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중국, 트럼프 추가 관세 발효에 즉각 보복…추가관세·구글 반독점 ...
페이지 정보

본문
[이투데이/김나은 기자]
미국산 석탄·LNG에 15%...농기계·원유엔 10% 추가관세
자국 텅스텐 관련 소재 수출 통제
구글엔 반독점 조사·캘빈클라인 모기업은 제재 명단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로 한국도 트럼프 관세 전쟁의 영향권에 있다는 우려가 가시화하고 있다. 사진은 3일 오전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는 모습. 연합뉴스
중국이 4일 미국에서 수입하는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등 일부 품목에 추가 관세 부과하고, 구글을 반독점 위반 혐의로 조사에 착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4일 중국산 모든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예정대로 발효하자 사실상 맞불 작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부터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 캐나다와 멕시코와는 전날 별도로 협의해 관세 부과 조치를 1개월 연기하기로 합의했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이날 새벽 0시 1분에 예정대로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중국 정부는 같은 날 미국에서 수입하는 석탄과 LNG에는 15%, 원유와 농기계, 대형차 등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추가 관세 부과는 오는 10일 발효된다. 이와 함께 텅스텐 관련 소재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도 함께 내려졌다. 사실상 트럼프 정부의 추가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로 풀이된다.
이와 별개로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성명을 내고 미국 대표 빅테크인 구글을 반독점 혐의로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 정부가 처벌 조처를 내릴 수 있는 ‘신뢰할 수 없는 기업명단’에 의류 브랜드 캘빈클라인을 보유한 PVH코퍼레이션과 바이오테크 기업인 일루미나Illumina를 올렸다.
일루미나는 최근 인공지능AI와 관련해 엔비디아와 파트너십을 맺은 유전자 시퀀싱 회사다. 해당 명단에 오르게 되면 중국 당국은 중국 내 판매와 영업, 투자 등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으며, 벌금을 부과할 수도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맞대응이 미국처럼 광범위하지는 않지만, 중국의 이번 조치는 전문가들은 생각했던 만큼 지도부가 맞대응에 나서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짚었다.
[이투데이/김나은 기자 better68@etoday.co.kr]
[관련기사]
☞ “2월 채권시장, 트럼프 행정부 관세 영향 주목…국내 이차전지 기업 충격 현실화”
☞ 崔대행 "美관세 확대 가능성…모든 수단 강구해 대응"
☞ 美 고관세 캐나다·멕시코에 韓 주요기업 해외법인 201곳…삼성·현대차만 96곳
☞ 비트코인, 관세 유예 합의에 껑충…10만 달러 복귀 [Bit코인]
☞ 트럼프發 관세 불확실성에 금값 또 최고치…3000달러 고지 밟나
[주요뉴스]
☞ 제주 전역 대설특보…제주공항도 윈드시어 특보 발효
☞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미국산 석탄·LNG에 15%...농기계·원유엔 10% 추가관세
자국 텅스텐 관련 소재 수출 통제
구글엔 반독점 조사·캘빈클라인 모기업은 제재 명단에
![[상보] 중국, 트럼프 추가 관세 발효에 즉각 보복…추가관세·구글 반독점 조사 맞불](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ey/2025/02/04/20250204083732_2132549_1199_787.jpg)
중국이 4일 미국에서 수입하는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등 일부 품목에 추가 관세 부과하고, 구글을 반독점 위반 혐의로 조사에 착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4일 중국산 모든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예정대로 발효하자 사실상 맞불 작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부터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 캐나다와 멕시코와는 전날 별도로 협의해 관세 부과 조치를 1개월 연기하기로 합의했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이날 새벽 0시 1분에 예정대로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중국 정부는 같은 날 미국에서 수입하는 석탄과 LNG에는 15%, 원유와 농기계, 대형차 등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추가 관세 부과는 오는 10일 발효된다. 이와 함께 텅스텐 관련 소재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도 함께 내려졌다. 사실상 트럼프 정부의 추가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로 풀이된다.
이와 별개로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성명을 내고 미국 대표 빅테크인 구글을 반독점 혐의로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 정부가 처벌 조처를 내릴 수 있는 ‘신뢰할 수 없는 기업명단’에 의류 브랜드 캘빈클라인을 보유한 PVH코퍼레이션과 바이오테크 기업인 일루미나Illumina를 올렸다.
일루미나는 최근 인공지능AI와 관련해 엔비디아와 파트너십을 맺은 유전자 시퀀싱 회사다. 해당 명단에 오르게 되면 중국 당국은 중국 내 판매와 영업, 투자 등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으며, 벌금을 부과할 수도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맞대응이 미국처럼 광범위하지는 않지만, 중국의 이번 조치는 전문가들은 생각했던 만큼 지도부가 맞대응에 나서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짚었다.
[이투데이/김나은 기자 better68@etoday.co.kr]
[관련기사]
☞ “2월 채권시장, 트럼프 행정부 관세 영향 주목…국내 이차전지 기업 충격 현실화”
☞ 崔대행 "美관세 확대 가능성…모든 수단 강구해 대응"
☞ 美 고관세 캐나다·멕시코에 韓 주요기업 해외법인 201곳…삼성·현대차만 96곳
☞ 비트코인, 관세 유예 합의에 껑충…10만 달러 복귀 [Bit코인]
☞ 트럼프發 관세 불확실성에 금값 또 최고치…3000달러 고지 밟나
[주요뉴스]
☞ 제주 전역 대설특보…제주공항도 윈드시어 특보 발효
☞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10년새 3배 올라"…강남 아파트 평당가 1억원 눈앞 25.02.04
- 다음글이재용 회장·샘 올트먼 CEO와 회동하는 손정의 회장 25.02.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