 델타·JAL 여객기 아찔한 충돌…사상자 없어
- ☞ "호기심에"…제주공항서 항공기 비상구 건드려 1시간 지연출발
- ☞ 경찰, 강형욱 부부 메신저 무단열람 무혐의 처분
- ☞ LG家 맏사위 윤관, 123억 종합소득세 불복 소송 1심 패소
- ☞ 퇴근길 교통사고로 스러진 30세 방사선사 장기기증으로 6명 살려
- ☞ 트럼프 며느리, 주말 황금시간대 폭스뉴스 진행자로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관련링크
- 이전글[단독]LG전자, 멕시코 TV공장 통폐합…관세 리스크 대응 서막 25.02.06
- 다음글드론 띄우고 보디캠 입히고…OTT 중계 "튀어야 산다" 25.02.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